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의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 발생빈도(1998)

        김재홍,김준호,반재용,이정우,황성주,정준규,정성태,강진문,조흔정,홍창의,정혜신,이한승,김이선,이봉길,이종호,선영우,한기덕,윤성필,이성훈,안종성,박석범,문승현,조항래,김형섭,류지호,황재영,박준홍,손상욱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2001 한양의대 학술지 Vol.21 No.1

        In recent years, gonorrhea has been pandemic and remains one of the most common STDs in the world,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For the detection of a more effective therapeutic regimen and assessing the prevalence of Penicillinase Producing Neisseria gonorrhoeae(PPNG), we have been trying to study the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Venereal Disease Clinic of Choong-Ku Public Health Center in Seoul since 1980 by menas of the chromogenic cephalosporin method. In 1998, 93 strians of N. genorrhoeae were isolated, among which 60(64.5%) were PPNG. The prevalence of PPNG in Seoul, which had been decreased to 39% in 1996 after a peak of 74.3% in 1993, is increased to 64.5% in 1998.

      • 관상동맥질환의 중증도와 혈중지질치 및 아포지단백과의 상관관계

        임현주,황종현,류재근,정병천,조용근,채성철,전재은,박의현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1

        목적 :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로서 혈청지질 및 혈장 지단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또 아포지단백이 관상동맥 질환을 일으키는데 다른 지질보다 더 중요하다는 연구가 많이 발표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아포지단백에 대한 연구가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이에 저자등은 혈중지질치와 새로운 위험인자로 알려지고 있는 아포지단백치를 측정하고 이들과 관상동맥질환 중증도와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관상동맥질환이 의심되어 관상동맥조영술을 실시한 6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2시간 이상 공복후 혈청을 채취하여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아포지단백 AI (ape AI), 아포지단백 B (ape B)를 측정하였다. 관상동맥조영상 50%이상의 협착이 있는 혈관의 수 (lesion number), 최대협착을 합한 값 (lesion score), 각 분절의 최대협착을 합한 값 (total score), 가장 심한 협착 값 (peak stenosis) 등으로 관상동맥 중증도를 알아본 다음 이들과 혈청지질치, 아포지단백과의 상관 관계를 비교해 보았다. 상관 관계는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였다. 결과 : 관상동맥질환의 중증도와 각 지질치 간의 상관 관계를 비교해 보았을때 lesion number와 관계있는 것은 연령 (r=0.2789), 중성지방치 (r=0.2829)이며 lesion score와 관계있는 것은 연령(r=0.2911), 중성지방치0 (r=0.3316), 총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의 비 (r=0.2361), apo B 치(r=0.2759), apo AI과 apo B의 비 (-0.3154)로 나타났다. Total score는 연령 (r=0.3100), 총콜레스테롤치 (r=0.2452), 중성지방치 (r=0.3022), 총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의 비 (r=0.2770), apo B치 (r=0.2927), apo AI과 apo B의 비 (r=-0.3408)와 연관이 있었고 peak stenosis는 중성지방 치(r=0.3305), ape B 치 (r=0.2968), apo AI과 apo B의 비 (r=-0.3977)와 관계가 있었다. 연령으로 조정하여 partial correlation을 좌면, 관상동맥조영술상 중증도는 중성지방치 (r=0.3408), apo B 치(r=0.2877), apo AI과 apo B의 비 (r=-0.3460)와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이중 ape AI과 ape B의 비는 lesion score (r=-0.2640), total score (r=-0.3057), peak stenosis (r=-0.3460)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보아 apo B치 그리고 apo AI과 apo B의 비가 관상동맥 중증도의 예견인자로 다른 혈중 지질 치보다 더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the measurements of apolipoprotein levels may be valuable in the clinical assessm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severity. However there are a few reports rega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ronary artery disease severity and apolipoprotein levels in Korea. Thus, we measured serum lipid and apolipoprotein levels and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onary artery disease severity and serum lipids and apolipoproteins levels. Subjects and Methods : The 69 patients who underwent coronary angiography to evaluate chest pain were subjected to this study. We measured the levels of serum cholesterol, triglycerides, HDL cholesterol, apolipoprotein AI(apo AI) and apolipoprotein B(Apo B) and measured the severity of coronary artery disease by lesion number, lesion score, total score and peak stenosis. Then,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onary artery disease severity and apolipoproteins and calculat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r=0.3) between age, triglycerides, apo B levels, apo AI/B ratio and coronary artery disease severity. In controlling for age, tyiglycerides, apo B levels and apo AI/B ratio shows significant correlation(r=0.3)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severity. Especially, apo AI/B ratio shows significant correlation(r=0.3) with lesion number, total score and peak stenosi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po B levels and the ratio of apo AI/B can be used as significant independent predictor for coronary artery disease severity rather than other serum lipid levels.

