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억의 번역론 연구 : 근대문학의 장(場)과 번역자의 과제

        김진희(Kim Jin-hee) 한국시학회 2010 한국시학연구 Vol.- No.28

        In the beginning of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since 1910's, Kim Eok played a crucial role as a translator for foreign literature and theory. During the acceptance of foreign literature, Kim realized the importance of translation and he is considered an intellectual who, as opposed to other contemporary translators, performed a bulk of translations from various countries. He was in the lead of balancing content and form, reforming he literary circles of translation in which there was abundance of arbitrary interpretations and content-concentrated translations. However, Kim Eok's translated works have been devalued by reason of erroneous and liberal translation of original works and inapt understanding. Researchers generally examine original and translated texts in tandem, after which they point out problems of the translations and attribute them to the translators' lack of capacity. The study of this paper presupposes that in-depth understanding of translated texts can be carried out only when the theory and practice of translation go in parallel. It argues that the negative evaluation for Kim's translations can be reconsidered through the study of theory. Kim argued for 'creative liberal translation,' an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is standpoint. This paper particularly looks into how symbolism, which Kim embraced, influenced Kim's view on translation. The acceptance of symbolism and the theory of translation are discussed in regard to the theory of translation maintained by Bejamin, a German literary critic who lived around the same time, in his book The Task of the Translator. The paper also examines Kim Eok's theory of translation in the sense that the act of translating foreign languages expands and deepens a mother tongue, which provides an opportunity to form and develop the self-identity. Kim's viewpoint on translation, which searches for the nature of poems, found modern poetic language for the Korean poetry, which was possible due to his exploration into language that represents this nature. Translating the western poems in the initial stage of modern literature implies admission and conveyance of heterogeneous culture, beyond simple written text, and creation of new culture. Kim Eok's translated works shows the creativity of cultural translation that is generated at the interse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cultures. The literary world after 1920's, via translations, could realize the identity of modern literature by means of dialogue with others, i.e. dialogue between tradition and the West. Furthermore, it could have a foundation in creation of new culture. Along these lines of modern literature, Kim Eok's theory of translation presented ‘creative liberal translation’ and ‘creative translation’ as the task and direction for those who do the translation, including himself. It was an aspect of cultural action that Kim's theory evidently showed through translation.

      • 1930년대 김광주의 상해 체험과 아나키즘 인식

        김명섭 ( Myung Seob Kim ) 단국사학회 2016 史學志 Vol.52 No.-

        본 논문은 소설가 김광주의 회고를 통해 1930년대의 상해 한인사회에 대해 살펴보았다. 김광주는 1929년 상해로 이주한 이래 중일전쟁이 일어난 1937년 피신까지 약 10년 동안 상해 한인사회의 다양한 인물들을 만나고 항일운동과 함께 문화 활동을 펼쳤다. 이를 통해 1930년대 상해에서의 김광주는 영화계의 젊은 신진 감독을 비롯해 연극계의 다양한 문화예술가들과 교유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일제의 지배가 싫은 젊은 세대``인 자유로운 문화예술가들과의 교류와 ``보헤미안극사`` 활동을 통해 그는 시, 꽁트, 연극, 영화 등에서 다양한 체험을 하게 되었다. 물론 그 바탕에는 1930년대 상해 한인 민족운동을 이끌고 있던 김구·안창호·김두봉 등 지도자들 후원이 컸다. 더욱이 남화연맹에서 활동한 아나키스트들과의 교류는 그의 항일 민족정서와 함께 자유정신을 키우는데 큰 영향을 끼쳤다. 특히 해방이후 상해체험을 회상하는 그의 작품의 대부분이 나라를 위해 싸우다 죽거나 방랑생활을 하다 귀국하지 못한 동지들에 대한 그리움이 한 축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상해체험이 그의 작품 활동에 미친 영향은 매우 컸다. This paper discussed the Korean community in China Shanghai in the 1930s by the novelist Kim Gwang-ju`s recalls. Kim Gwang-ju is a refuge for about 10 years until the 1937 war took place while since moved to Shanghai in 1929 to meet the various figures of the Korean community in Shanghai unfolded cultural activities with the anti-Japanese movement. Even though his shanghai settlement and time of refuge records are seem to inaccurate, but it is a relatively considered as a objective and analytic memoir of his experience. Through this we can know that Kim Gwang-ju associated with the young director of movies, including the various cultural artists of theatrical world in 1930s Shanghai. Through the interchange with "the young generation of unconstrained cultural artists who do not want the Japanese domination" and the activity of "Bohemian Theater Company", he had various experience in poem, conte, play and movie. Of course, theses are based on the great support of leaders such as Kim-Gu, Ahn-Changho and Kim Du-bong who led the Korean Independent Movement in Shanghai. Furthermore, the interchange with anarchists who were active in the ``Namhwa-Federation`` has had a big impact to raise his nationalistic emotion and the spirit of freedo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modern national movement, the research of Kim Gwang-ju`s life first, additional research materials for his family, especially elder brother Kim Dong-joo is very necessary. Kim Dong-joo is a secret help sponsor of activities of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fighters in Manchuria, as well as a important person who connected with an agents of a Provisional Government. His life was believed to be the future of course, also we need to study in depth the role and position of the personal hospital. Second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local shelter, etc. Activity of Kim Gwang-ju activities in Shanghai. In other words, while Kim Gwang-ju live a long time is needed for local excavations and historical research, such as the Activity where many literary works written by the school and toughness. This is expected to find signs of shanghai, including Kim Gwang-ju Korean culture, artists in the 1930s who exchanges with him.

