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oes Riptortus pedestris (Hemiptera: Alydidae) prefer its gut symbiont Burkholderia sp.?

        Jieun Lim,Soowan Kim,Hong Geun Kim,Doo-Hyung Lee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04

        The bean bug, Riptortus pedestris, is a pest of leguminous crops. Recent studies have revealed an interesting relationship between R. pedestris and a gut symbiont Burkholderia sp.. R. pedestris mainly acquires Burkholderia sp. during 2nd instar period, which leads to enhancement of growth and reproductive rate of the host. Nevertheless, how R. pedestris acquires its symbiont is not yet clearly described. Therefore, we investigated whether 2nd instar nymphs have preference on Burkholderia sp.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in laboratory settings. In the choice tes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reference by R. pedestris between the two treatments. To further investigate single individual’s behaviors (its first choice, approaching frequency to each treatment, and residence time on the treatment). We video-recorded single individuals in the choice setting for 12 hours. Agai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y of the behavioral traits recorded. Further choice tests will be conducted in the Y-tube olfactometer systems and semi-field conditions.

      • KCI등재

        Lifestyle Segmentation

        Lim, Chae-Mi(임채미),Lee, Jieun(이지은),Lim, Heejin(임희진) 한국소비문화학회 2009 소비문화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technology market에서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에 기반한 세분집단을 규명하는 것이다. 다단계 군집분석(multi-step cluster analysis)을 사용하여 1,186명의 응답자들을 4개의 차별화된 소비자라이프스타일집단- Smart shoppers, Trendy shoppers, Tech-laggards, and Apathetic shoppers-로 세분화하였다. 4개의 군집 집단들은 가격 의식, 브랜드 의식, 패션 의식 및 기술 혁신성 등의 소비자라이프스타일 변수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세분집단간에 다양한 쇼핑관련 태도와 행동을 비교함으로써 소비자라이프스타일 세분화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분석 결과 각각의 소비자라이프스타일 군집에 속하는 응답자간에 다양한 쇼핑 채널에 대한 인식, 충동구매행동, 그리고 혁신적인 기술 제품들의 소유여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반하여 마케터들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This study identifies consumer lifestyle segments among consumers of technology market. By using multi-step cluster analysis, this study categorizes respondents (n=1,186) into four distinct consumer lifestyle groups Smart shoppers, Trendy shoppers, Tech-laggards, and Apathetic shoppers. Overall, four cluster group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style variables such as priceconsciousness, brand-consciousness, fashion consciousness, and technology innovativeness. Consumer lifestyle segmentation is validated by comparing various shopping-related attitudes and behavior across segments. Findings show that respondents in four consumer lifestyle clusters significantly differ from each other in terms of perception of different shopping channels, impulse buying behavior, and ownership of innovative technology products. Based on the results, strategic implications for marketers are discussed.

      • A Hard Decision LDPC Decoder Implementation for Error Correction of NAND Flash Memory

        Jieun Lim,Junho Cho,Wonyong Sung 대한전자공학회 2008 ICEIC: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s, Inf Vol.1 No.1

        We implemented a decoder for low-density paritycheck (LDPC) codes intended for NAND flash memory error correction. Since the input is given as a binary valued signal, a hard-decision bit flipping based decoding algorithm is used. To simplify the hardware, a circular shiftregister based partially parallel decoding architecture is employed. With this architecture, it is very easy to increase the throughput or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raising the parallel factor. The implemented decoder, which employs a (4161, 3431) projective geometry-based LDPC code, operates at 400 Mbit/s throughput with the parallel factor of 32. Synthesized using a 0.25㎛ CMOS technology, the proposed decoder consumed 208 ㎽ with 2.5 V supply.

      • SCIESCOPUS
      • SCOPUSKCI등재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of Hotel Employees: Moderating Effect of Value Sharing

        Jieun Lim People&Global Business Association 2017 Global Business and Finance Review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EI),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on hotel employees. Moreov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ees’ value sharing to provide practical resources for a hotel. In this study, 4 hypothese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were introduced. A sample of 300 hotel employees was surveyed and a total of 241 usabl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n the data was analyzed utiliz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use of the SPS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I had partial effects on job satisfaction. Second, EI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customer orientation. Third, employees’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Lastly, employees’ value sharing had partial moderating effects between EI and customer ori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EI with value sharing of employees to increasing the customer orientation in the hotel.