      • 급성하벽심근경색에서 전흉부유도 ST절 하강의 의의

        정병천,배호상,곽동훈,김영태,배용학,황종현,임현주,류재근,조용근,채성철,전재은,박의현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2

        목적 : 급성하벽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심전도상 흔히 동반되는 전흉부유도 ST절 하강의 의의를 알아보았다. 방법 : 심근경색후 24시간에서 48시간에 얻은 심전도를 기준으로 52명의 급성하벽심근경색증 환자를 전흉부유도에서 ST절의 하강이 있는 군과 없는 군으로 나누었으며 심도자, 관상동맥조영술, 심초음파도 및 방사성 핵종을 이용한 좌심구혈율 측정 등을 시행하였다. 결과 : 1) 좌심실확장기말압은 전흉부유도에서 ST절의 하강이 있는 경우에서 16.9±5.33mmHg로 없는 경우의 11.0±4.02mmHg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러나 운동량 및 좌심구혈을은 흥부 유도상 ST절의 하강이 있는 경우 7.6±3.0 METs 및 53.9±9.1%로 없는 경우의 9.1±2.7 METs 및 54.6±9.5%보다 낮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80, p=0.823). 2) 관상동맥조영술상 전흉부 ST절의 하강이 동반된 군에서는 유의한 좌전하행지나 좌회선지의 협착이 있는 경우가 60.9% 및 57.9%로 ST절의 하강이 없는 군에서의 34.5% 및 7.7%와 비교해 좌관상동맥에 협착이 동반된 경우가 많았다(p=0.050, p=0.001). 3) 관상동맥조영술상 세 혈관질환의 빈도는 흉부유도상 ST절의 하강을 보인 23예에서 10예로 ST절 하강이 없었던 29예중 2예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았고(P=0.007), 단 혈관질환의 빈도는 ST절의 하강을 보인 군에서 23예중 5예로 ST절 하강이 없었던 29예중 17예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다(P=0.002). 두 혈관질환의 경우에는 각각 8예와 10예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흉부유도상 ST절 하강의 빈도는 단 혈관질환 22예 중 5예에서, 두 혈관질환 18예중 8예, 세 혈관질환 12예 중 10예에서 관찰되어 협착이 있는 관상동맥의 수가 많을수록 ST절의 하강이 나타나는 빈도가 많음을 보였다(p=0.00308). 그러나 흉부유도상 나타난 ST절의 하강을 모두 합하여 구한 ST절 하강의 합은 협착이 있는 관상동맥의 수와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5) 심초음파도상 좌심실 하벽의 벽운동은 ST절 하강을 보인 군에서는 akinesia가 83.3%, hypokinesia가 11.1%, 정상 벽운동이 5.6%로, ST절 하강이 없었던 군에서의 dyskinesia가 3.6%, akinesia가 39.3%, hypokinesia가 25.0%, 정상 벽운동이 32.1%와 비교하여 ST절의 하강이 있는 군에서 유의하게 벽운동의 장애가 빈번함을 보였다(p=0.03891). 그러나 좌심실전벽, 측벽 및 중격부위에서는 유의한 벽운동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급성하벽심근경색증 환자의 전흉부유도에서 ST절의 하강이 동반되는 경우 다혈관 질환의 가능성이 높으며 좌심실확장기말압이 상승되었고 운동능력은 감소되어 있었다. 또한 심초음파도상 좌심실하벽의 벽운동장애도 심하였다. 따라서 전흉부 ST절의 하강을 동반한 급성하벽심근경색증 환자는 전흉부유도에 ST절 하강이 없는 경우보다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생각되며,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appearing during acute inferior myocardial infarction and to assess the correlation of that with angiographic finding. 52 patients were allocat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existence of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 23 patients with ST segment depression and 29 patients without ST segment depression. The ext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as well as the prevalence of significant stenosis (≥70%) in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were more frequent in patients showing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than in patients not showing them (p=0.050) and the result were similar in cases of left circumplex artery (p=0.001). On echocrdiographic examination of left ventricular (LV) wall motion, it showed more severely decreased inferior LV wall motion in patients showing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than in patients not showing them (p=0.03891) even though the other segment of LV wall motion didn't show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The other cardiac parameters such as LVEDP, exercise amount (METs) and ejection fraction were tend to showing bad profile in patients with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From the above results, we could deduce that patients with precordial ST segment depression have relatively large infarction or concomitant left coronary artery disease, so they need more caution and intensive theraphy.

