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증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의 동종골수이식 후에 병발한 간정맥폐색질환(Hepatic Veno-Occlusive Disease)의 임상 경과 및 혈액응고 인자들의 변화

        이제환,이규형,최성준,민영주,김신,이정신,김상희,박찬정,지현숙,김우건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9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4 No.2

        연구배경: 재생불량성 빈혈 경우에는 조혈모세포 이식 후 VOD의 발생에 관한 보고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저자 등은 cyclophosphamide와 antithymocyte globulin으로 전처치 후에 동종골수이식을 시행한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VOD의 발생과 임상 양상, 혈액응고 인자들의 변화에 관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방법: 재생불량성 빈혈로 동종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13예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기준에 따라 VOD를 진단하였으며 임상 경과에 따라서 경중을 분류하였다. Protein C, protein S, antithrombin Ⅲ, tPA, PAI-1 등의 혈액응고 인자들을 전처치 투여전, 골수 주입당일, 이식 후 제7, 14, 21일에 측정하였다. 결과: 7예(53.8%)에서 VOD가 발생하였으며, 경증 5예, 중등도 2예였다. VOD군에서 혈소판치가 20.000/㎕ 이상을 유지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더 길었다(p=0.026). 또한 VOD군에서 적혈구 및 혈소판의 수혈 요구량이 각각 유의하게 많았다(p=0.025, 0.015). 혈액응고 인자들의 변화를 보면, 제 0일에 VOD군에서 PAI-1의 혈중 농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34). 결론: 재생불량성 빈혈환자에서도 조혈모세포 이식 후에 VOD의 높은 발생률을 관찰하였으며, 대부분이 경증이었다. VOD 환자에서의 혈액응고 인자들의 변화는 PAL-1이 VOD의 감별 진단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Background: There are few reports about the occurrence of hepatic veno-occlusive disease(VOD)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for severe aplastic anemia (SAA). We analyzed the incidence and clinical outcomes of VOD and changes of coagulation factors in patients with SAA who were conditioned with cyclophosphamide plus ATG and underwent allogeneic BMT. Methods: Thirteen patients with SAA who underwent allogeneic BMT were included. A diagnosis of VOD was made according to clinical criteria, and severity of VOD was classified according to clinical course. Plasma levels of protein C, protein S, antithrombin Ⅲ, t-PA, and PAI-1 were determined before preparative chemotherapy, in the day of marrow infusion, and days 7, 14, and 21. Results: VOD occurred in 7/13(53.8%). Five were mild VOD and two were moderate VOD. Time to platelet ≥20,000/L was slower (p=0.026) and red cell and platelet transfusion requirements were higher (p=0.025,0.015) in patients with VOD . The mean plasma level of PAI-1 at 0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VOD (p=0.034). Conclusion: We observed the high incidence of VOD after allogeneic BMT in patients with SAA. A majority of cases of VOD were mild. The changes of PAI-1 after BMT may be useful marker of hepatic VOD

      • 유세포 측정을 통한 CD34^(+)세포의 정량방법 비교

        양형모,서영훈,엄현석,민창기,김희제,정대철,이종욱,진종율,한치화,김춘추,김학주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8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3 No.2

        본 연구소에서는 현재 CD34^(+) 세포의 정량에 사용되고 있는 4가지 서로 다른 방법을 가지고 골수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각각의 방법들이 편리한 점과 불리한 점들을 가지고 있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 CD34-PE/CD45-FITC 방법13(ISHAGE: International Society of Hematotherapy and Graft Engineering), 2) CD34-PE/CD14-FITC 방법, 3) CD34-PE/CD14-FITC/CD45-PerCP 방법, 4) DNA dye/CD34-PE/CD45-PerCP4(Becton Dickinson) 등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CD34^(+) 세포의 농도는 다음과 같았다. 1) 0.473±0.345, (%Mean±SD, N=70) 2) 0.663±0.519, (N=20), 3) 0.543±0.381 (N=46), 4) 0.624±0.341, (N=32). 시료로는 여의도 성모병원 카톨릭 조혈모세포이식 센터에서 채혈한 골수를 이용하였다. Four different methods for flow cytometric quantitation of CD34+ cell were compared using bone marrow samples (n=168). Following combination of antibod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 A) CD45-FITC/CD34-PE (n=70), B) CD14-FITC/CD34-PE (n=20), C) CD14-FITC /CD34-PE /CD45-PerCP(n=46), D) DNA dye/CD34-PE/CD45-PerCP (n=32). Each metho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P=0.126, ANOVA test, SPSS Version 7.5). When we compare these methods using same samples (n=12), the P value became 0.832. The mean % of CD34+ cells calculated in this experiment were A) 0.474%, B) 0.663%, C) 0.548%, D) 0.624% respectively. In our laboratory, we decided to use CD45-FITC/CD34-PE methods as a routine protocol.