      • KCI등재

        대학생의 아바타 기반 실시간 온라인 토론 경험에 대한 미디어 생태학적 고찰

        임지은 ( Jieun Lim ),최진 ( Jin Choi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아바타 기반 실시간 온라인 토론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경험을 미디어 생태학적 접근을 통해 고찰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아바타 기반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D광역시 소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내면적 경험 및 관계적 경험의 양상을 도출한 뒤, 학습과 어떤 관련성을 맺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점차 아바타를 나와 연결된 현존으로 인식하고 둘째, 자기검열로부터 자유로운 자기표현이 나타났으며, 셋째 타인의 시선에 노출되는 외모에 대한 부담감 없이 자신을 드러낼 수 있었고, 넷째 화면을 매개로 하지만 살아있는 누군가와 소통하는 실재감을 느낄 수 있음을 도출해내었다. 마지막으로 대면에서 낯선 사람과 만날 때의 거리감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바타를 매개한 이러한 학생들의 감각과 지각이 학습과 맺는 관계로는 첫째, 적절한 수준의 긴장감과 책임감 부여를 통해 집중도가 향상되고 둘째, 규범적 답변이 아닌 솔직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으며, 셋째, 수업 외적인 것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어 효율적이라고 느낄 수 있었고 넷째, 실재감을 느껴 토론 참여에 몰입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면에서 비롯될 수 있는 경계짓기에서 벗어나 물리적 접근을 넘어선 학습공동체로 확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면 상황에서도 그 친밀감이 연장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교육 환경에서 새로운 미디어 기술이 적용될 때, 기존의 교육적 한계를 보완하는 특정 기술의 단선적인 효과 분석을 넘어 미디어가 학생들이 감각하고 느끼는 것을 어떻게 달라지도록 매개하는지 탐색하면서, 그것이 교육적이기 위해 어떤 노력과 전략이 필요한지 고민하는 미디어 생태학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avatar-based synchronous online discussions through the lens of media ecological theory. To achieve this goal, we performe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six students at a college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 course which conducted avatar-based 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semester.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with a focus of the inner and relational experiences of students.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hemes: 1) awareness of the avatar as a connected representation of oneself, 2) freedom of self-expression, 3) self-disclosure without the fear of sharing one’s appearance, 4) feeling social presence by perceiving others as real people, and 5) addressing the sense of distance with students in other groups. Our findings also reveal how these experiences are interconnected and impact students’ learning, including: 1) enhanced concentration by facilitating an appropriate level of tension and responsibility, 2) sharing trustful responses rather than normative ones, 3) efficiency in learning without being distracted, 4) more immersive discussions through an enhanced sense of presence 5) creating an expanded learning community.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new media for educational purposes from a media ecological perspective. This can help us understand how media mediates students’ sensations and emotions and what strategies are required to create successful learning experiences within this environment.

      • KCI등재

        광고 모델의 긍정·부정적 행동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임지은(Lim, Jieun),유은아(Yu, Eunah) 한국광고홍보학회 2016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8 No.4

