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간외담관 폐쇄에서의 초음파소견 : 담관벽 경계소실의 중요성 Significance of Decreased Echotexture of Bile Duct Wall-Interface

        신현준,손은주,이창희,최영칠,전혜정,박정희,이태의 건국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2 건국의과학학술지 Vol.12 No.-

        Ultrasound is very useful in evaluation of obstructive jaundice.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useful findings of ultrasonography in differentiating benign extrahepatic duct obstruction from malignant diseases. Among the 36 patients, 25 patients were benign extrahepatic obstruction and 11 patients were malignant obstruction. The shapes of extrahepatic dilatation were classified into fustiform, meniscus, and abrupt cut off by bowel gas. The diameter, length, and bile duct wall-interface were compared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groups and serum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were also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tro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ost common form of extrahepatic dilatation was meniscus(10 of 26 patients, 38%) in benign obstruction, and fusiform(8 of 11 patients, 73%) in malignant obstruc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diameter, length, serum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groups. Only one case showed decreased bile duct wall-interface in benign obstruction, but loss or decrease of bile duct wall-interface were 8 patients in malignant obstruction. The combined findings of fusiform dilatation and loss of bile duct wall-interface in ultrasonography will be helpful in differential diagnosis of malignant extrahepatic bile obstruction from benign conditions.

      • KCI등재

        교합 거상 금관이 어린이 교합 발육에 미치는 영향

        신정근,백병주,김재곤,양연미,이선영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1

        혼합 치열기에서 유치의 탈락 및 영구치의 맹출 과정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맹출 중인 치아는 인접치유무, 유치의 흡수속도, 유치의 조기상실, 만기잔존, 국소병소나 입술, 혀, 저작근 등의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 사이의 균형이 깨지게 되면 인접치 간의 관계가 변하고 심각한 부정교합이 초래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유치열 및 혼합치열을 가진 어린이들에서 상하악 구치부 교합면에 접착된 교합 거상 금속 스플린트(bite raising metal splint)가 치열에 미친 영향에 대해 보여주고 있다. 이들은 스플린트로 인한 유치의 만기잔존으로 영구치 맹출에 방해를 받거나, 전치부 개방교합, 제 1대구치의 저위 맹출 등 혼합 치열기 발달에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치료로써 고속 핸드피스를 이용하여 스플린트를 제거하고 주기적 점검을 통해 교합변화 및 영구치 맹출 양상을 관찰하였다. Children are in mixed dentition during 6 years after 3 years old. this time is very important for sound permanent dentition. There are many factors of influence to tooth eruption stage ; adjacent teeth, tooth resorption, early loss or retention of deciduous tooth, local lesion, lip and tongue, masticatory muscles, ect. These factors should be in balance, if not, relation of adjacent teeth is changed, then severe malocclusion is occurred maybe. These cases revealed influences of resin bonded metal splint on occlusal surface of children's molar to mixed dentition. Splints interfere with falling off of deciduous tooth, tooth eruption, normal occlusion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ixed dentition and occlusion. Therefore we removed the metal splint from teeth, follow-up checked occlusion and tooth eruption.

      • Rotary type과 linear type 자동흡연 장치에 따른 담배연기 중 타르, 니코틴 및 일산화탄소의 함량 비교

        정재훈,김영신,임흥빈,석영선,신주식,이학수 충북대학교 연초연구소 2004 煙草硏究 Vol.19 No.-

        본 실험은 type별 흡연 장치의 담배 주류연 포집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고자 주류연 중 일반적인 다량의 성분을 측정하였다. 1. 니코틴 함량은 대체로 linear-type 흡연 장치에서 높은 경향 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수분 함량은 두 가지 type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tar 함량은 저 농도에서 linear-type 보다 otary-type 흡연 장치가 높은 경향 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일산화탄소는 rotary-type과 linear-type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실험결과 ISO 표준 흡연 조건에서 담배 주류연의 tar, 니코틴, 일산화탄소 함량의 측정은 흡연 장치의 type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rotary-type with linear-type automatic smoking machine referred to ISO 3308 in the determination of tar, nicotine and CO in cigarette smoke. Sample were used with 4 kinds of domestic branded cigarettes(tar ; 1, 3, 6, 10 mg/cig) and CORESTA Monitor 4 cigarettes(tar ; 14 mg/cig). Tar and nicotine contents were analysed by gas-chromatograph methods in accordance with ISO 4387 and 10315-1. Determination of carbon monoxide in the vapour phase of cigarette smoke was meaured by NDIR method in ISO 8454. Sample preparation were performed in conditioning room at 22℃, 60 % for 48 hours according to ISO 340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smoking machine from 1 mg/cig to 14 mg/cig tar cigarettes, but, the contents of three components measured by rotary type showed higher tendency than those by linear type in the case of hight tar cigarettes. The results were the opposite in low tar cigarettes.