      • KCI등재

        무용 상해 및 재발 예방을 위한 Kim's Body conditioning Program

        김양근(Yang Keun Kim) 한국무용과학회 200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상해 경험이 있는 무용수가 Kim's body conditioning program 후 무용동작 수행 시 무용수의 신체 움직임 느낌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연구대상자들은 2007년 ADF(America Dance Festival)에 참석한 무용수들 중 Kim's body conditioning program 수업에 참석한 60명 중 6주간 수업에 결석하지 않은 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22.06(±1.590)이며, 무용경력은 3년 미만이 54.8%로, 3년 이상이 38.7%이다. 조사 설문 내용은 무용전문가 3명과 의학전문가 1명, 설문조사 전문가 1명 등 5명으로 구성되어 설문조사 문항을 위해 협의, 의논하여 문항들을 선택하였으며,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기술통계의 빈도분석과 X2 분석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움직임에 대해 Kim's body conditioning program 수행 후 무용동작 수행 시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으며,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다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둘째, 무용의 기본 동작에 대해 기본 브러쉬(brush) 동작, 그랑 바뜨망(grands battements) 동작, 데벨로뻬 (develope) 동작, 쁠리에 (plie) 동작, 아라베스크(arabesque) 동작에서 움직임 수행 시 편안함을 느꼈으며, 관련된 근육들에 움직임에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무용수들의 Kim's body conditioning program 평가에서 이 프로그램은 전체적인 근력 및 하지의 유연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무용 동작 수행 시 움직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무용수들에게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이 프로그램이 무용수들뿐만 아니라 비전공자들에게도 필요한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무용 표현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높은 동의를 얻지 못했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통해 Kim's body conditioning program이 상해를 가진 무용수들에게 재활의 프로그램 중 하나로 제시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ing about previously injured dancers' execution of movements and comfortableness after Kim's body conditioning program. 31 participants joined the six weeks of ADF of the year 2007 after undergoing Kim's body conditioning program. Contents of research were examined by three dance expertise, one medical doctor, and one research expertise. Frequency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X2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31 participants answered they were comfortable executing their movements and greater control over their muscle movements after Kim" body conditioning program. Second, they responded that they could comfortably execute their basic movements then previous to participating in Kim's body conditioning program and move their muscles more readily. Third, after undergoing Kim's body conditioning program, the participants answered Kim's body conditioning program can improve muscular power, become more flexibleness and help execution of movements. In addition, Kim's body conditioning program can help people who are not dance major. Kim's body conditioning program, however, cannot improve executing difficult dance movements. In conclusion, Kim's body conditioning program could be a rehabilitation program for previously injured dancers.