      • KCI등재

        안정기 양극성 장애환자의 얼굴자극에 대한 주의력 유지과제에서의 결핍 특성

        황성식,전덕인,조현상,김세주,박진영,전재영,석정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7 신경정신의학 Vol.46 No.3

        Objectives : Euthymic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have been reported to show deficits in sustained attention.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attention capacities of euthymic bipolar patients with those of control subjects using the sustained att-ention to response task (SART)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performance of SART related to the type of the stimulus. Methods : The four SART tasks were performed to measure attention capacities in 42 euthymic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and 28 control subjects. Happy, neutral, fearful faces and digit '3' were used as target stimuli in happy, neutral, fear and digit task conditions, respectively. The seventy of mood symptoms was assessed with 17-item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ve symptoms and Young Mania Rating Scale for manic symptoms. The efficiency estimate which reflects both the res-ponse accuracy and speed was used as the main outcome variable. Results : Bipolar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correct response rate than control group in all task conditions. Effi-ciency estimates of the bipolar patien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SART using facial stimuli, but not in the digit task con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ask performances related to the emotional categories of facial stimuli. Conclusion : Bipolar patients showed deficits in sustained attention even in the euthymic state. The attention deficits shownin the euthymic bipolar patients may be prominent in a more complex task condition with stimuli such as facial stimuli.

      • 골격근 근형질세망의 ATP유도 ^45Ca-uptake에 대한 Thapsigargin및 Vanillylnonanamide의 영향

        황의강,배소현,홍장희,허강민,김진회,이재흔,석정호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9 충남의대잡지 Vol.26 No.2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apsigargin(THP) and vanillylnonanamide(VN), derivative of capsaicin, on the ATP-induced ^45Ca-uptake in the sarcoplasmic reticulum(SR) of the skeletal muscle, the SR vesicles were prepared from the back muscle of the rabbit, and ^45Ca-uptake was carried out. The results as follows: ATP-induced ^45Ca-uptake of skeletal muscular S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1 mM ATP. It was significantly blocked by 5 μM THP, but slightly decreased by 20 μM VN. The combined effect of THP and VN on the 45Ca-uptake of the SR vesicles was much potentiated than the sum of each effect of them.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action of VN, being slightly influential to ATP-induced Ca-uptake but potentiating the effect of THP on the Ca-uptake, might be related with direct perturbation of the SR membrane or exposure of the THP-binding site.