        최근 들어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키는 유명인의 행동이 이슈가 되고 있는데, 이러한 유명인의 행동에 대하여 기업이 주목하는 이유는 광고 모델인 유명인의 행동은 자사의 브랜드나 기업 이미지에 전이되어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광고모델의 행동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과 소비자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 변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광고 모델의 긍정적 행동은 광고 모델 및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광고 모델의 부정적 행동은 광고 모델 및 브랜드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광고 모델의 행동에 대한 소비자 반응이 개인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사회적 연결감과 자기 감시성이 광고 모델의 행동 유형에 따른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회적 연결감과 자기 감시성은 광고 모델의 행동 유형에 따른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연결감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광고 모델의 긍정적 행동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반면, 부정적 행동에는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감시성도 마찬가지로 광고 모델의 행동과 광고 모델 태도, 브랜드 태도의 관계에 있어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광고 모델 효과에 대한 이론적 범위를 확장하고, 기업에게는 광고 모델 선정 전략뿐 아니라 광고 모델의 관리 전략에 있어서 광고 모델의 행동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어떠한 소비자들이 광고 모델의 행동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가에 대한 점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기업이 광고 모델을 관리하는 데에 있어 효율적인 지침을 제공해 주리라 기대된다. Celebrity endorsers involved in publicized scandals have become issues lately. The company whose brand is endorsed by a celebrity involved in a scandal is concerned about the negative impact it may have on their brand image. The current study is interested in consumer responses to a celebrity endorser’s positive or negative behaviors and the personality traits related in consumer response. Specifically, this study tries to explain the role of consumers’ self-monitoring and social-connectedness as a moderator. When a celebrity is shown involved in positive events, consumers react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celebrity endorsers and the endorsed brands. Also, when a celebrity is shown involved in negative events, consumers react with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celebrity endorsers and the endorsed brands. Additionally, the findings showed that consumer characteristics, such as self-monitoring and social-connectedness, influenced consumer reactions. They showed that positive/negative news articles in high self-monitoring (socially-connected) situations had bigger positive/negative effects on attitudes toward the celebrity endorser and brand attitude than in low self-monitoring (socially-connected) situ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onsumer response to the celebrity endorser’s actions is intensified by self-monitoring and social-connectedness. These findings have both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 KCI등재

        온라인 학습자가 인식하는 실재감이 자기조절효능감과 주도적 참여를 매개로 성취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지은(Lim, Jieun),이민혜(Lee, Minhye) 한국교육방법학회 2020 교육방법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가 지각하는 실재감이 자기조절효능감과 주도적 참여로 대표되는 능동적 동기와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능동적 동기요인이 실재감과 학습성과 사이에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해 2020학년도 1학기 전면 온라인 강의를 수강 중인 대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 자기조절효능감, 주도적참여, 인지된 학업성취도와 만족도를 조사하였으며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수실재감은 성취도와 만족도를 예측하였으나 사회적 실재감은 지각된 성취도만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수실재감 중 설계와 조직의 학습성과에 대한 직접효과가 가장 두드러졌으며 사회적 실재감 하위구인 중에는 정서적 표현만이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 모두 매개변인인 자기조절효능감과 주도적 참여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재감과 학습효과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주도적 참여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통해 온라인 학습자의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의 효과적인 학습에 대한 직접적 영향력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 수업과 같이 학습자의 학습자율권과 통제권이 강화된 상황에서는 학습자가 스스로의 학습을 조절할 수 있다고 믿는 신념이 능동적 동기요인으로서 중요하게 작동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때, 학습자의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이 능동적 동기를 촉진시킴으로써 학습성과를 높이는 잠재적 동기기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온라인 학습자의 교수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온라인 수업 설계 및 운영 전략 활용의 중요성을 제고하였다. We aimed to investigate how online learners perception of teaching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are associated with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nd course satisfaction. We also explored the extent to which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nd agentic engagement, arguably the most important agency motivation in online learning,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A total of 204 college students taking online courses due to the COVID-19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Participants responded to online survey items asking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gentic engagement,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nd course satisfaction. Two path models were analyzed: one with mean scores of teaching and social presence and the other one with subdimensions of teaching and social presence. Results showed that teaching presence positively predicted both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hile social presence positively predicted only achievement. More precisely, the direct effects of teaching presence: design & organization on both learning outcomes were remarkable and the direct effect of social presence: affective expression on achievement was significant. Teaching and social presence also positively predicted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nd agentic engagement. Significant mediation effects of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between both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were found, but none of agentic engagement was found. The current findings replicated the importance of presence in online learning settings, where learners autonomy and controllability is maximized. For this reason, online learners agentic motivational belief that they can control and regulate their learning process and outcomes plays a critical role. Our findings suggest that online learners perceived presence can enhance students agency motivation, which in turn boosts their effective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