      • KCI등재

        1886년 일본망명자 김옥균 유폐의 전말과 그 원인

        김성혜(Kim, Sung-hyae)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5 亞細亞硏究 Vol.58 No.3

        갑신정변에 실패한 김옥균 등이 일본으로 망명한 이후, 조선정부는 이들을 역적으로 간주하고 김옥균의 본국 송환을 위해 노력해 나갔다. 이러한 조선정부와 달리, 일본정부는 국사범을 보호해 일본의 인도적 행동을 드러내고 조선과의 협상카드로 김옥균을 이용하고자 했다. 따라서 번번이 일본국내법과 만국공법, 그리고 조일간 범죄인인도조약의 부재를 이유로 조선정부의 김옥균 송환 요구를 거절했다. 그렇지만 일본정부의 김옥균 비호 방침은 오사카사건 관련자들의 김옥균에 대한 회유 모색이 발각되고 조선정부가 장은규와 지운영을 파견해 김옥균을 암살하려 하면서 변화되었다. 이로 인해 김옥균의 일본체류가 일본국내 치안을 불안하게 만들고 외교 분쟁의 빌미를 제공한다는 사실이 표면화 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러자 일본정부는 김옥균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강구했는데, 공교롭게도 이때 스스로를 지키고자 한 김옥균의 행동이 일본정부를 더욱 자극했다. 일본정부는 1885년까지 망명 국사범의 보호라는 명분과 대조선 정책에서의 활용이라는 실리를 모두 얻고자 김옥균의 일본체류를 묵인했다. 그렇지만 점차 조?청 양국의 반복적인 송환 요구와 일본내 반정부세력과의 연계, 암살자들의 도일 등으로 김옥균을 내치외교의 걸림돌로 판단하게 되었다. 결국 일본정부는 김옥균의 공식적인 신변보호 요청을 계기로 추방을 결정해 오가사라와에 유폐시켰다고 하겠다. The Korean government had constantly promoted the repatriation of political asylum in Japan like Kim Ok-kyun(金玉均) who led a failed coup and fled to Japan. At that time, the Korean government recognized Kim was a threat to the regime and made the feelings of the people disturb.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 opposed the Korean government for they permitted Kim’s residence in Japan. By the way, the Japanese government’s policy had changed because of the discovery of the Osaka plot(大阪事件) with Kim Ok-kyun and an assassin dispatch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Japanese government had to prevent a coup by the opposition with Kim Ok-kyun or the assassins would kill Kim in Japan. Therefore, the Japanese government had decided on Kim’s deportation from Japan because of the obstacles in diplomacy and sedition. Then Kim had consulted his personal problems with an Englishman belonging to the judiciary of Japan and moved to a hostel of France concession in Yokohama, leaving Tokyo. Kim then sued Ji un-yeong(池運永) in court. In addition, Kim asked for personal protection and asylum in Russia from the Speyer of Russian consul in Japan. However, Kim Ok-kyun’s formal request for personal protection antagonized the Japanese government and made his expulsion one of force. As a result, Kim Ok-kyun was confined to Ogasawara(小笠原) Island.

      • KCI등재

        Considering Kim’s Dual Identity in the Post-colonial Discourse

        Kim Hoyeol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5 영미연구 Vol.34 No.-

        It is becoming significant for individuals to find their own individual identities, as the today’s ongoing globalization has become much more complicated. A similar situation occurred when the British Empire influenced the world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culturally in the nineteenth century. In order to grasp human intrinsic identities, my thesis aims to use postcolonial theories to examine characters’ identities in a nineteenth-century British novel, Kipling’s Kim (1901). In Kipling’s Kim, I examine Kim, an Irish boy who experiences racial identity confusion by living in British India. Kim’s identity is ambiguous as his background is complicated: his parents are Irish, Kim was born in India, he was educated in a British school, and he participated in the Great Game. It would prove inadequate to try to see Kim’s identity based on binary oppositions, as Kim’s identity is neither British nor native Indian. Aside from simply being a person named Kim, Kim’s identity consists of being someone who has cultural hybridity. Through the main character of Kim, Kipling suggests that a Brit who understands the local Indian culture and society, as Kim does, would govern India with ease. Overall, Kipling’s Kim elaborates on why or how India should be governed by Britain and also seems to justify the British rule of India. In Kim, Kipling creates the main character of Kim, who has cultural hybridity and whose process of personal growth throughout the novel depicts Kipling’s ideas on how to govern India easily. In order to justify British rule in India, Kipling also depicts how British-Indian society was developed by Britain, also through the character of Kim. Looking into characters’ identities throughout nineteenth-century British novels helps modern readers who live in this complicated world to grasp human intrinsic identities.