      • KCI등재

        제2형 근관의 확대에 따른 최종근관장파일 크기의 비교

        정은주,이동균,백신영,황호길 大韓齒科保存學會 2008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3 No.5

        제2형의 근관형태를 갖는 치아에서 각각의 근관을 모두 근관장까지 확대한 경우,여러 확대기구에 따른 최종근관장파일의 크기를 상호 비교하여 얼마나 많은 변화가 있었는지를 분석하고자 치근 우식이 없고 치근단공 형성이 완료되었으며 2개의 근관 입구에서 시작하여 하나의 치근단공을 갖는 제 2형의 근관형태를 보이는 상악 소구치,상악 대구치의 근심협측 치근 및 하악 대구치의 근심 치근을 선택하여 확대기구에 따라 KF 군, PT 군,HS 군, K3 군으로 분류하고 치경부 조기 확대를 시행하였다. 초기근관장파일이 15번 크기인 지아를 각 군당 20개씩 무작위로 선택하였고,모든 근관을 각 군에 해당되는 30번 크기의 파일까지 제조회사의 지시에 따라 확대를 시행한 후,촉감과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최종근관장파일의 크기를 결정하였다. 각 군의 최종근관장파일의 크기와 제거 시 요구되는 힘의 크기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사후검정은 Tukey HSD test를 이용하여 0.05의 유의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제2형의 근관형태를 갖는 치아의 근관확대 시,모든 근관을 각각의 근관장으로 확대하는 방법은 확대에 마지막으로 이용된 기구의 크기보다 한,두 단계 정도 증가된 최종근관장파일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제2형 근관형태를 나타내는 치아의 근관치료 시 임상가들은 근관충전에 앞서 치근단 받침을 다시 확인하고 형성하는 과정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Type II root canal was defined that two canals leave the chamber and merge to form a single canal at short of the apex.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master apical file (MAF) size according to various instrumentation techniques in the type II root canal when each canal was enlarged to working length. Eighty mesial roots of molar with ISO #15 initial apical file (IAF) size in type II root cana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with 20 teeth each. According to enlarging instruments, four groups are: K-FLEXOFILE^(?) (KF), engine-driven Ni-Ti PRoT_(APER)^(?)(PT), HERO Shaper^(?)(HS), K³™ (K3). All canals were enlarged to each working length with ISO #30 size: #30 in KF, F3 in PT, .04/30 in HS, and .06/30 in K3. The master apical file (MAF) size was confirmed by tactile sensation and universal testing machine (EZ test, Shimadzu Co., Kyoto, Japan). The mean MAF size was statistically compared using one-way ANOVA and Tukey HSD test at the 0.05 probability level.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AF size was appeared one or two sizes larger than the final enlarging instrument when all canal in type II configuration were enlarged to each working length. Therefore, the clinician have to confirm the apical stop once more after instrumentation of type II root canal.

      • KCI등재

        Cone Beam CT를 이용한 하악 제 1대구치 맹출 양상에 관한 연구

        신정근,김재곤,백병주,양연미,정진우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3

        건강한 정상 교합 어린이 83명(남자 42명, 여자 41명)을 대상으로 보호자 동의하에 cone beam CT 영상을 촬영하여,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양상을 연구하였다. 대상을 발육 정도에 따라 Nolla stage(4-10단계)로 구분한 후 삼차원 기준 평면인 전두면(frontal), 시상면(Sagittal), 수평면(horizontal)에서 각각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양상을 관찰하였다. 1. 전두면과 수평면에서, 하악 제1대구치간 폭경은 감소하였는데, stage 5에서 stage 8까지 가장 크게 감소했다가 약간 증가하였다. 2. 시상면과 전두면에서, 하악 제1대구치 맹출량은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stage 5에서 stage 7까지 가장 많은 맹출 이동을 보였다. 3. 수평면과 시상면에서, 하악 제1대구치는 제2유구치 원심면으로부터 stage 4에서 stage 6까지 원심으로 이동하였고 이후 큰 변화가 없었다. 4. 시상면에서, 교합 평면과 하악 제1대구치의 근원심 치축이 이루는 각은 stage 4에서 stage 8까지 증가하였다. 5. 전두면에서, 교합 평면과 하악 제1대구치의 협설측 치축이 이루는 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6. 수평면에서, 정중 시상면과 하악 제1대구치의 치축이 이루는 각은 stage 5부터 stage 8까지 증가하다 stage 8이후에는 다시 약간 감소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ruption pattern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in sagittal. frontal and horizontal views using the cone beam CT scanning. CT images were obtained from healthy 83 children(42 boys. 41 girls) between 3 to 10 years of age with a normal dentition according to Nolla stage. 1. In the frontal and horizontal view. the intermolar width decreased continuously with stage and slightly increased at the last stage. 2. In the sagittal and frontal view. eruption distances from occlusal plane were observed the largest change between stage 5 and 7. 3. In the horizontal and sagittal view. mandibular first molar from distal surface of primary second molar moved distally between stage 4 and 6. 4. In the sagittal view, angle from occlusal plane to mesio-distal axis increased between stage 4 and 8. 5. In the frontal view, angle from occlusal plane to bucco-lingual axis increased continuously during all stage. 6. In the horizontal view, angle from midsagittal plane to long axis increased between stage 5 and 8.