      • 10 Gbps LiNbo_(3) External Modulator의 Frequency Chirping 특성 측정

        황현재,정해양 경희대학교 자연과학종합연구원 2003 자연과학논문집 Vol.9 No.2

        초고속 광통신 시스템에서 광섬유의 색 분산은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요소 중의 하나이다. 광 송신부의 변조기의 주파수 chirping을 제어하여 색 분산을 보상할 수 있다. 특히 광 송신부의 chirp parameter는 광섬유의 Dispersion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Mach-Zehnder 형태의 10Gbps LiNbO_(3) 전기광학 진폭 변조기를 이용하여 DC-Bias에 따른 chirp parameter α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α값을 이론과 비교한 결과 잘 일치하였다. The chromatic dispersion of optical fiber deteriorate the system performance in high spee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The value of the modulation frequency chirp parameter that can be adjusted to minimize the transmission power penalty caused by fiber chromatic dispersion. A simple and accurate frequency sweeping method for evaluating the chirp parameter of external modulators with small chirp is presented. Using a Mach-Zehnder-type l0Gbps LiNbO_(3) electro-optic Modulator we also experimentally identified the dependence of the chirp parameter a of a modulator on the applied bias voltage. It is shown that experimental result and theory are in very good agreement.

      • 좌심실비후 환자에서 베타차단제의 급중단이 임상증상 및 좌심기능에 미치는 영향

        황종현,김영태,배용학,임현주,조용근,채성철,전재은,박의현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1

        목적 : 베타 차단제와 칼슘 길항제의 장기투여로 안정상태에 있는 비후형 심근증이나 고혈압성좌심실비후 환자에서 이들 약제를 갑자기 중단하였을 때 혈역학, 심기능 및 임상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경북대학교 병원 순환기내과에서 통원치료중인 비후형 심근중 환자 5명과 심한좌심실비후를 동반한 고혈압 환자 6명(남자 6명, 여자 5명)을 대상으로 장기투여 중이던 베타 차단제와 칼슘 길항제를 최소 5일 중단한 후 임상증상, 혈압 및 심박수의 변동, 그리고 투약중지 전후에 도플러 심초음파도를 기록하여 좌심실내경, 벽두께, 좌심실근량, 구혈율 및 승모판혈류속도곡선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1) 약물치료 중단 후, 베타차단제의 경우 9명 중 6명에서, 그리고 칼슘길항제 및 디소피라미드를 복용하던 각 1명, 도합 7명의 환자에서 심계항진, 호흡곤란의 악화, 흉통이 관찰되었고, 심계항진을 호소한 1예에서는 심방세동이 재발되었다. 2) 혈압, 심박수, 확장말기 및 수축말기 좌심실내경, 심실중격 및 심실후벽 두께, 좌심실근량 및 구혈을 모두는 치료약물 중단 전후에 다소 변화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3) E파 최고속도와 E파 시간속도적분은 약물투여 중단 전후에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A파 최고속도와 A파 시간속도적분은 중단 후에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both P<0.01), E/A 최고속도비와 E/A 시간속도적분비는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both P<0.01). 한편, E파 감속시간, 등용이완시간 그리고 A-Ar 간격[A파의 최고점에서 A reversal(Ar)파의 최저점간의 시간] 모두는 중단 후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1 결론 : 비후형 심근증 이나 고혈압성 좌심실비후 환자에서 장기투여중이던 베타 차단제와 칼슘길항제를 일시적으로 중단하였을 때 임상중상의 악화와 더불어 확장기 기능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약물치료로 비록 임상적으로 안정상태에 있더라도 치료를 갑자기 중단할 때는 주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changes in clinical findings, hemodynamics and cardiac function after abrupt withdrawal of longterm beta-blockers and/or calcium channel blockers in hemodynamically stable patien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left ventricular(LV) hypertroph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Methods : Eleven patien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n=5) and LV hypertroph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n=6) were studied. Symptom assessment, blood pressure, electrocardiography and echocardiography including pulsed Doppler examination were obtained before and at least 5 days after abrupt cessation of beta-blockers and calcium antagonists. Results : 1) Deterioration in symptoms(i.e. palpitation, aggravation of dyspnea and chest pain) was observed in seven patients after abrupt withdrawal. 2)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blood pressure, heart rate, end-systolic and end-diastolic LV dimensions, interventricular septal thickness, LV posterior wall thickness, LV mass, and ejection fraction before and after drug withdrawal. 3) Doppler time intervals and E wave peak-velocity and time velocity integral(TVI)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efore and after drug withdrawal. But A wave peak-velocity and TVI after abrupt withdrawa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both p<0.01), and E/A peak-velocity ratio and TVI ratio were significantly decreased(both p<0.01).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mporary omission of beta blockers and calcium channel blockers develops deterioration in symptoms and LV diastolic dysfunction in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LV hypertroph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Physicians should avoid abrupt withdrawal of longterm beta blockers in LV hypertrophy.

