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 아동을 둔 취업모의 양육부담감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나현 ( Na Hyun Kim ),이은주 ( Eun Joo Lee ),곽수영 ( Su Young Kwak ),박미라 ( Mee Ra Park ) 여성건강간호학회 2013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취업모가 경험하는 양육부담감의 본질을 탐색하기 위해 시도된 현상학적 연구로 양육부담감의 7가지 주제모음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첫 번째 주제모음은 ‘끊임없이 갈등하는 삶’으로, 참여자들은 일과 양육을 병행하며 힘겨운 시간을 보내지만 아무도 그들의 고충을 이해하고 지지해주는 사람이 없어 힘들어 하였다. 성공중심의 사회속에서 자녀를 잘 기르기 위한 궁극적 목표를 가지면서도 자기계발에 대한 부담과 아이들에게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지 못하는 양육 현실 간의 상충되는 상황으로 인하여(Yang, 2011) 갈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취업모가 가정에서 ‘엄마’로서의 책임을 다해야 하고, 직장 내에서도 여성으로서 특별한 배려의 대상이 되지 않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두 역할사이에서 힘들어 한다는 Kim, Kim과 Lee (2011)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해 주었다. 이러한 고민과 갈등은 양육 스트레스를 더욱 가중시켜 자녀를 둔 젊은 취업 여성들뿐만 아니라 미혼여성들에게도 자녀 출산을 고민하게 하는 요인으로 이어지고 있으므로(Kim et al.,), 출산을 장려하고 양육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일, 가정 양립 지원책이 마련되어야할 것이다. 두 번째 주제모음은 ‘죄책감’으로, 참여자들은 전업주부처럼 온종일 아이를 잘 보살펴주지 못하여 미안해하고 죄책감을 느꼈다. 이는 특히 우리나라 여성들은 전통적으로 자녀를 위한 희생정신과 책임감이 강하여 돌봄이 부족하거나 양육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 죄책감을 많이 느끼기 때문으로(Sung & Park, 2011), Yang과 Shin (2011)의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미안함과 죄책감 때문에 참여자들은 의도적인 스킨십으로 사랑을 각인시키고, 자녀가 원하는 물건을 갖게 함으로써 부족한 엄마 역할을 만회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일하는 어머니와 집에 있는 어머니 간 영유아 자녀의 발달위험 정도에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1)에서도 알 수 있듯이 어머니의 취업이 아이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기때문에 취업모들은 자녀에게 갖는 과도한 죄책감에서 벗어나 현명하고 일관적인 양육태도를 취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참여자들은 아이에게 미안해하면서도 일, 가사, 육아를 동시에 감당해야 하는 과중한 부담과 피로로 인해 쉽게 짜증을 내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것은 직장에서의 스트레스와 피로가 가시기도 전 또 다른 노동을 시작해야 하는 이중의 긴장 속에서 육체적, 정신적 소진을 경험하기 때문일 것이다. 스스로 감정조절에 실패한 취업모는 미안한 마음과 죄의식을 느끼고 이를 만회하고자 최대한 행복한 모습을 보여주고 질적으로 더욱 집중해야 한다는 부담을 더 가지게 된다(Kim & Chang, 2008). 이러한 현상은 육체적 피로뿐만 아니라 해결 되지 않은 스트레스로 인해 모아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고, 자녀의 성장에도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Yoon, Hwang, & Cho, 2009) 적절한 휴식과 스트레스 해결을 위한 시간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주제모음은 ‘아이교육에 관한 정보와 시간부족으로 불안함’으로, 참여자들은 자신은 일을 하고 있어서 절대시간이 부족함에도 자녀교육에 임하는 자신의 처지를 전업주부와 끊임없이 비교하면서 조급하고 불안해(Mishina, Takayama, Aizawa, Tsuchida, & Sugama, 2012; Yang & Shin, 2011) 하였다. 특히 우리나라는 자녀교육열이 매우 높고 자녀의 성공 여부에 따라 능력있는 어머니로 평가되기 때문에 취업모에게 자녀교육은 이중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Lee, 2007). 게다가 참여자들은 늦은 퇴근 시간과 피로함으로 자녀의 학습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함으로 인해 현재 자녀의 학업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장래까지도 염려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자녀양육에서 교육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주어진 여건 속에서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지만 교육 문제에서만큼은 늘 부족하다고 느끼며, 이로 인해 받는 양육 스트레스도 매우 큰 것으로 보인다. 네 번째 주제모음은 ‘부족한 엄마로 낙인찍힘’으로, 참여자들은 고된 삶을 누구에게든 편하게 털어놓고 위로 받고 싶었지만 오히려 전업주부보다 육아에 더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었고, 부족한 엄마라는 낙인이 늘 따라다녔다. Yang과 Shin (2011)의 연구에서도 취업모는 ‘가정을 포기한 여자’라는 인식과 여성의 역할을 가족 중심에 두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힘들어 하였다. 하지만 실제 취업모와 비취업모를 비교하였을 때 가정에서의 안전사고나 입원 경험 등에 차이가 없으며 양육태도 측면에서도 더 긍정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Bang, 2004). 즉 육아의 책임을 여성에게 떠넘기는 우리 사회의 불공평한 편견과 오해 속에서도 취업모는 최대한 아이에게 소홀 하지 않기 위해 부단하게 노력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섯 번째 주제모음은 ‘소원해진 가족관계’로, 육아에 대한 가치관의 차이나 비협조는 가족 간 갈등을 초래하였으며, 이로 인해 가족관계가 소원해지고 사이가 멀어졌다. 