      • 시멘트 콘크리트의 건조수축균열 특성

        박제선,윤경구,이주형,김태환,정원경 강원대학교 부설 석재복합신소재 제품연구센터 2000 석재연 논문집 Vol.5 No.-

        콘크리트는 본질적으로 인장강고와 휨강도가 약하며 취성적 성질을 나타내는 결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보강할 목적으로 콘크리트에 섬유를 혼입한 섬유보강 콘크리트가 크게 각광받고 있다. 특히 폴리프로필렌 섬유보강은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가 건조나 동해에 의해 수축될 때 구속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응력 및 균열을 제어하고 인성의 증가와 충격, 마모, 피로에 대한 저항성,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1축으로 구속된 건조수축의 구속으로 인한 조강형 콘크리트의 잔류응력을 선형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할 수 있었고 조강형 콘크리트에 섬유보강으로 인한 건조수축 제어효과는 일반큰코리트에 비해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폴리크로필렌 섬유의 혼입으로 인해 콘크리트의 균열제어가 가능하며, 균열 폭이 큰 균열보다는 많은 미세 균열을 유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섬유보강 조강형 큰크리트의 동결융해저항특성은 거의 동해의 손상을 받지 않으며 좋은 내구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규칙하게 배향된 섬유가 공극수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메트릭스 내의 팽창압으로 인한 파괴를 최대한 줄였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표면손상과 박리저항에 매우 우수하며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내구적 측면의 유지, 보수에 있어서도 섬유보강은 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o improve the brittle nature of concrete, discrete fibers can be adapted in concrete. Since polypropylene fiber has many advantages in many points on its chemical stability and good durability, its usages have been increased gradually. It has been reported than polypropylene fibers can not only control restrained tensional stresses and cracks, but also increase toughness, resistance to impact, corrosion, fatigue, and durability. Although the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concretes with ordinary cement have been studied so much, those with very early strength concretes have not studied at a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itiate and conduct the researches for the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very early strength concretes which has enough workability and durability. This study of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very early strength concrete focused on the investigation each material's effect into strength development with analysis of restrained shrinkage properties with one-dimensional concrete members.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optimized mixture combinations could be selected in very early strength concrete by incorporating polypropylene fibers, keeping in same strength levels at urgent repair works. The formation of needle-shape ettringite helps the early strength development, specially at flexural and this enables the repaired concrete structures or pavements to be opened to traffic after 3 hours of concrete placement. A residual stress of early strength concrete caused by one-dimensional restrained drying shrinkage was predicted from linear model. the control of shrinkage crack by fiber reinforcement at early strength concrete was better than that of ordinary portland cement concrete because of bridging effect of fiber at early age and resulting of more hair cracks rather than fewer wider cracks. As a results, this dissertation clearly validated the fiber reinforcement on the strength development and durability of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very early strength concrete, and characteristic of restrained shrinkage. The proposed optimized concrete mixtures might be satisfactory applied at the repair works in fields, because of its durability and crack control capacity against freeze-thaw and contraction at early age, respectively.

