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유년기무효화환경과 정서조절곤란의 관계에 부정적자동적사고와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매개된 조절효과

        구본용(Khu bon-young),박영미(Park young-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유년기무효화환경과 부정적자동적사고로 인한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전국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을 통해 회수된 500부의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먼저 기본 통계분석을 하고, SPSS 22.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과 PROCESS Macro 부트스트랩 검증을 시행하여 연구 문제를 분석하였다. 결과 청소년의 유년기무효화환경과 정서조절곤란 간에 부정적자동적사고의 매개 효과와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조절을 확인함으로써 유년기무효화환경이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부정적자동적사고와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증가 및 감소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경험적으로 이 과정을 검증 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청소년의 유년기무효화환경이 정서조절곤란을 높이는 과정에서 부정적자동적사고가 있으면 정서조절곤란을 더욱 증가시키지만, 그 과정에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있으면 정서조절곤란이 감소함이 확인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과를 논의하고, 청소년 교육 현장 적용방안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cognitive mindfulness on adolescents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due to the nullifying environment and negative automatic thinking in adolescents. To this end, by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inking and the regulation of social-cognitive mindfulness between childhood nullification environment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in adolescents, negative automatic thinking and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increase And it was tried to verify this process empirically to see if it can be reduced. Methods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500 copies of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were used for the study of adolescents enroll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The collected data were first subjected to basic statistical analysis, follow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bootstrap verification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PROCESS Macro program to analyze the research problem. Results This process was empirically verified to see if negative automatic thinking and social cognitive mind control can increase or decrease negative automatic thinking and social cognitive mind control by checking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automatic thinking and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hildhood invalidation environment of adolescents further increases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if there is negative automatic thinking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but social cognitive mindfulness reduces emotional control difficulti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application to the field of youth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상담자 상담경력에 따른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 상담목표설정 구체성, 상담자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구본용(Khu Bon Young),박은희(Park Eu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상담경력,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 상담목표설정 구체성, 상담자 만족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과 상담자 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상담자의 상담경력이 상담자 만족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과 상담목표설정 구체성을 선정하여 상담자의 상담경력이 상담자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과 상담목표설정 구체성의 이중매개경로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상담자 482명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상담자 상담경력과 호소문제 명확성, 상담목표설정 구체성, 상담자 만족도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은 상담목표설정 구체성, 상담자 만족도는 정적 상관, 상담목표설정 구체성과 상담자 만족도도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상담자 상담경력이 높을수록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이 높아지고,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이 높을수록 상담자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상담자 상담경력와 상담자 만족도 간에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과 상담목표설정 구체성의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연구에 주는 의의 및 실제 상담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pecification of counseling objectives and the level of counselor s care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s clarity of appeal and the counselor s satisfaction. Method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ounselor s clarity of the appealed problem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counseling objective setting were selected as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s satisfaction and counselor s career, verifying the dual mediation path of the counselor s clarity of the appealed problem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counseling objective in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s satisfaction and counselor s career. The study subjects were 482 counselors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confirming the dual mediation effect in structural equation.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areer of counselor, the specification of the counseling objective setting and the satisfaction of counselor have static correlation and the clarity of couselor’s appealed problem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more the career of counselor, the higher the clarity of counselor’s appealed problem, and the higher the clarity of counselor’s appealed problem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couselor. Also, it was verified that there is an dual mediation effect of the clarity of counselor’s appealed problem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counseling objective setting between the career of the counselor and the satisfaction of counselor.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se research results for research and actual consel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경력기간에 따른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역할갈등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구본용(Khu Bon Young),임애자(Lim Ae 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전문상담교사의 경력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 경력에 따라 전문상담교사 역량이 상담자 소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을 선정하여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 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상담자 268명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전문상담교사 경력에 따른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 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상담자 소진은 전문상담교사 경력에 상관없이 전문상담교사 역량과는 부(-)적 상관을, 전문상담교사 역할갈등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는 경력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5년 미만 경력의 전문상담교사들은 직무역량이 직접적으로 상담자 소진을 감소시키고, 전문상담교사 역량이 높을수록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은 상담자 소진을 증가시키고,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 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이 간접매개효과가 있었다. 반면, 5년 이상 경력의 전문상담교사들은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역할갈등의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아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 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결과가 연구에 주는 의의 및 실제 상담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ffects of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role conflict on counselor burnout are dependent on the length of career. Methods Based on prior research, the role conflict of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 was selected as a variable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depending on the length of career, and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role conflict is the mediating variable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8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with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which the study analyzed correlation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according to the length of career.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ole conflict of the counselor was confirmed.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role conflict showed a dependency on the length of professional counselor career. It was confirmed that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with less than 5 years of experience directly reduced the counselor burnout depending on their job competency, derived from the analysis that the higher the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the less the role conflict of the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 Furthermore, the role conflict of the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 increased the counselor burnout, and the role conflict had an indirec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the counselor burnout. On the other hand, for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th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role conflict was observed to be insignificant, from which we can conclude the role conflict does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e study to the research and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consult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의 아동학대 경험, 우울 및 불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된 조절효과