      • KCI등재

        김대건 신부의 해로를 통한 조선 입국로

        김수태(Kim, Soo Tae) 한국교회사연구소 2016 敎會史硏究 Vol.0 No.49

        김대건 신부는 신학생 때인 1842년에 프랑스 함대를 타고 조선으로 들어오려다 실패하였다. 1845년 부제로서 육로로 조선에 입국하였던 그는 서해를 건너 중국에 들어간 최초의 천주교 신자가 되었다. 이후 신부가 된 그는 조선에서 타고 갔던 배로 페레올 주교와 다블뤼 신부와 함께 다시 돌아왔다. 그러나 귀국한지 얼마 안 되는 1846년에 그는 백령도 부근을 거점으로 해서 조선과 중국을 연결하는 새로운 입국로를 개척하려다가 체포되고 말았다. 따라서 그는 바다와 함께 살다가 순교한 사제였다고 일컬을 수 있다. 이러한 까닭에 김대건 신부의 서해를 통한 선교사들의 입국로 개척에 대해서는 최근에 들어와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페레올 주교가 구상하고, 김대건 신부가 개척하였기에 가능하게 되었다고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김대건 신부의 해로를 통한 입국로 개척에 대해서는 새롭게 다룰 측면이 있다. 우선 페레올 주교와 김대건 신부의 활동은 그 보다 앞선 선교사들이 시도한 해로 개척의 연장선상에서 살펴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김대건 신부의 활동이 주도적이거나, 능동적으로 제대로 그려지고 있지 않다는 점을 커다란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해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던 김대건 신부에 의해서 프랑스 선교사들의 해로 입국이 구체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과정을 새롭게 살펴보고자 한다. 사실 프랑스 선교사들은 조선배로 조선에 입국하는 문제에 대해서 망설였다. 김대건 부제가 중국으로 타고 온 배가 너무나 작고 초라해서 서해를 건너서 갈 수 있는 배로 생각하지 않았다. 더욱이 김대건 신부의 항해 지식이나 해로 개척 가능성에 대해서도 그다지 신뢰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에 이들은 조선배가 아니라 중국배로 조선으로 돌아가고자 희망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대건 신부는 조선의 배로 두 명의 프랑스 선교사를 태워서 입국하였다. 더 나아가 그는 새로운 지도 작성을 바탕으로 프랑스 선교사들이 백령도 부근을 통해서 조선으로 들어올 수 있는 길을 개척하였다. In 1842, when Kim Daekeon was a seminary student, his attempt to enter Chosun dynasty on the French fleet was frustrated. In 1845, as a deacon whom already entered Chosun by land, he became a first Catholic who entered China by crossing the Western sea. Later, becoming an ordained priest, he came back to Chosun with Bishop Ferréol and Father Daveluy by a ship which he took from Chosun. However in 1846, just after returning from China, he was arrested near the Baengnyeong island attempting to pioneer a new entrance connecting China and Chosun dynasty. Therefore, he can be called as a martyr who dwelled on seas. Due to this, Father Kim Daekweon"s efforts to pioneer missionary entrance through the western sea are currently gaining more interest. This was identified as a feasible plan because Baptiste Ferréol has conceived and Father Kim Daekweon has carried out. However, there is an another perspective to consider regarding Father Kim"s pioneering entrance through seaway. Above all, Bishop Ferréol and Father Kim"s attempts should be considered as an extension of efforts of the previous missionaries. Also, another crucial problem is that Father Kim"s activities are not being portrayed as leading, nor active. In this regard, different examination on how French missionaries" seaway entrance took place by the efforts of Father Kim Daekweon and his expert knowledge about seaway is required. In fact, French missionaries were reluctant at entering Chosun through seaway. The boat that Deacon Kim Daekweon took during his voyage to China was considered too small and flimsy to cross the Western sea. Moreover, Father Kim Daekweon"s nautical knowledge and his vision of pioneering a seaway entrance were thought to be reckless. Hence, they hoped to return to Chosun by chinese ship instead of Chosun"s boat. Nevertheless, Father Kim Daekweon managed to enter Chosun riding Chosun"s boat along with two French missionaries. Furthermore, he pioneered new entrance to Chosun for the French missionaries through mapping areas around Baengnyeong island.