본 연구에서 참여자의 양육방식과 차이를 보이는 대리양육자는 대부분 할머니였으며, 대리양육자와의 육아갈등은 Kim과 Seo (2007)의 연구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 한편, 취업여성의 경우 배우자와의 불평등한 역할분담과 자녀교육방식에 불만을 갖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심리적 부담을 가중시키게 되는데(Lee, 2008) 본 연구에서도 참여자들의 양육부담감은 남편의 무관심이나 비협조적인 태도로 인해 더욱 가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전과 달리 남성들이 여성의 취업을 지지하고 가사를 분담하는 등 도움을 주고 있지만 여전히 역할분담이 공평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Yang & Shin, 2011) 보인다. 외국의 경우 법적으로 자녀 양육의 책임을 부모에게 공동으로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Kim & Seo, 2004) 양육을 인식하는 무게 정도가 우리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자녀양육의 책임을 개인이나 가족내의 문제로 남겨두기보다는 좀 더 제도적인 차원에서 접근한다면 취업모가 경험하는 역할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 것이다. 여섯 번째 주제모음은 ‘지쳐가는 삶’으로, 평상시에는 물론 특히, 급한 일이 생겼을 때 도움 받을 곳이 없어 어떠하든 혼자서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매우 힘들어 하였다. 이럴 때마다 취업모는 더욱 극심한 갈등을 겪음과 동시에 심신이 지쳐가는 경험을 반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 등(2011)도 부부가 함께 일하기 때문에 육아를 분담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자연스럽게’ 여성의 책임으로 여기게 된다고 하였다. 이는 남편이 육아에 협력하기는 하지만 도와주는 정도의 수준으로,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남편의 가치관과 태도는 전통적인 성역할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Yang & Shin, 2011)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 주제모음은 ‘하루하루 버텨나감’으로, 참여자들은 지금은 힘들지만 아이가 자라면 엄마의 부재를 이해하고, 자랑스러워 할 것이라 생각하였다. 즉, 현재 자신이 양육에 매진 하지 못하는 상황을 애써 긍정적으로 합리화하면서 버텨나가기 위해 노력하였다. 실제로 사춘기 딸의 경우 엄마의 사회적 성공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성공한 엄마를 자신의 역할 모델로 삼고 있어(Jeong, 2005) 취업모의 이러한 합리화는 현재의 양육부담감을 이겨나가는 긍정적인 방어기제로 보인다. 주목할 점은 취업모의 삶이 힘겹고 지쳐가지만 본 연구참여자들은 전업주부로 돌아가기를 원하지는 않았다. 그 이유는 전업 주부로서 감당해야 할 양육과 가사일이 두렵기도 하지만(Kim et al., 2011) 사회로부터의 단절과 고립을 원하지 않으며 (Kim & Seo, 2012) 일을 하면서 얻는 성취감도 큰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취업모들은 육아와 일 사이에서 갈등함, 육아에 대한 죄의식, 충분한 사랑과 보살핌을 주지 못한 미안함, 남편의 방관자적 태도에 불만을 가짐, 슈퍼우먼을 바라는 주변의 요구, 신체적 피로로 인한 잘못된 양육태도, 아이 교육을 걱정함, 전업주부와 교류가 없고 소외됨, 아이들이 자라면 엄마를 자랑스러워 할 것이라 생각함 등은 취업모의 양육 경험에 관한 선행연구(Kim et al., 2011; Kim & Chang, 2008; Yang & Shin, 2011)의 결과와 유사하게 도출되었다. 그러나 가족 관계가 소원해짐, 지쳐가는 삶, 하루하루 버텨나감 등의 새로운 주제모음이 도출되었다. 즉, 양육방식에 있어서의 가족간 의견 차이로 가족관계 마저 소원해진 채로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었으며, 이러한 갈등과 부담감으로 삶은 지쳐가지만 자녀들의 미래와 자녀들이 자신의 노고를 알아줄 것이라는 희망으로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취업모의 이러한 부정적인 양육경험은 둘째, 혹은 셋째 아이의 출산을 포기하게 만들어 저출산의 문제를 더욱 가중시키는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어린 아동을 둔 취업모의 양육부담감을 줄이기 위하여 양육부담감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저출산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질적이면서도 다차원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불어 취업모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그들의 미안한 마음을 위로해야 하며, 취업모 역시 잘못된 모성애적 믿음에서 비롯된 죄의식에서 벗어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lived experience of working mothers` parenting burden in Korea. Methods: Eight 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ere interviewed. The Colaizzi analysis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was applied. Results: Seven theme clusters were extracted: a life with constant conflict, sense of guilt, feeling anxious because of lack of information about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social stigma as a deficient mother, family relationship becoming distant, a life being exhausted, day to day struggle. Conclusion: These results provide an opportunity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working mothers related to parenting their young children. It would also serve as a medium for the formulation of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 relevant to burdens of parenthood.