      • KCI등재

        치아종을 동반한 선천적 결손된 유견치의 공간

        이정은,이제호,최형준,김성오,송제선,손흥규,최병재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7 No.2

        치열궁에서 공간이 상실되는 것은 악궁내 치아의 고유한 위치에 변화가 생겼을 때 인접 근육들간의 힘의 균형이 변함으로써 치아의 위치이동이 나타나게 되어 발생한다. 공간의 상실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인접면 우식증이나 조기 발거, 치아의 선천적 결손, 왜소치 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 치아의 선천적 결손은 유치열기에서는 영구치열기에 비하여 매우 낮은 빈도를 보이며 계승 영구치의 결손과 높은 관련성이 있다. 선전적 결손은 유측절치에서 호발하며 하악보다 상악에서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지만, 유견치에서는 드물게 나타난다. 유치의 선천적 결손은 악궁 내에서 인접치아의 경사 및 계승치를 위한 공간의 상설, 악궁 장경의 감소로 인한 치열궁 협착 등과 같은 공간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이 증례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유치열기 어린이에서 상악 우측 유견치의 선천적 결손과 그 부위의 치아종이 있는 악궁의 공간에 대하여 관찰한 것이다 2년 10개월 동안의 정기검사에서 상악 우측 유견치 부위의 콩간 상실은 없었으며 정중선변위나인접치의 근심 경사, 치아종으로인한 임상및 방사선학적 증상등을보이지 않았다 주기적인 관찰을 통해 치아종이 측절치나 견치의 맹출을 방해하거나 주변으로 낭성변화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측절치나 견치의 맹출시기에 치아종을 외과적으로 제거할 예정이며, 상태에 따라 공간유지장치 또는 교정치료가 필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Space loss of dental arch can appear when the proper position of teeth within the dental arch changes by a certain cause, because the balance of force makes changes about tooth position as well as alignment, The causes of space loss include proximal caries, early extraction, congenital missing of a tooth and hypodontia, etc. Among those causes of space loss, congenital missing of a tooth is more rarely observed in the primary dentition than in the permanent dentition. Congenital missing in the primary dentition is associated with that in the permanent dentition. Furthermore, it can cause space problem, such as mesial tilting or drift of adjacent teeth, space loss for permanent successors and dental arch constriction, etc. Primary lateral incisors is the most commonly involved, in the maxilla rather than in the mandible, but primary canine is rarely reported. In this patient,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t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it was observed that the maxillary right primary canine was congenitally missing and an odontoma was found insteadly. However, neither the space loss for the congenitally missing primary canine nor midline deviation is remarkable during the 2-year-10-month observation period. In addition, any clinical or radiographical symptom did not occur in spite of odontoma. Therefore, surgical enucleation of odontoma is planned according to the eruption of permanent lateral incisor or canine, unless eruption failure of permanent lateral incisor or canine nor cystic change around the odontoma is occurred. Through further evaluation, space maintainer or orthodontic treatment may be necessary.

      • KCI등재

        계승영구치가 선천적 결손된 유치의 치근 흡수

        이정은,이제호,최형준,김성오,송제선,손흥규,최병재 대한소아치과학회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4