      • KCI등재
      • KCI등재

        매복된 상악 전치부의 자가이식 치험례

        김신,음종혁,이애련,서수정,김주미,김주영,황보민 大韓小兒齒科學會 199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1 No.2

        The autotransplantation procedure were performed for the cases with impacted maxillary anterior teeth, which were thought unrealistic by the treatment with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raction into the arches.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As the treatment with autotransplantation is the last resort, the case indicated should be selected cautiously by adequate case analysis. 2. In order to reduce postoperative complication, damages to periodontal ligaments and adjacent bony structures should be minimized by conservative surgical procedures. 3. After autotransplantation procedures, postoperative endodonic treatment and continuous follow-up check with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 should be followed. Although the autotransplantation procedure is not the treatment of choice in most cases, it was thought to be a good alternative in certain cases when orthodontic treatment is unrealistic with continuous study to overcome the handicaps.

      • KCI등재

        변형된 치관부 파절편 재부착술식을 이용한 치관치근파절의 치료

        송창원,송민주,신수정,박정원 大韓齒科保存學會 2010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5 No.5

        치관부 파절편 재부착술식은 접착치의학의 발달과 더불어 치관파절 치료 방법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였다. 하지만 치관치근파절된 치아에 있어서 기존의 치관부 파절편 재부착술식으로는 치은연하 영역의 수복 및 생물학적 폭경의 유지가 어려워 부가적인 치관연장술 또는 치아 정출술 등이 요구되게 된다. 하지만 이번 증례보고는 치수노출을 동반한 치관-치근파절을 치료함에 있어서 이러한 부가적인 술식 없이 변형된 치관부 파절편 재부착술식만을 이용하여 처치한 사례이다. 환자는 근관치료 후 post 삽입 및 재부착 술식을 시행 받았으며 이때 치관 파절편의 변형을 통해 생물학적 폭경을 위한 공간 유지 및 적절한 접착을 위한 영역을 확보할 수 있었고 이후 한차례의 재파절이 발생하였지만 재차 재부착 후 2년간의 follow up을 통해 치주부착상실 없이 치관 파절편이 잘 유지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The development of adhesive dentistry has allowed that the crown fragment reattachment can be another option in the treatment of crown fracture. However, additional crown lengthening procedure or extrusion of the tooth may be necessary in the treatment of crown root fracture because subgingival fracture line in close proximity to the alveolar bone leads to challenges for restorative procedure and the violation of the biologic width. This case report presents a modified crown fragment reattachment technique of crown root fracture with pulp exposure, which was done without additional crown lengthening procedures. After the endodontic treatment, the patient was treated using a post insertion and the fragment reattachment technique, which made it possible to preserve the space for the biologic width and maintain a dry surgical field for adequate adhesion through the modification of the fractured coronal fragment. Since a coronal fracture was occurred and reattached afterward, it was observed that the coronal fragment was well maintained without the additional loss of periodontal attachment through 2-year follow up.