      • SCOPUSKCI등재

        정상면역을 가진 성인에서 발생한 식도 방선균증

        김현수 ( Hyun Soo Kim ),천종운 ( Jong Woon Cheon ),김민수 ( Min Su Kim ),정창길 ( Chang Kil Jung ),김경록 ( Kyung Rok Kim ),최재원 ( Jae Won Choi ),강동우 ( Dong Woo Kang ),김선영 ( Sun Young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1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1 No.2

        Hyun Soo Kim, Jong Woon Cheon, Min Su Kim, Chang Kil Jung, Kyung Rok Kim, Jae Won Choi, Dong Woo Kang and Sun Young Kim1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and Pathology1, DongKang Medical Center, Ulsan, Korea Actinomycosis is a chronic suppurative disease and caused by Actinomycosis species, principally Actinomyces israelii, which are part of the normal inhabitant on the mucous membrane of the oropharynx, gastrointestinal tract, and urogenital tract. It usually affects cervicofacial, thoracic and abdominal tissue. Cervicofacial type has the highest percentage of occurrence with 50%. Actinomycosis frequently occurs following dental extraction, jaw surgery, chronic infection or poor oral hygiene. It may also be considered as an opportunistic infection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such as malignancy,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diabetes mellitus, steroid usage or alcoholism. But, actinomycosis rarely occurs in adults with normal immunity and rare in the esophagus. We report an unusual case of esophageal actinomycosis which was developed in a patient with normal immunity and improved by therapy with intravenous penicillin G followed oral amoxicillin, and we also reviewed the associated literature.