        유치의 정상적인 치근 흡수는 계승 영구치의 맹출 압력으로 단핵구 세포가 방출되어 파골세포로의 분화가 촉진되어 일어나며, 계승 영구치의 맹출 경로를 따라 유치의 치근이 흡수되어서 유치가 탈락하게 된다. 계승 영구치가 선천적으로 결손되었을 때에도 유치의 치근은 흡수될 수 있는데, 유치의 비정상적 치근흡수는 외상이나 염증, 교합압의 증가, 지지조직의 약화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치아의 선천적 결손은 인간에서 가장 흔한 발육이상이며, 영구치가 결손되었을 때 유치는 만기 잔존할 수 있다. 영구치의 선천적 결손은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국소적 원인이나 인류 진화에 따른 영향 등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이 증례들은 계승 영구치가 선천적으로 결손된 어린이에서 유치의 치근이 비정상적으로 흡수된 경우로 계승 영구치가 결손 된 유전치와 유견치, 유구치의 치근이 1/2 ~ 3/4정도까지 흡수 되었으며 흡수 부위는 불규칙적인 형태를 보였다. 원인으로는 흡수에 감수성이 높은 유치의 치주인대, 그리고 성장에 따라 증가되는 저작근육과 저작력, 혼합치열기에 유발되는 비정상적 교합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계승 영구치가 결손된 유치가 비정상적인 치근 흡수를 보이는 경우에 유치는 유지될 수도 있지만, 여러 요인에 의하여 탈락될 경우에는 공간을 유지 할 것인지 판단해야 하며, 향후 보철치료나 교정치료를 요하므로 장기적인 치료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Root resorption of primary teeth usually occurs as the succeeding permanent teeth erupt, which induces differentiation of the hemopoietic cells into osteoclasts. Their root resorption pattern reflects the eruption path of the succeeding permanent teeth, and eventually the primary teeth shed as their succeeding permanent teeth erupt. Even when a permanent tooth germ is congenitally missing, root resorption of the corresponding primary tooth may still occur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inflammation, traumatic occlusal force, and weakness of periodontium etc. Such congenital missing of permanent teeth is a commonly observed phenomenon in human be ing, and it often accompanies delayed retention of primary teeth. The etiologic factors for congenital missing in elude not only systemic diseases, but also local factors and human evolution process. In the radiographs of the cases in this report, the primary teeth without succeeding permanent teeth show pathologic root resorption. Root resorption progressed about 1/2~3/4 of the roots, and the surfaces of the resorption area were irregular. Considering high susceptibility of the periodontal ligament of primary teeth to root resorption, pathologic root resorption of primary teeth with delayed retention can be explained by the increased masticatory muscle force and abnormal occlusion developed during the mixed dentition. When the primary teeth without succeeding permanent teeth are lost, decision for space maintenance is required and long-term treatment plan for further prosthetic or orthodontic treatment should be establsihed.

      • 중증 재생불량성빈혈에서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위한 cyclophosphamide와 antithymocyte globulin전처치 요법

        이정희,이제환,김신,설미이,이정신,김우건,김상희,지현숙,박찬정,이규형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1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6 No.1

        배경: Cyclophosphamide와 ATG의 전처치 요법은 HLA가 일치하는 형제간 골수이식에서는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에서는 전처치 요법으로서 불충분한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주요 문제는 착상 부전이었다.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극동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에서 발표되는 보고에 의하면 타인이식을 포함하여 골수이식 후 착상 부전과 이식편대숙주질환의 발생이 서구 국가들로부터의 보고에서보다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 등은 6예의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들에서 질병 초기에 Cyclophosphamide와 ATG만을 이용하여 전처치를 한 후에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하였다.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서울중앙병원에서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성인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수이식을 위한 전처치 요법으로 cyclophosphamide (50 mg/kg/d x 4)와 ATG (30 mg/kg/d x 3)를 투여하였는데, 골수이식 전에 ATG에 대하여 과민 반응을 보였던 한 예 (UPN 120)에서는 ATG 대신에 fludarabine (30 mg/m2/d x 3)을 투여하였다.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cyclosporine과 methotrexate를 투여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중에 모두 6예가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 받았는데, 5예는 타인으로부터 골수를 공여 받았으며, 1예는 HLA의 표현형이 하나의 유전자좌에서 일치하지 않는 형제로부터 골수를 공여 받았다. 타인 골수이식을 받은 5예 중에서 3예의 공여자는 HLA의 표현형이 일치하였으며, 1예는 하나의 유전자좌가 major mismatch였고, 1예는 하나의 유전자좌가 minor mismatch였다. 추적기간의 중앙값은 406일 (범위, 328-643일)인데, 6예 모두에서 착상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생존해있다. 2예에서 3도의 급성 이식편대숙주질환과 전신성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이 발생하였다. 결론: Cyclophosphamide와 ATG의 전처치 요법은 재생불량성빈혈의 초기에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한국인 환자들에서 충분히 착상을 가져올 수 있는 요법으로 생각된다. 비록 본 연구의 대상 환자 수가 적지만 결과는 매우 고무적이다. HLA가 일치하는 형제가 없는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의 경우에 타인 골수 공여자에 대한 검색을 조기에 시행해야 하며,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질병 초기에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Cyclophosphamide (CY) and ATG regimen was reported to be insufficient for alternative donor BMT in SAA patients due to high incidence of graft rejection. The rates of graft rejection and GVHD after allogeneic BMT including unrelated donor transplants seemed to be lower in reports from Asian countries of Far East. We applied CY/ATG regimen to six patients with early stage of SAA transplanted with marrow from alternative donors other than HLA-identical siblings. Methods: Three patients were transplanted from HLA-phenotypically identical unrelated donors, two from one-locus mismatched unrelated donors, and one from an one-locus mismatched sibling donor. Four patients received no previous therapy for SAA, and two received one course of immunosuppressive therapy with ATG. Preparative regimen was CY (200 mg/kg) plus ATG (90 mg/kg) in all patients except one who had had an anaphylactic reaction to ATG prior to BMT and received fludarabine (90 mg/m2) in place of ATG. Cyclosporine plus methotrexate were given for GVHD prophylaxis. Results: All six patients engrafted and all are alive with durable engraftment at a median follow-up of 406 days (range, 328 to 643). Two patients developed grade III acute GVHD and extensive chronic GVHD. Conclusions: CY/ATG regimen may be sufficient in Korean patients with early stage of SAA transplanted with marrow from alternative donors. Although the number of patients in present study is small, results are encouraging. Stem cell transplantation using alternative donors may be considered at early stage of aplastic anemia.