      • KCI등재

        선천성 다수 영구치 결손 환아의 증례보고 : CASE REPORT

        백병주,신정근,김재곤,양연미,김성희 大韓小兒齒科學會 2006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3 No.1

        선천성 치아 결손(congenital missing teeth)은 1개 이상 치아의 선천적 결손으로 hypodontia라고도 불리며 인간에서 가장 흔한 치아 발육 이상이다. 그러나 6개 이상 영구치가 결손되는 severe hypodontia, 또는 oligodontia의 경우는 0.3~0.4%의 매우 낮은 유병율을 보인다. 이환치는 제3 대구치, 상악 측절치, 하악 제2 소구치 순으로 빈발한다. 원인은 정확하게 알려진 바는 없고 외배엽 이형성증, 다운 증후군과 같은 전신질환이나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연관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선천성 치아 결손이 존재하면 비이환치의 위치 이상이나, 악골 발육 감소, 심미적, 기능적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조기발견을 통한 해당 유치의 보존이 중요하며 이러한 상황의 개선을 위해 한 사분악 당 최소의 저작 단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교정적, 보철적으로 포괄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전신질환이 없는 다수의 영구치 선천 결손 환아에 대한 보고로써 이들은 교정치료와 간격유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내원하고 있다. Congenital Missing Teeth(Hypodontia, oligodontia) is the developmental absence of one or more teeth. It has been reported as being the most common anomaly of dental development in human, relatively common in the permanent dentition. In a recent review, Vastardis has quoted incidence ranges of 1.6%~9.6% in the permanent dentition. Brook has quoted a prevalence of 3.5~6.5% in most populations, with severe hypodontia, defined as the absence of six or more teeth, having a prevalence of 0.3~0.4%. The most commonly affected teeth are third molars, followed by maxillary lateral incisor, and second premolars. The etiology is unknown, several hypotheses include trauma, nutritional deficiency, infection, metabolic abnormalities, systemic disease and genetic influence. The multiple congenital missing is commonly associated with specific syndrome or severe systemic abnormalities such as cleft lip & palate and Down's syndrome. These cases present that children have multiple congenital missing teeth in the permanent dentition, without any systemic disease. Management of this condition must be considered orthodontic and prosthodontic treatment comprehensively. In these cases, children were treated by space maintainer or orthodontic appliance and follow-up checked.

      • KCI등재

        인체 섬유모세포(HGF-1)배양에서 소아용 치과금속재의 세포친화성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김주미,정태성,김신 大韓小兒齒科學會 200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9 No.2

        소아치과 임상에 흔히 사용되는 3종의 금속재에 의한 인체 섬유모세포(HGF-1)를 이용하여 세포독성에 대한 세포적 및 분자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세포의 성장과 증식 및 세포사, 그리고 이들과 관련된 세포내 신호전달물질 발현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고, 세포사는 screening한 후 세포사의 유형(necrosis/apoptosis)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HGF-1은 DMEM으로 계대배양한 후 유지하였으며, 사용한 금속재는 stainless steel crown (R), 교정용 band(B), 교정용 wire(W)의 세 종류였다. HGF-1세포의 증식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cell count를 하였고, 생존세포 count를 위하여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의 상대증식도를 계산하였다. 세포수는 배양일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여 7일째에 최고를 나타내었고, 11일째에도 감소하였으며,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의 상대증식도 또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세포사에 대한 형태적 소견은 괴사(necrosis)를 나타내었다. PCNA lableing index에 대한 대조군과 실험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신호전달 관련 MAP kinase인 ERK1 및 ERK2, p38, JNK는 배양일의 경과에 따른 발현의 변화는 관찰되었으나, 대조군과 각 실험군 간에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대상인 stainless steel crown, 교정용 band 와 wire, 세 종류의 소아 치과용 금속재는 단기간의 인체 섬유모세포를 이용한 세포친화성 검정에 있어서 세포적, 분자적 위해 양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biocompatability of 3 kinds of metallic materials frequently used in pediatric dentistry (stainless steel crown, orthodontic band, orthodontic wire), cellular and molecular studies, including cell growth and proliferation, screening of cell death with determination of types whether necrosis or apoptosis and changes in expressions of related signaling molecules were examined, using cultured human gingival fibrob-lasts (HGF-1). HGF-1 was cultur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among which the 3rd to 6th gener-ations of HGF-1 were used. The specimen were divided into stainless steel crown (R), band (B) and wire (W). The immunocytochemical study way done for the detection of anti-PCNA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la-being. With extracted protein, western blot was done for the detection of ERK1/2, JNK, and p38, using individ-ual antibodies. Cultured cells proliferating HGF-1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p>0.05). Relative growth rates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p>0.05). PCNA labeling indexes showing similar patterns i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The expressions of ERK1 and ERK2, p38 were similar i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expression of JNK increased at 1st day, slight-ly decreased at 4th day and markedly increased at 7th and 11 day. Although the patterns of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similar, the increased expressions of JNK at late period suggest a possible stress due to in-hibited cell growth and proliferation, and worse culture condition. Conclusively, the 3 kinds of metal specimens used in this study did not induce cellular and molecular hazards during short term culture of HGF-1. But, for the better clinical stability, the establishment of long period culture and animal experiment was thought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