      • KCI등재

        일 대학병원에 입원한 노년기 양극성 장애 환자의 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징

        조숙현(Sook Hyun Cho),정한용(Han Yong Jung),권영준(Young Jun Kwon),이소영(So Young Lee),김양래(Yang Rae Kim),김윤정(Yun Jung Kim)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06 노인정신의학 Vol.10 No.2

        Objectives : As the elderly population is continuing to increase, psychiatric diseases of the elderly are becoming an important social issue. This study looks into the demographical and clinical features of the elderly patients diagnosed with bipolar disorder in a University hospital. Methods : The study subjects include patients admissioned in the closed wards of Soonchunhyang Seoul hospital and Cheonan hospital from March, 2000 to February, 2005 who met the DSM-IV-TR criteria for bipolar disorder at the time of discharge. A total of 146 patients (76 men, 70 women) medical records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Subjects older than the age of 50 at time of admission were grouped as the old age group, whereas those who were younger than 50 as the young age group. Also among the old age group, those who had the first onset of episode under the age of 50 were grouped as the early onset group, whereas those who had the first onset after the age 50 were grouped as the late onset group. Results : The number of bipolar disorder patients in the young age group and old age group were 73 and 73 respectively. The number of early onset group and late onset group were 46 and 23 respectively. The old age group had a relatively higher incidence of bipolar II disorder than the young age group. Also in the old age group there was a higher incidence of hypomanic or depressive episode rather than manic episode compared to the young age group. And in the old age group psychotic symptoms were less common and the mean admission length shorter than the young age group. Additionally in the old age group treatment with Lithium monotherapy or with no mood stabilizers at all were relatively common. Among the old age group, late onset group had a higher rate of bipolar II disorder than the early onset group.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al and clinical features among different age groups. But additional research would be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the bipolar disorders in the elderly or late onset group are actually a different type of disorder from those of the young.

      • KCI등재
      • Comparison of trophic factors changes in the hippocampal CA1 region between the young and adult gerbil induced by transient cerebral ischemia.

        Yan, Bing Chun,Park, Joon Ha,Kim, Sung Koo,Choi, Jung Hoon,Lee, Choong Hyun,Yoo, Ki-Yeon,Kwon, Young-Geun,Kim, Young-Myeong,Kim, Jong-Dai,Won, Moo-Ho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2012 Cellular and molecular neurobiology Vol.32 No.8

        <P>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neuronal death/damage in the gerbil hippocampal CA1 region (CA1) and compared changes in some trophic factors, such as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GDNF)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the CA1 between the adult and young gerbils after 5 min of transient cerebral ischemia. Most of pyramidal neurons (89%) were damaged 4 days after ischemia-reperfusion (I-R) in the adult; however, in the young, about 59% of pyramidal neurons were damaged 7 days after I-R. The immunoreactivity and levels of BDNF and VEGF, not GDNF, in the CA1 of the normal young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normal adult. Four days after I-R in the adult group, the immunoreactivity and levels of BDNF and VEGF were distinctively decreased, and the immunoreactivity and level of GDNF were increased. However, in the young group, all of their immunoreactivities and level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young group. From 7 days after I-R, all the immunoreactivities and levels were appare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normal adult and young. In brief, we confirmed our recent finding: more delayed and less neuronal death occurred in the young following I-R, and we newly found that the immunoreactivities of trophic factors, such as BDNF, GDNF, and VEGF, in the stratum pyramidale of the CA1 in the young gerbil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the adult gerbil 4 days after transient cerebral ischemia.</P>