      • KCI등재

        1910~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미국으로 보내진 한글 편지: 김장연씨 일가의 편지를 중심으로

        김양진 ( Kim Yang-jin ),이희영 ( Lee Hee-young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5

        이 논문에서는 초기 미주 지역 이주민인 김장연 씨에게 고국의 가족들이 1914년부터 1920년까지 보낸 일련의 한글 편지들을 판독하고 이를 통하여 20세기 초반 미주 지역 이민사의 편린과 고국에 남겨진 김장연 씨 일가의 사연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편지들은 한반도에서 미주 지역으로 보내진 초기 편지들로 이를 통해 김장연 씨 일가를 중심으로 한 미주 지역에서의 이주민의 생활의 편린을 확인할 수 있었고 문헌 자료를 확인하기 어려운 일제 초기 일반인의 삶과 언어 생활을 엿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구축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이 편지 자료들을 통해서 수원 지역 일대의 실제 지명과 다양한 언어 생활, 미주 지역 이민들과의 교류 내용 등을 알 수 있어서 20세기 초반의 이민사에서 중요한 한글 필사자료 및 언어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밖에 편지 속 등장인물들의 행적들을 <공립신보>, <신한민보> 등 관련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고 감리교단 수원지역 순행 전도사의 활동 기록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Hangul letters which were written by Kim Chang Yeon`s family and emphasize their values as precious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research. Kim`s family in Korea sent letters to Kim Chang Yeon in America from 1914~1920, and these letters includes the life of the first Korean immigrants generations and fill the missing part of Korean language in this period of time of Korea. Based on these letters which were sent from Suwon area, place names of Suwon area and cultural and linguistic connections between Koreans and Korean immigrants can be studied. These letters will be provided to those who studies Korean language as important Hangul written materials that shows many aspects of Korean language. Besides, people`s past in letters such as Kim Byung Kwon, Kim Sun Kwon, Kim Sung Sik, Choi Sim Sun(Kim Chang Yeon`s wife), Kim Rose(Kim Chang Yeon`s elder daughter, Kim Eva(Kim Chang Yeon`s second daughter, Kim Young(Kim Chang Yeon`s elder son), Kim Edward(Kim Chang Yeon`s second son) was checked out in this paper. Finding out what Kim Byung Kwon`s had done as a methodist missionary of Suwon area is a collateral outcome of this study.