      • 폐주불사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관한 연구

        김태경,박정호,이정호,이주형,박제선,김연경,윤경구 강원대학교 석재복합신소재제품연구센터 1998 석재연 논문집 Vol.3 No.-

        콘크리트 구조물은 자연적인 혹은 인위적인 온도의 상승, 강하로 인하여 동결-융해 작용을 받게 되어 구조물의 성능저하를 야기시킨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콘크리트의 내구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적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폐주물사 콘크리트를 실제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내구특성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폐주물사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내구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동결-융해 실험은 폐주물사의 잔골재 치환율, 물-시멘트비, AE제 사용 여부를 주요 변수로 하여 실시하였다. 원형공시체를 제작하여, 동결-융해 시험기에 넣어 -18∼4℃로 급속 동결-융해를 진행시키면서 매 23싸이클마다 동탄성계수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AE제를 첨가했을 때 물-시멘트비가 적을수록, 폐주물사의 치환율이 클수록 전반적으로 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시멘트비가 증가함에 따라, AE제를 사용한 콘크리트가 동결-융해 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폐주물사 치환율이 50%일 때가 동결-융해 저항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25, 0% 순으로 저항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폐주물사 콘크리트가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폐주물사를 콘크리트에 재활용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crete structures has been deteriorated by the freezing and thawing due to temperature gap.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durability of concrete which are increasingly demanded recently. Therefore the research of durability must be executed for application of waste foundry sand concrete real structures. Concrete durability properties incorporating waste foundry sand was performed with the variable of W/C ratio, Sand/Waste foundry sand ratio and Air entrainment-Non air entrainment. Cylinder specimens were made and subjected to freezing and thawing cycle at -18℃ and 4℃. Dynamic modulus of elasticity were evaluated as F/T cycle increase. The results show that strength of concrete is increased the W/C ratio decrease, the Sand/Waste foundry sand ratio increase when the concrete contains AE agent and decreasing W/C ratio and AE concrete makes improved resistance of freezing and thawing improved. Especially, resistance of freezing and thawing is improved by Fine aggregate/Waste foundry sand ratio which is 50%, 25%, 0% in a row. Therefore it is turn out the waste foundry sand could be applied to concrete from the experiment.