      • KCI등재후보

        Amitriptyline 과 Desipramine, Paroxetine 은 백서의 Schwann 세포 일차배양에서 산화질소의 생성을 억제한다

        김용철,이상철,김선희,임영진,함병문,김현정,정일영,박학수 대한마취과학회 2002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42 No.2

        Background : Antidepressants are being used as supplemental therapy in neuropathic and inflammatroy pain. The mechanism of their inhibitory effect on experimental animal inflammation is not clear. Studies during the past few years clearly indicate an important role for nitric oxide (NO) in the inflammation and pain-processing system. We evaluated the effects of amitriptyline, desipramine and paroxetine on NO production in primary Schwann cell cultures. Methods : Primary cultures of the Schwann cell were prepared from dorsal root ganglia of 1-to 3-day old Spraque-Dawley rats. Schwann cells were culture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interferon-?? (500 ng/㎖) plus tumor necrosis factor-α (500 ng/㎖), amitriptyline, desipramine or paroxetine. Production of NO was determined in the supernatant of the culture media. Results : Amitriptyline (10 ㎍/㎖), desipramine (10 ㎍/㎖) and paroxetine (10 ㎍/㎖) inhibited NO release by 29.8%, 51.4%, and 66.8%, respectively. No drug had a toxic effect on cultured cells, which was determined by an LDH assay. Conclusions : Inhibition of NO production by Schwann cells may be a mechanism by which some antidepressant medications affect inflammatory and neuropathic pain. (Korean J Anesthesiol 2002; 42: 221~227)

      • 직장 Dieulafoy 병변으로 다량의 혈변을 보인 1 예

        김태영;이상헌;김지현;배영환;정은주;김승만;지삼룡;설상영 인제대학교 2011 仁濟醫學 Vol.32 No.-

        Dieulafoy’s lesion is very rare cause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Deiulafoy’s lesion is exposure of non ulcerative, abnormally large tortuous, thick- walled artery in the muscularis mucosa through a small submucosal defect. It is usullay found on stomach antrum and lesser curvature side of the proximal body, and possibly found on any sites throughout whole gastrointestinal tract, but rarely on rectum. The principal of treating Dieulafoy’s lesion was the surgical resection of lesion, but recently remarkable advances in endoscopic technique make endoscopic approach more popular. We report a case of rectal Dieulafoy’s lesion successfully treated with endoscopic hemoclipping in an elderly female patient.

      • KCI등재

        Effects of I- and W-Phases Under Identical Conditions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s-Cast Mg–Zn–Y Alloys at Room and Elevated Temperatures

        Young‑Gil Jung,Wonseok Yang,Jae Ik Hyun,Shae K. Kim,Hyunkyu Lim,Do Hyang Kim 대한금속·재료학회 2021 METALS AND MATERIALS International Vol.27 No.12

        Three alloys (Mg–6Zn–1.2Y, Alloy I; Mg–3.65Zn–1.65Y, Alloy II; and Mg–4.3Zn–1.4Y, Alloy III) with same volume fractionand grain size were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I-phase (Mg3Zn6Y) and W-phase (Mg3Zn3Y2), which are themajor phases in Mg–Zn–Y alloy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 tensile strength of Alloy I with the I-phase at roomtemperature was the highest among the tested alloys because the coherent interface between the I-phase and the α-Mg phasewas more resistant to cracking than the incoherent interface between the W-phase and the α-Mg phase. A cross-sectionalmicrostructure analysis of a sample that was tensile-tested at 423 K revealed that the morphology of the I-phase remainedrelatively stable. In contrast, the W-phase was broken and fragmented during the tensile test at 423 K because it had higherbrittleness under the test conditions. Therefore, the tensile and creep properties of Alloy I at 423 K were better than thoseof Alloys II and III containing the W-phas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phase in the Mg-Zn-Y alloy was more beneficialto the mechanical properties at room temperature and 423 K than the W-phase.