      • 토글-회전관성댐퍼를 이용한 구조물의 성능개선

        황재승,이상현,송진규,홍성목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1(구조계)

        This paper presents a new vibration control device by which the mass and damping of a structure is increased equivalently. The vibration control system, named toggle-rotational inertia-viscous damper, can be utilized effectively in applications of small structural drift. Numerical analysis shows that because the relative drift of a structure can be effectively amplified by the toggle system, the device has a great performance in the vibration control without the increase of the damper capacity and size. It is also observed that vibration control effects is caused by the increase of equivalent mass and damping due to the rotational inertia and damping of the device.

      • SCOPUSSCIEKCI등재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두경부 위치의 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황충주,김석현,길재경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2

        두경부 자세는 생리적 활동의 기능적 요구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두개 안면 골격의 형태학적 발육에 직접 혹은 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안모형태와 설골의 위치, 두경부 자세는 서로 매우 높은 상관 관계를 나타내며, 특히 하악골의 전후방 위치가 두경부 자세와 가장 큰 상관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같은 연구에서는 대부분 연구대상을 Natural Head Position(NHP)으로 유도하였으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NHP의 재현성이 매우 높다고 알려져 있으나, 교정환자를 위해 통법의 두부방사선 사진을 찍은 경우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선 연구가 적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안모 유형의 성인 여자 환자를 대상으로 수직 기준선을 나타내는 수직선 추를 이용하여 통법에 따라 채득한 치료전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Wits와 ANB을 기준으로 골격성 부정교합군을 I, II, III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별 20명씩 선택하여 두경부 위치와 설골 위치의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상관성 여부를 알아보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개저에 대한 설골의 수직적 위치 비교시 Cl II에 비해 Cl III에서 설골이 더 하방 위치하였다. 2. 경추에 대한 설골의 전후방 위치 비교시 Cl II에 비해 Cl III에서 더 전방 위치 하였다. 3. 하악에 대한 설골의 수직적 위치는 Cl I, II, III 간에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다. 4. 악골의 전후방 관계를 나타내는 ANB, Wits와 설골의 위치 사이에는 통계학적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없었다. 5. Cl II에서 나타나는 상대적인 두부 신전(extension)은 Bjork Sum, ANB와 역상관계를 나타냈다. 6. Cl II와 Cl III에서 Post to Ant Facial Height과 NSL/VER은 수상관관계를 나타냈다. It has been known that head posture may influence directly and/or indirectly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raniofacial morphology and can also be influenced by the functional demand of physiologic activity. It was reported that facial morphology has close relationships with hyoid bone position and head posture. In many previous studies, Natural Head Posture(NHP) was guided, and also it was shown that NHP has high degree of reproducibility. Otherwise, There was few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of head posture, with routine cephalometric film which is used for clinical orthodontic purpose.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Wits and ANB of initial cephalometric film which was taken with vertical pendulum as representative of true vertical reference line. We classified the subjects which is comprised of 60 adult female patients into Class I, II, III (Cl I, II, III)and we tri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of head posture and hyoid bone posi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As a result of our research, we found the followings. 1. In comparison of vertical position of hyoid bone relative to the cranial base the position of hyoid bone of Cl III was lower than that of Cl II. 2. In comparison of anteriorposterior position of hyoid bone, relative to the cervical column. The position of hyoid bone of Cl III was more anterior than that of Cl II. 3. In comparison of vertical position of hyoid bone relative to mandible.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groups of malocclusion. 4. ANB and Wit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yoid bone position. 5. The relative extension of head, which was noted in Cl II, showed negative with Sum, ANB. 6. In Cl II and Cl III, Post to Ant facial heigh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NSL/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