      • KCI등재후보

        전경대원에서 발생한 결핵의 임상 양상

        문창기,박상준,조민구,김영중,김소연,김윤권,정준오,안석진,김은실,서승오,김지훈,최원제,이윤영,박형기,최규영,김현근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6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the incid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tuberculosis (TB) in combat and auxiliary police, living in a group, in Korea where the incidence rate of active TB in a general population is higher than in Western countries. Materials and Methods: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all tuberculosis patients diagnosed at National Police Hospital from January 2002 through December 2004. Results:In 2002-2004, a total of 156 cases of tuberculosis were identified with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ge of 20.6 (±1.0) years. Of these, 134 (85.9%) patients were registered as new cases, 11 (7.1%) as relapse, 2 (1.3%) as failure, 5 (3.1%) as treatment-after-default cases whereas 4 (2.6 %) patients were not included in any categories. Average annual new TB rate and smear-positive TB rate were 86.5/10^(5) and 17.4/10^(5) person-years, respectively. In 12 of 31 smear-positive cases, time from onset of symptoms to diagnosis was more than 30 days. Two multidrug-resistance TB cases were identified and two suspected outbreak episodes of TB had occurred during 3 years. Conclusion: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rate of new cases of TB between the general population aged 20 to 29 years and combat and auxiliary police in Korea. 배경 : 국내 결핵의 발생은 감소 추세에 있으나 여전히 후진국형 발생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집단생활을 하는 젊은이들에서 발생하는 결핵의 유행이 간헐적으로 알려지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전경대원의 결핵 발병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2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3년간 경찰병원에서 결핵 진료를 받은 전경대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연도별 결핵 신환발생률, 도말양성결핵 신환율, 진단 지연, 집단발병, 다제내성결핵을 조사하였다. 결과 : 연도별 결핵 신환자 수(10만명당 발생추정치)는 2002년 50명(83.6명), 2003년 42명(83.7명), 2004년 42명(93.5명)이었고 도말양성 폐결핵 신환자 수는 2002년 10명(16.7명), 2003년 11명(21.9명), 2004년 6명(13.4명)이었다. 3년간 도말양성 폐결핵 환자는 31명이 있었고 그 중 12명은 호흡기 증상 발생 30일이 지나서 진단을 받았다. 다제내성 결핵은 2명이 있었으며 결핵의 집단발병이 의심되는 사례는 2차례 있었다. 결론 : 전경대원과 20-29세 연령군 일반인의 결핵 신환발생률, 도말양성 폐결핵 발생률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KCI등재

        초음파 펄스에코 신호의 3차원 처리

        송문호,손상락,조정호,성제중,안형근,장순재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03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23 No.5

        비파괴 시험을 위한 3차원 구조의 초음파 영상에는 다양한 결함을 명백하게 보여줄 수 있을 만큼 상세하고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수년 동안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용된 금속관에 발견되는 소규모의 균열은 전형적인 결함들인데, 이러한 밀리미터 이하의 균열이나 결함은 최종 3차원 영상에서 묘사되어야만 의미있는 검사가 될 것이다. 향상된 선명도와 그에 따른 결함의 발견 과정의 한 단계로써, 펄스에코(pulse-echo) 초음파를 사용한 3차원 영상제작 기술을 제안한다. 이 기술은 필요한 스캐닝과 펄스에코 데이터의 처리과정을 통한 검사로 3차원 물체의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데, 2차원 위너필터(Wiener filter)에 의해 초음파 빔을 선명하게 하는 기술을 포함한다. 제안하는 위너필터는 빔의 전달에서 펄스에코 데이터를 초음파 빔 방향의 수직방향에 따라 필터링한다. 이 3차윈 처리과정은 결함의 선명성을 증진시키고 사용자에게 3차윈 구조물의 좌우 회전 및 축 회전과 같은 조작 능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조작 능력은 3차원에서 다양한 결함들의 크기와 위치의 분명한 묘사를 가능하게 한다. Infrasonic imaging of 3-D structures for nondestructive evaluation must provide readily recognizable images with enough details to clearly show various flaws that may or may not be present. Typical flaws that need to be detected are miniature cracks, for instance, in metal pipes having aged over years of operation in nuclear power plants; and these sub-millimeter cracks or flaws must be depicted in the final 3-D image for a meaningful evaluation. As a step towards improving conspicuity and thus detection of flaws, we propose a pulse-echo ultrasonic imaging technique to generate various 3-D views of the 3-D object under evaluation through strategic scanning and processing of the pulse-echo data. We employ a 2-D Wiener filter that filters the pulse-echo data along the plane orthogonal to the beam propagation so that ultrasonic beams can be sharpened. This three-dimensional processing and display coupled with 3-D manipulation capabilities by which users are able to pan and rotate the 3-D structure improve conspicuity of flaws. Providing such manipulation operations allow a clear depiction of the size and the location of various flaws in 3-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