        구본용(Khu Bon Young),김지은(Kim Ji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의 아동학대 경험, 우울 및 불안이 자살사고의 관계를 통해 중학생의 자살사고를 높이는 부정적인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여 중학생의 자살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돕고자 진행되었고, 중학생의 아동학대 경험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우울 및 불안 및 자아존중감의 예방적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는 아동기 학대경험으로 인해 내재화된 우울이나 불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본 연구 대상자는 2019년 공개된 13차 년도 한국복지패널에 참가한 중학생 총 391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아동학대 경험, 자살사고 간에 우울 및 불안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아동학대 경험, 자살사고 간에 우울 및 불안을 통한 자아존중감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우울 및 불안이 자살사고로 가는 직접 영향이 적어짐을 의미한다. 결론 이를 바탕으로 자살사고를 감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힘을 길러주기 위해 필요한 우울 및 불안과 자아존중감의 기능을 확인함으로써 중학생의 자살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reduce suicide accidents by identifying the negative effects of increasing middle school students suicide accidents and the positive effects of self-esteem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thoughts, depression and anx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confirm the preventive function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s and suicide Ide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is to prepare a plan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depression or anxiety internalized by childhood abuse experiences on suicide Idea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used the data of a total of 391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13th Korean Welfare Panel released in 2019.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anxiety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s and suicidal Ideation, and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through depression and anxiety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s and suicide Idea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self-esteem directly influenced the less depression and anxiety to suicide Ideation. Conclu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plan to reduce suicide Ide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by identifying the functions of depression, anxiety, and self-esteem necessary to develop specific strength to reduce suicide Ide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열등감, 지연행동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구본용(Khu, Bonyoung),박미선(Park, Misun) 한국재활심리학회 2020 재활심리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열등감, 지연행동,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확인하여 열등감이 높은 청소년들의 진로미결정 수준을 낮출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상담적 개입방안을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청소년의 열등감, 지연행동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요인인 사회적 지지가 이들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지역 고등학교 585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 접근법으로 연구모형을 분석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열등감의 하위요인과 진로미결정의 영향 관계에서 신체적 열등감과 사회적 열등감, 가정적 열등감이 진로미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연행동이 진로미결정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는 진로미결정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열등감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지연행동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열등감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지연행동이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사회적 지지가 열등감과 지연행동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약화시키는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열등감, 지연행동,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영향력을 확인해 줌으로써 열등감을 지닌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상담에 필요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iority complex, delayed behavior, and career decision-making in youth, in order to guide counseling to reduce career indecision in youth with a high sense of inferiority. Data were collected from 585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do,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ubfactors of inferiority (physical, social, and family inferior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indecision. While, social support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making. Delaying behavior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iority complex and career indecision. Whereas, social support regulated the effect of delaying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iority and career indecision. In other words, social support reduced the negative effects of inferiority and delaying behavior on career decision-making. This study informs career counseling for youth with inferiority complex by highligh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iority, delaying behavior and career decision-making.

      • KCI등재

        지각된 수퍼바이저 스타일이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수퍼바이저 진정성과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이중매개 효과

        구본용(Khu Bon Young),김혜련(Kim Hye R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는 지각된 수퍼바이저 스타일, 수퍼바이저 진정성, 수퍼비전 작업동맹, 수퍼비전 만족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수퍼바이저 스타일과 수퍼비전 만족도 간에 수퍼바이저의 진정성과 수퍼비전 작업동맹이 이중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지역 상담 기관, 대학교 상담센터 및 사설 상담센터에 종사하는 수퍼비전 경험(한 명의 수퍼바이저로부터 3회 이상의 수퍼비전을 받은 경험)이 있는 상담자를 대상으로 온라인(Google 설문) 방식으로 진행하여 25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2.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수퍼바이저 스타일과 수퍼비전 만족도 간에 수퍼바이저의 진정성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수퍼바이저 스타일과 수퍼비전 만족도 간에 수퍼비전 작업동맹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수퍼바이저 스타일과 수퍼비전 만족도 간에 수퍼바이저의 진정성,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결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수퍼비전을 위한 수퍼바이저의 특성과 수퍼비전 과정을 확인함으로써 수퍼비전 실제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upervisory style, supervisory authenticity, supervision work alliance,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supervisory authenticity and supervision work alliance play a double mediating role between supervisory style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Methods To this end, we conducted an online (Google survey) method for counselors with supervisory experience (experienced 3 or more supervisions from one supervisor) working at local counseling agencies,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and private counseling centers to collect data from 252 peop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2.0 and PROCESS macro.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upervisory authenticity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upervisory style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Second, the supervision working allianc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upervisory style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Third,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y authenticity and supervision working alliance was significant between supervisory style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Conclusions Based on this, the supervisory characteristics and supervision process for effective supervision were identified, and a plan for actual supervision was suggested.

      • KCI등재

        In Vitro Screening of Potato Genotypes for Resistance to Common Scab Using Thaxtomin A

        Dong-Man Khu,Stephen L. Love,Hwang-Sung Mo,Kui-Hua Li,Hak-Tae Lim 한국원예학회 2007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Vol.48 No.4

        Thaxtomin A is a bio-toxin produced by Streptomyces scabies and is thought to be responsible for visible tuber symptoms associated with the common scab disease. It was hypothesized that response of in vitro plantlets to the toxin may be related to tuber reaction in the field. A population of 100 genotypes originating from a resistant x susceptible cross was evaluated for both in-vitro thaxtomin response and field occurrence of common scab on the tubers. The shoot height of plantlets grown on the medium containing thaxtomin A was used as a measure of the tolerance of each genotype. The surface area infected index (SAII) of each genotype was measured and used as gauge of resistance level of each genotype in the fiel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in vitro shoot height of plantlets, grown on media containing 1.0 mgㆍL<SUP>-1</SUP> of thaxtomin A, and SAII of each genotype was highly significant (r = - 0.656). in vitro screening of potato germplasm using thaxtomin shows promise as a method to select for resistance to common scab.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