      • KCI등재후보

        김용준 著 『단원 김홍도』 해제 : 고독한 천재의 눈에 비친 사실주의 화가 김홍도

        김미정(Kim, Mi jeong) 근대서지학회 2020 근대서지 Vol.- No.22

        이 글의 목적은 김용준(金瑢俊, 1904~1967)의 『단원 김홍도』를 해제하고 김용준의 김홍도 연구가 지닌 미술사적 의의를 찾고자 함이다. 2018년 학계에 처음으로 소개된 『단원 김홍도』는 1955년에 북한에서 출판된 단행본이다. 이 책은 조선회화사 연구서를 통틀어 고전 화가를 개별 작가론으로 서술한 가장 이른 사례의 단행본으로 확인된다. 전체 분량은 51쪽으로, 앞표지는 김홍도의 인장과 신선도(神仙圖)로 꾸며졌다. 15점의 작품 이미지와 함께 수록된 작품해설에는 김용준의 빼어난 문장력과 더불어, 그림에 대한 자신의 감성을 충실하게 묘사하는 수필체 미술사 서술의 진면목이 드러난다. 1955년은 북한 미술사학계에서 비정(比定)한 김홍도의 생년에 따라 김홍도 탄생 195주년이 되는 해였다. 이 무렵 미술사 관련 출판물의 수가 늘어났고 각지에서 수집·발굴된 고서화와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전람회도 개최되었다. 북한 미술계는 1955년을 전후해 민족 미술에 관한 인식의 변화와 함께 조선화에 적용할 내용과 형식의 변화를 모색했다. 이에 따라 『단원 김홍도』는 민족문화에 대한 관심이 촉발된 시기에 맞춰, 위인의 업적을 기려 대내외에 홍보하려는 목적에서 출판되었던 것이다. 월북 이후 김용준은 김홍도를 단일주제로 여러 편의 글을 저술했다. 일련의 글에서 그는 김홍도를 애국주의 화가이자, 18세기 사실주의 미술 발전의 핵심적 역할을 담당했던 화가로 평가했다. 또 김홍도의 신선도와 인물, 풍속 그림들의 필법에 주목했다. 김홍도의 인물화에서 인물형상의 조형적 특징을 찾으려고 했던 김용준은 전통 회화기법을 조선화 창작에 직접 적용했다. 그는 유려한 선조(線條)와 담백한 색채로 조선화를 창작해 여러 전람회에 출품하면서 조선화가 전근대적 산물이라고 보았던 1950년대 중·후반 북한 미술계의 인식을 개선하고자 몸소 실천했다. 조선회화에서의 독창성과 사실성 탐구에 집중했던 김용준의 미술사 연구는 1950년대 후반 북한미술이 조선화를 바탕으로 민족 형식의 전형을 확립해나가는데 밑거름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briefly describe ‘Danwon Kim Hong-do’ written by Kim Yong-jun (金瑢俊 1904~1967) and to understand the art historical implications of Kim Yong-jun’s studies on Kim Hong-do. ‘Danwon Kim Hong-do’ first introduced to academia in 2018 is a book of Korean art history published in North Korea in 1955 and is confirmed to be the earliest book that describes one of the most renowned classical painters based on an individual writer’s theory among all research papers as to the painting history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year 1955 marks the 195th anniversary of Kim’s birth based on his birth year presumed by the North Korean art history academia. In this light, the publication of ‘Danwon Kim Hong-do’ apparently aimed to commemorate the great achievements of one of the most noteworthy painters in Korean art history at home and abroad at a time of soaring interest in national culture. Following his defection to North Korea, Kim Yong-joon wrote a number of articles dedicated to Kim Hong-do. In a series of his writings, he appraised Kim Hong-do as a patriotic painter who played a key role in developing the realism in the 18th century. He also noted Kim Hong-do’s brush stroke in his famous paintings, including Immortals, portraits, and customs paintings. Kim Yong-jun, who sought to identify the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igures in Kim Hong-do’s portraits, applied the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 directly to creating the Joseon paintings. He made sincere effort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North Korean art academy in the mid- and late 1950s who found the Joseon paintings outdated as he created some Joseon paintings with elegant brush and plain colors and presented them to several exhibitions. Kim Yong-jun’s art history studies, which focused on seeking the originality and realism in Joseon paintings, served as a foundation for the North Korean art world to establish an exemplary model of national formality in the late 1950s based on the Joseon paintings.