      • KCI등재

        유치 및 초기 영구치아의 치수 신경분포

        김영진,남순현,김현정,이재문,이인정 大韓小兒齒科學會 199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3 No.2

        유치 및 초기 영구치의 치수신경분포 및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교정치료를 위해 발치한 치근흡수가 비교적 적은 유치,정상 탈락기의 유치,맹출중인 교합하지 않은 제 1소구치,맹출이 완료되어 교합하고 있는 1소구치를 대상으로 neurofilament protein(NEP)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근흡수가 비교적 적은 유치에서도 영구치와 유사한 신경총의 존재와 신경분포 형태가 관찰되었으나,영구치에 비해 그 신경분포 밀도가 낮았으며 분지형성 또한 미약하게 나타났고,전상아질로 진입하는 섬유의 수가 적었다. 정상탈락기의 유치에서는 신경의 변성으로 소포(vesicle),단절(fragmentation)등이 관찰되었으며,그 신경분포가 현저히 감소되어 나타났고,총상의 형태도 소실되었다. 교합하지 않은 제 1소구치에서 치수내의 신경은 말단가지의 숫자가 적고,치수 조상아 세포 경계에 도달하였으며,비교적 가는 신경 섬유가 많았다. 교합하고 있는 제 1소구치에서 치수내의 신경은 말단이 조상아층으로 진출하고,어떤 신경섬유는 전상아질층까지 진입하였으며,비교적 굵은신경 섬유의 분포가 많아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nerves in the dental pulp of early extracted primary teeth,normal exfoliated teeth,partially-erupted,nonfunctional,premolars,and erupted,functional,premolars.Numbers of sample were 10 teeth in each group. The distribution of nerves in the dental pulp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immunohistochemistry for detection of neurofilament protein(NF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arly extracted primary teeth exhibited patterns of innervation similar to those observed for young permanent teeth.The plexiform arrangement of fibers was not evident in the primary teeth.Most nerves appear to terminate about the odontoblasts. As primary teeth began to undergo root resorption,degenerative changes such as vesicles and fragmentation appear in nerves.The quantity of neural tissue also decreased.In teeth in which the roots were almost completely resorbed only a small number of nerves remain. There wa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terminal branches in the pulp of the partiallyerupted,nonfunctional,premolars and those present reached the pulpo-odontoblastic border. The nerve terminals in the pulp of the erupted,functional,premolars were traced to the dentinal tubule and a few nerve fibers formed loops in the predentin.

      • 위장질환에 따른 H.pylori 감염빈도와 검사방법의 비교분석

        김대현,조재현,금민수,최성곤,이창형,탁원형,권영오,김성국,최용환,정준모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2

