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nduction of Anticarcinogenic Enzymes by Dichloromethane-soluble Fraction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in Mouse Hepatoma Cells

        Seo, JiYeon,Kim, Hyo Jung,Kim, Jong-Sang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2014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Vol.32 No.3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is known as an insecticide and traditional remedy for liver related diseas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emopreventive effects of extracts and several solvent fractions (n-hexane, dichloromethane, n-butanol, water)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First, their cytotoxicity and NQO1 activity were measured using an MTT assay, plus a quinone reductase [NAD(P)H dehydrogenase (quinone); NAD(P)H: (quinone acceptor) oxidoreductase, EC 1.6.99.2]-inducing activity assay was performed using cultured murine hepatoma cells (Hepa1c1c7) and its mutant cells(BpRc1). The reduction of electrophilic quinones by NQO1 is an important detoxification pathway and major mechanism of chemoprevention. When compared with the other solvent soluble fractions with different polarities, the dichloromethane fraction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showed a higher NQO1-inducing activity that was also dose-dependent. Moreover, the dichloromethane fraction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induced ARE-luciferase activities in HepG2-C8 cells that were generated by transfecting the ARE-luciferase gene construct, suggesting the Nrf2-ARE-mediated induction of anti-oxidative enzymes. In conclusion, the dichloromethane-soluble fraction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showed a relatively strong induction of detoxifying enzymes, thereby meriting further study to identify the active components and evaluate their potential as cancer preventive agents.

      • Induction of Anticarcinogenic Enzymes by Dichloromethane-soluble Fraction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in Mouse Hepatoma Cells

        Seo, JiYeon,Kim, Hyo Jung,Kim, Jong-Sang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14 慶北大農學誌 Vol.32 No.3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is known as an insecticide and traditional remedy for liver related diseas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emopreventive effects of extracts and several solvent fractions (n-hexane, dichloromethane, n-butanol, water)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First, their cytotoxicity and NQO1 activity were measured using an MTT assay, plus a quinone reductase [NAD(P)H dehydrogenase (quinone); NAD(P)H: (quinone acceptor) oxidoreductase, EC 1.6.99.2]-inducing activity assay was performed using cultured murine hepatoma cells (Hepa1c1c7) and its mutant cells(BpRc1). The reduction of electrophilic quinones by NQO1 is an important detoxification pathway and major mechanism of chemoprevention. When compared with the other solvent soluble fractions with different polarities, the dichloromethane fraction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showed a higher NQO1-inducing activity that was also dose-dependent. Moreover, the dichloromethane fraction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induced ARE-luciferase activities in HepG2-C8 cells that were generated by transfecting the ARE-luciferase gene construct, suggesting the Nrf2-ARE-mediated induction of anti-oxidative enzymes. In conclusion, the dichloromethane-soluble fraction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showed a relatively strong induction of detoxifying enzymes, thereby meriting further study to identify the active components and evaluate their potential as cancer preventive agents.

      • KCI등재

        SRI 물관리 방법이 논의 관개용수량과 비점오염원 저감에 미치는 영향

        서지연 ( Jiyeon Seo ),박배경 ( Baekyung Park ),박운지 ( Woonji Park ),윤광식 ( Kwangsik Yoon ),최동호 ( Dongho Choi ),김용석 ( Yongseok Kim ),류지철 ( Jichul Ryu ),최중대 ( Joongdae Choi ) 한국물환경학회(구 한국수질보전학회) 2016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2 No.2

        Monitored data (rainfall runoff and water quality) from 4 different paddy sites over 3 years were compared to analyze the effect of irrigation water management on irrigation supply and rainfall runoff quality in Korea. The 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 water management was adopted at one site (SRI) while the conventional water management method was used for rice culture at the other three sites (CT, SD and HD). The soil texture at SRI, CT and SD was sandy loam while that at HD was silt loam. The average reduction of irrigation supply at SRI compared with CT, SD and HD during the 3 years studied was 49%, 51% and 55%, respectively. The average event mean concentration (EMC) at SRI compared with that at CT, SD and HD was decreased by 35% (BOD), 44% (COD), 47% (SS), 19% (TN) and 38% (TP). The correlation between rainfall runoff and the measured non-point source (NPS) pollutants was very good in general. The comparison revealed that SRI water management significantly reduced both irrigation supply and EMC in rainfall runoff. Paddy NPS pollution was closely related to factors that induce runoff such as rainfall and irrigation supply. It was concluded that SRI management could be an effective and practical option to cope with both water shortage due to climate change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rural watershed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in large irrigation districts for use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NPS pollution policies sinc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field sized paddies.