      • KCI등재

        성폭력 피해자/생존자로서의 근대 최고 여성작가 김명순

        김경애 ( Kim Kyung-ai ) 한국여성사학회 2011 여성과 역사 Vol.- No.14

        근대최초의 여성작가 김명순은 탕녀의 대표적인 표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김명순은 데이트강간과 조선지식인남성들과 언론이 가한 2차 성폭력의 피해자이다. 성폭력의 피해자가 오히려 비난받은 가부장적 사회문화 속에서 김명순은 어머니가 기생 출신의 소실이었다는 사실이 덧붙여져 성적으로 문란한 여성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성폭력 피해자 김명순은 일반적인 피해자들과 마찬가지로 고통을 겪었다. 우울증과 히스테리, 자살시도,남성과의 성관계와 결혼기피, 성폭력자들에 대한 분노와 증오로 복수를 꿈꾸었다. 또한, 자신의 고통을 통해 여성이 남성으로부터 억압을 비판하고 해방을 꿈꾸지만 홀로 이를 성취할 수 없음에 좌절하였다. 그러나 김명순은 홀로 처절한 노력과 종교의 힘으로 성폭력자들을 용서하였고 생존자로 거듭났다. 그러나 김동인이 김명순을 모델로 했다는 「김연실전」을 연재하기 시작하자 조선사회에서 사라졌는데, 그 이후의 김명순의 삶은 앞으로 연구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Kim Myoung Soon, one of earliest Korean modern women writers has been known as a symbol of femme fatal. However, Kim was a victim of `date rape` and secondary sexual violence imposed by male intellectuals and media of Chosun. Under patriarchal socio-cultural background where victims of sexual violences are blamed, the fact that Kim`s mother was an ex-gisaeng concubine was added to brand Kim as sexually promiscuous. Like any victim of violence, Kim suffered from aftereffect-depression, hysteria, series of suicidal attempts, fear of sexual relationship with men and marriage, and rage and hatred against the attackers. Kim criticized the oppression women suffer from men and dream of women`s liberation, only to be disheartened by awareness that she alone cannot achieve the goal. However, through wretched effort and the power of religious(catholic) prayers, she forgave the attackers and was reborn as a survivor. When Kim Dong-in started to publish a novel `a story of Kim YeonSil` in serials, which allegedly was taken from the life of Kim Myoung Soon, she disappeared from Chosun society. The remaining life story of Kim is to be researched.