        목적 : H. pylori가 위장관 질환의 병인에 깊은 관련이 있어 이의 적절한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소화기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내시경 검사를 실시하여 H. pylori검출을 위한 CLO검사, IgG 항체검사 및 H&E 염색 등을 시행하여 각 질환별로 H. pylori 감염의 양성율을 알아보고 검사법에 따른 민감도 및 특이도를 그 유용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6 4월에서 8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에 소화기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총 3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내시경 검사를 실시하여 H. pylori 검출을 위한 CLO 검사, IgG 항체검사, 조직염색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 환자수는 313명이었고 연령별 분포는 16세부터 80세 까지 다양하였으며 그중40대, 50대, 60대가 각각 69예(22%), 73예(23.3%), 65예(20.8%)로 전체 환자중 66%를 차지하였다. 남녀비는 2.07 대 1로 남자가 많았다. 대상환자의 평균나이는 52±15세였고, 전체 대상환자에서 H. pylori 양성군과 음성군의 평균나이는 각각 50±15세, 54±15세 였고, 궤양환자군에서 H. pylori 양성군과 음성군사이의 평균나이는 각각 49±14.8세, 55±13.8세로 나타났다. 각 질환별분포는 위염이 72명(23%), 십이지장 궤양이 85명(27.2%), 위궤양이 80명(25.6%), 위암이 20명(6.4%), 비궤양성 소화불량이 13명(4.2%), 기타가 43명(13.7%)이었으며, H. pylori 감염 양성율은 위염이 71%, 십이지장 궤양이 86.8%, 위궤양이 58.3%, 위암이 75%, 비궤양성 소화불량이 75%였으며 특히 유문륜 궤양에서는 100%의 양성율을 보였다. 소화성 궤양군과 비궤양군에서의 H. pylori 양성율을 비교해 본 결과 궤양군에서는 73.1%, 비궤양군에서는 72%로 통계학적으로 차이는 없었다(P=0.91). 소화성 궤양환자에서 출혈이 동반된 군과 동반되지 않은 군에서의 H. pylori 양성율을 비교해 본 결과 출혈이 동반된 군에서의 양성율은 54.5%였고, 출혈이 동반되지 않은 군에서는 77.5%의 양성율을 보여 출혈이동반되지 않은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4). 나이에 따른 양성율을 알아본 결과 50세 이하에서는 78.5%였고, 50세 이상에서는 67.5%로서 양성율이 낮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P=0.052). 각 검사법에 따른 민감도 및 특이도는 전체 환자중에서는 CLO검사가 88.9%, 96.1%, IgG항체검사 90.8%, 58.5%, H&E 염색검사 86.9%, 79.2%로서 민감도는 비슷하게 나왔으나 CLO검사는 상대적으로 특이도가 다른 검사법에 비해 높았다. 궤양군에서의 CLO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92.0%, 95.6%였고, 비궤양군에서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84.3%, 96.8%로서 비궤양군에서는 CLO검사의 민감도는 약간 낮았다. 나이에 따른 CLO 검사의 민감도 및 특이도는 50세 이하에서는 91.5%, 93.1% 였고, 50세 이상에서는 86.3%, 97.9%로서 50세 이상에서는 상대적으로 CLO검사의 민감도가 낮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위장질환에 따른 H. pylori 양성율을 알아보았는데, 다른 보고에서 처럼 높게 나왔으며, 진단 방법으로 사용한 CLO검사, IgG항체 검사, 조직염색검사 등은 모두 비교적 높은 예민도를 나타냈고, 그중 CLO검사가 간편하고 경제적이라는 면에서 임상적으로 유용한 검사로 여겨지나 상대적으로 CLO검사의 민감도가 낮은 비궤양성 질환과 50세 이상의 환자군에서는 CLO검사 외에 다른 검사방법을 병행함으로써 H. pylori의 진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Gastric colonization by Helicobacter. pylori is common among patients with peptic ulcer and gastritis. And various diagnostic tests are available in confirming H. pylori infec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H. pylori infection in Gastroduodenal disorders and compar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most widely available tests. Methods: A total of 313 patients were tested for H. pylori infection by IgG Ab, CLO test and H&E stains. Results: The prevalence of H. pylori infe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uodenal ulcer(86.8%) than in gastric cancer(75%), gastritis(71%) and gastric ulcer(58.3%)(P=0.009).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ach test was as follows: CLO test(88.9%, 96.1%), IgG Ab test(90.8%, 58.5%), H&E stain(86.9%, 79.2%). Sensitivity of CLO test in peptic group was 92.0%, whereas in non-peptic group, it was 86.3%. Sensitivity of CLO test in age under 50 was 91.5%, that over 50 it was 86.3%. Conculsions: There is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H. pylori and gastrointestinal disorders. CLO tests have relatively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especially in peptic group and younger age(below 50 yr)group. But in those patients in which CLO tests are less sensitive (age>50 or non-peptic group), more than one test may be necessary to diagnose the presence of the org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