      • SRI 물 관리 방법에 따른 하천수질 개선효과 분석

        서지연 ( Jiyeon Seo ),황하선 ( Hasun Hwang ),이성준 ( Sungjun Lee ),박배경 ( Baekyung Park ),김용석 ( Yongseok Kim ),최중대 ( Joongdae Choi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농촌지역의 비점오염원 모의를 위해서는 다양한 토지이용과 영농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충분한 매개변수를 고려하여야 하며, 농업최적관리기법 등에 따른 오염물질의 저감 등의 기작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WinHSPF의 추가모듈인 WinHSPF-PADDY를 활용하여 기존 선행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했던 우리나라 논의 특징인 물꼬와 관개를 고려하여 유역단위 논의 배출특성을 다양한 시나리오 검증을 통해 국내 SRI 물관리방법(이하 SRI) 도입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대상유역은 중규모 계성천유역과 대규모 양화천유역으로, 논농사를 주로 하고 있으며 논 면적은 계성천 17.49㎢, 양화천 53.70㎢를 이루고 있다. 두 유역은 계성천과 양화천을 중심으로 크고 작은 지방하천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천 중심으로 논이 고루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대규모, 중규모 유역에서 SRI를 적용 시 유량 및 수질의 하천 특성 변화를 잘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Scenario Ⅰ은 물꼬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하였을 때 관행과 SRI의 관개량 차이에 따른 유량 및 수질 변화를 비교하였다. Scenario Ⅰ은 유역에 관행과 SRI를 100% 적용하였을 경우에 대한 Scenario이다.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모의 대상유역에서 SRI 반영 비율을 차등 적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Scenario Ⅱ는 관행 대비 SRI 반영 비율을 모의 대상 유역의 30%, 50%, 70%, 그리고 100% 등으로 나눠서 모의하였다. 농촌지역의 하천으로 배출되는 부하량 중 65~88%가 영농기간에 배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RI와 관행의 영농 비율을 100% 적용하였을 경우 하천으로 배출되는 부하량은 관행대비 SRI가 양화천 평균 18%, 계성천 평균 6%의 배출부하량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전체 논 면적 중 관행과 SRI의 적용비율을 다르게 적용하여 산정하면 SRI의 면적비율이 커질수록 부하량 감소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감소비율은 BOD 2%, T-N 3%, 그리고 T-P 6%로 연간부하량으로 계산하였을 경우 BOD 6,035 kg/yr, T-N 12,556 kg/yr, T-P 1,783 kg/yr를 감소할 수 있었다. Scenario Ⅰ,Ⅱ 결과에 따르면 SRI 적용 시 배출부하량 감소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SRI방법이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유역에 적용 시 관행대비 용수, 유출 및 수질 저감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시니어 유저의 XAI에 대한 인식 탐색 및 분석: 온라인 쇼핑 AI 추천 시스템을 중심으로

        김서형(Seo Hyeong Kim),홍유진(Yujin Hong),서지연(Jiyeon Seo),박유빈(Yoobin Park),김혜선(Esther Kim),이선율(SeonYul Lee),임하진(Hajin Lim),이준환(Joonhwan Lee)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본 연구는 20 명의 액티브 시니어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추천 알고리즘, 특히 모바일 쇼핑 환경에 적용되는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eXplainable AI, XAI)에 대한 시니어들의 인식 및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특히, XAI 기법 중 글로벌 설명 (global explanations)과 로컬 설명 (local explanations)에 대한 인식을 중점으로 조사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XAI 에 대한 인식이 AI 추천 시스템에 대한 이해, 사용자 인식, 그리고 시스템에 대한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니어 사용자를 위한 XAI 디자인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내용으로는 “추천 시스템에 대한 신뢰 강화를 위한 로컬 설명 제공”, “이해도 향상을 위한 직관적 글로벌 설명 제공”, “시니어의 협동 니즈에 부응하는 기여도 조정”, 그리고 “시니어 맞춤형 상품 추천의 필요성”을 포함한다.