      • KCI등재

        김기림 시론에서의 모더니티와 역사성의 문제

        김예리(Kim Ye-rhee)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1

        이 글은 김기림 시학에서 ‘시의 회화성’이라는 말로 표현되는 이미지의 강조가 정태적인 이미지가 아닌 시대의 현실을 포착하고 이를 통해 문명 비판의 계기를 마련하는 단초였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개별적인 정서로서의 리듬이 아니라 상징적 주체의 눈을 통해 그려지는 대상-세계의 이미지로의 전환은 상상적인 시에서 구상적인 시로의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김기림은 보편적 언어로 구성되는 시만이 비판되고 감상될 수 있다고 여겼으며, 이러한 예술의 보편성 속에서 비로소 현실 비판의 가능성이 열리게 된다. 따라서 김기림이 현대시의 특질로 들고 있는 ‘시의 회화성’으로 구현되는 이미지가 문자 그대로 단순히 그림 같은 아름다운 이미지로 간주하거나, 활자의 배열이나 글자의 크기와 같은 인쇄 미학적인 시각으로만 ‘시의 회화성’의 문제에 접근해서는 안 되며, 시인주체의 현실의 인식문제와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다. 김기림에게 이미지란 시간성이 내포된 동력적이고 움직이는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미래파적 감수성으로 설명되곤 했던 이러한 이미지는 오히려 에즈라파운드 등의 ‘소용돌이파’의 이미지와 유사하다. 에즈라 파운드는 미래파처럼 직선으로 뻗어나가는 시간 이미지 대신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이미지를 중첩함으로써 동적인 에너지가 풍부한 이미지를 생산하고자 했다. 김기림 역시 이미지의 역동성을 시어의 배열이나 결합이라는 언어구조 속에서 포착하려고 한다. 이러한 병치의 기법은 수사학에서 알레고리 기법과 유사하다. 이러한 병치로서의 알레고리 이미지는 ‘시공간의 동존성’이라는 말로 설명되는 초현실주의 기법이 생산하는 이미지와도 연관성을 갖는다. 시공간의 동존성이나 비약과 같은 방식으로 현실 시간의 문법적 질서를 비웃는 초현실주의적 방법론은 현실이지만 근대적 이성의 문법에 익숙한 이들에게는 보이지 않는 현실의 무의식을 이미지화할 수 있다고 김기림은 생각했다. 이렇게 평범한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세계를 이미지로 드러내는 것이 새로운 가치 창조자로서의 시인의 임무로 여겼다. 즉, 의식과 무의식, 주관과 객관, 과거와 현재와 미래, 현실과 꿈의 모든 경계를 와해하는 초현실주의적 이미지는 김기림에게 세계의 고정된 질서를 파괴하고 억압된 의식의 빈곤한 상상력을 자극시켜 세계의 역사적 흐름의 방향을 뒤흔들어 놓는 혁명적인 이미지로 간주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런 역사적 혁명성을 상실할 때, 초현실주의는 센티멘탈리즘과 구분되지 않는다. 즉, 김기림의 센티멘탈리즘의 비판은 단순히 애상적인 정조에 있지 않았다. 그의 센티멘탈리즘 비판의 핵심은 현재를 보지 못하는 과거 회귀적인 태도에 있었다. 현재 시간의 상실감을 퇴행적 시간으로 채우려는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노스탤지어야말로 김기림이 비판하는 핵심이었다. 현재의 상실의 체험을 서늘하게 인지하고 있는 멜랑콜리적 태도와는 구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김기림에게 미래라는 시간은 언제나 현재를 ‘통해서만’ 인식될 수 있는 것이며, 현재를 무시한 미래 진보적 태도는 아니었다는 점을 놓쳐서는 안 된다. 김기림에게 미래로 진보한다는 것은 현재의 시대를 예각적인 각도를 통해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태도에 의한 정확한 판단을 통해서만 가능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When Kim Kirim emphasizes the workings of image or painterliness of poem in his poetics, his focus is not on the statics of images. This paper argues that Kim's concept of image provides him with the base for his own apprehension of the reality and critiques of civilization. His concept of image epitomizes the transition from the rhythm as the expression of individual emotions to the image of objective world which is essentially visualized through the symbolic subject. This transition can be interpreted as the transition from imaginary poem to figurative poem Kim thinks that the only poem that we can appreciate is the poem that is written in the universal language and the universality realized in this kind of poem opens the possibility to critique the reality. The image realized through the painterliness of poem, which Kim defines as characteristic of modem poem, cannot be regarded as the pictorial beautiful image. It also cannot be limited to typographic techniques, such as unusual arrays of types or irregular size of letters. It has to be considered with the issue of poet-subject's perception of reality. For Kim, image is the dynamic and moving image which implies temporality. This image, that has been explained in tandem with the futuristic sensitivity, is rather related to the concept of image in vorticism, whose primary figure was Ezra Pound. Instead of futurists' linear temporal images, Pound attempted to produce the image charged with the dynamic energy through reiteration of complex and multi-layered images. Kim also tries to grasp the dynamics of images in structure of language, which is expressed through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poetic words. This technique of arrangement is similar to allegory in rhetoric. This allegoric image as arrangement is related to surrealistic image characterized as the simultaneity of time-space. From Kim's point of view, the surrealist methods of the simultaneity of time-space or jump of logic, with which one can ridicule the grammar of temporality in the reality, are strategies to imagine the unconscious of the reality that is blocked from the eyes of modem form of reason. It is poet's calling to reveal the world that is blocked from these ordinary eyes. The surrealist image, that blurs the borderlines between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subject and object, past, present, and future, reality and dream, is the image of revolution. This revolution implies the turnabout of the world history through destructing the fixed order of the given world and giving an impetus to poor imagination of the repressed consciousness. If surrealism loses this revolutionary character, it will not be distinguished from sentimentalism When Kim critiques sentimentalism, his focus was on rather regressive attitude than elegiac tone of poem. In other words, Kim criticizes the attitude to fill in the sense of loss in the present with the regressive time. He defines this attitude as the passive and negative nostalgia. This needs to be discerned from the melancholic attitude with which one can face the reality of loss. To appreciate the significance of Kim's poetics, it is necessary to conceive the time of future can be perceived only through the present. His futuristic attitude always accompanies with the precise conception of the present. For Kim, the task to progress to the future can be achieved only through the precise judgement of the present world with objective and scientific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