      • SRI에 의한 논에서 온실가스 저감 효과 및 경제성 분석

        서지연 ( Jiyeon Seo ),이수인 ( Suin Lee ),류지철 ( Jichul Ryu ),최중대 ( Joongdae Choi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중 약 10∼20%가 농업분야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농업분야가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으로 인식되고 있다(Lehugera et al., 2011; Smith et al., 2007). 농경지에서 메탄(CH4) 배출은 담수상태로 재배되는 논토양이 주 배출원으로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여러 기체들, 즉 온실가스가 배출된다(Kim et al., 2012). 이에 최근에 농업분야에서는 비점오염 저감 및 용수절약, 기후변화 대응 향상 등을 위한 SRI (system of rice intensification) 재배방법의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물 관리 관점에서 SRI는 비담수 논을 기본으로 벼의 뿌리를 개선시기고, 물의 저류, 생산성 증대, 벼로부터 탄소 저장량을 증대시키고 호기성 토양으로 인해 메탄가스 배출량을 저감시킨다. 국내 논물관리에 대한 온실가스 발생량 저감 연구는 Lee et al (2005), Kim et al (2012), Choi et al(2013)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2011년도 이전 연구 자료에 국한되어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SRI 방법을 적용하여 2011∼2012년도의 SRI와 관행시험포의 용수저감 효과에 따른 CH<sub>4</sub>과 N<sub>2</sub>O 배출량의 저감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논의 온실가스 저감에 따른 경제적 가치를 산정하기 위하여 메탄과 아산화질소를 GWP로 환산해 주었다. 그리고 Kim et al(2008)이 제시한 CO<sub>2</sub> 톤당 25 EUR를 처리구별 GWP에 적용시켜 관행논과 SRI논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단위당 사회적 비용으로 책정하였다. 산정결과 CH<sub>4</sub> 배출량은 CT에서 412.8 kg CH<sub>4</sub> ha-1인데 비하여 MD는 214.4 kg CH<sub>4</sub> ha-1, SRI는 95.9 kg CH<sub>4</sub> ha-1로 각각 48.1%와 76.8% 감축되었다. N<sub>2</sub>O 배출량의 경우는 CT 0.001814 kg N<sub>2</sub>O ha-1에 비해 MD는 0.006 kg N<sub>2</sub>O ha-1, SRI 는 0.040 kg N<sub>2</sub>O ha-1로 CT보다 MD와 SRI의 N<sub>2</sub>O 배출량이 더 많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N<sub>2</sub>O 배출 증가량은 CH<sub>4</sub>의 저감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작아 GWP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저감효과에 따른 비용산출 결과는 장래인 2030년 SRI의 온실가스 배출량 가격이 약 432억 원으로 CT의 약 1,843억 원보다 약 23.5%를 절약 할 수 있을 것으로 산정되었다. SRI 물관리 방법을 이용한 벼 재배방법은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GWP 배출저감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필지단위의 연구로 유역에서의 저감효과와 단순비로 산정한 온실가스 배출량 가격으로 일반화 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SRI 벼 재배방법에 대한 유역단위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온실가스 배출자료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생성된 자료는 향후 가뭄대비 용수절약뿐만 아니라 논의 온실가스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유역관리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SRI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령과 성 및 자아만족도에 따른 의복 동조성

        서지연(Jiyeon Seo),최종명(Jongmyoung Choi)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10 생활과학연구논총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othing conformity according to age, gender and self satisfac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university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married women.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clothing conformity and self satisfaction(self esteem, body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s referred as previous research. Frequency, mean, t-test and F-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clothing conformity degree of females depended on their age: the university students showed more clothing conformity than the middle school students. Also, the clothing conformity degree of college students depended on gender: the male students showed more clothing conformity than the female students. The levels of clothing conform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self 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