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관상정맥동에서 기시하는 단일 관상동맥 1예

        정현광,김태우,조윤성,김강민,장재훈,이재우,정준훈 고신대학교의과대학 2007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22 No.2

        Coronary artery anomalies are found incidentally in approximately 1% of all patients undergoing routine coronary angiography. Of these, an isolated single coronary artery anomaly is the rarest one. Patients with an isolated single coronary anomaly may present with symptoms such as angina pectoris, myocardial infarction, arrhythmias, syncope, sudden death, and congestive heart failure. We report a case of single coronary artery anomaly with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and left circumflex coronary artery originating from the right coronary arter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KCI등재

        흰쥐의 발치와에 이식한 단계별 치아싹의 발육 과정

        정희훈,정한성,김성오,최형준,이제호,최병재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t which stage of tooth germ would develop into normal calcification and hence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transplantation. Therefore, tooth germs on the 15th, 17th embryonic day and the 3rd day of birth were separated for allotransplantation into maxilla of adult rat of 11 weeks. Calcification processes were analyzed radiographically and histopathologically at 4 weeks and 8 weeks after allotransplant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llotransplanted tooth germ at 4 weeks and 8 weeks showed delayed calcification compared to that of normal odontogenesis. 2. At 4 weeks, abnormal calcified tissue, such as odontoma and ankylosis of osteodentin with surrounding alveolar bone were observed. 3. At 8 weeks, allotransplanted tooth germs of the 15th and 17th embryonic day showed calcification and osteodentin surrounded by periodontal ligament. 4. At 8 weeks, allotransplanted tooth germs of the 3rd day of birth showed calcification composed of cementum and osteodentin. In this study, we observed small sized and amorphous calcified tissue from allotropic allotransplantation of tooth germs. Since these calcified tissue were underdeveloped and shaped irregularly, for calcification into normal tooth form, further study needs consideration about the reduction of surgical trauma, developmental stage of transplanted tooth germ, blood supply from recipient site, fixation method in transplanted site and period of transplantation. 외상이나 치주 질환,유전적 결함 등에 의하여 치아가 상실되었을 경우,보철 수복이나 임플란트로 치료하고 있다. 그러나 보철 수복이나 임플란트는 자연치가 아닌 인공치를 이용한 치료로서 기능성과 섬미성 등에서 자연치에 비하여 한계 가 있으므로 자연치를 이용한 이식 방법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치아 이식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이식 치아의 발육과 성장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연구는 세 가지 단계의 치아싹을 발치와에 동종 이식하고 치아싹이 발육하여 석회화가 이루어지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임선 15일과 17일,출생 후 3일 된 흰쥐의 치아싹을 분리하여 11주 된 흰쥐의 발치와에 이식하고 4주와 8주 후 방사 선학적 그리고 병리조직학적으로 석회화 과정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발치와에 이식된 임신 15일과 17일,출생 후 3일 된 치아싹에서 4주와 8주 후 석회화된 조직이 형성되었다. 2. 임신 15일과 17일,출생 후 3일 된 치아싹을 발치와에 이식하고 4주 후 치아종 같은 비정상적인 석회화 조직과 인접 치조골과 유착된 골양상아질이 관찰되었다. 3. 임신 15일과 17일 된 치아싹을 발치와에 이식하고 8주 후 골양상아질이 보였으며 치주인대로 둘러싸인 것도 관찰되었다. 4. 출생 후 3일 된 치아싹을 발치와에 이식하고 8주 후 골양상아질과 백악질이 형성되었다. 이 연구는 치아싹을 흰쥐의 발치와에 이식한 후 치아싹의 발육을 관찰한 것으로 이식 조직에서 크기가 작고 무정형의 석회화 조직이 형성되었다. 정상적인 치아보다 형태가 불규칙하고 발육이 늦었으므로 이식된 치아싹이 정상적인 치아 형태로 석회화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식 조직의 발육 정도와 이식 조직을 절제할 때 외과적 손상의 감소,치아싹으로의 풍부한 혈류 공급,이삭 기간,이식 조직의 고정을 고려하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Collagenase와 esterase가 상아질 접착강도와 nanoleakage에 미치는 영향

        정영정,한세현,김종철,이상훈,김정욱,김영재,장기택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3

        본 연구는 상아질 접착계면에서 collagenase와 esterase가 접착강도와 극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발치된 치아의 교합면 상아질에 Single Bond 2(SB)와 Clearfil SE bond(SE)를 사용하여 상아질-레진 접착시편을 제작하고,시편을 인산완충용액(PBS)에 24시간(I),또는 PBS(II),collagenase 용액(III),esterase 용액(IV)에 4주간 보관 한 후 질산은 용액으로 염색하였다. 시편의 미세인장접착강도(μTBS)와 질산은 침투 면적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B군의 접착강도가 II∼IV군에서 SE군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O.05). SB군은 II∼IV군의 접착강도가 I군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으나(p<O.05),SE군의 접착강도는 I∼IV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O.05). 2. SB군의 질산은 침투 면적이 SE군에 비해 높았으며(p<O.05),SB군과 SE군에서 질산은 침투 면적은 I ∼ IV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O.05). 3. 접착강도와 질산은 침투 면적은 SE군의 I, II,III군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O.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llagenase and esterase on dentin bond strength and nanoleakage. Resin composites were bonded to occlusal dentin of premolars with Single Bond 2(SB) and Clearfil SE Bond(SE). After the microtensile specimens were prepared and stored in PBS for 24 hours(I) or, PBS(II), collagenase(III), esterase(IV) solution for 4 weeks, the specimens were stained with silver nitrate solution. Microtensile bond strength(μTBS) and silver penetration area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group II, III, and IV, the bond strengths of SB were lower than those of SB(p<0.05). The bond strengths of SB II, III, and IV were lower than that of SB I(p<0.05).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bond strengths of SE I ∼ IV groups(p>0.05). 2. Silver penetration areas of SB were higher than those of SE for all storage groups(p<0.05). In SB and S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ilver penetration area among I ∼ IV groups(p>0.05). 3. SE I, II, and III showed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bond strengths and the silver penetration areas(p<0.05).

      • 矮性사과나무의 剪定程度 및 誘引方向에 關한 比較硏究

        鄭載薰 公州大學校 資源科學硏究所 1995 資源科學硏究論文集 Vol.3 No.-

        切斷剪定의 程度와 가지誘引의 方向이 矮性사과나무에서 營養生長과 生殖生長間의 關係에 미치는 影響을 알아보기 위한 一連의 試驗이 1994년 3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切斷剪定의 程度에 관한 試驗에서는, 新梢와 側枝의 發達은 切斷剪定의 程度가 증가함에 따라 촉진되었으며, 剪定處理를 한 가지의 生長部位에 發生한 葉數, 葉面積, 그리고 生體重은 中 切斷剪定 處理區에서 가장 많았다. 花芽와 果實의 發育은 切斷剪定을 一切하지 않은 對照區에서 가장 높은 結果를 보여주었다. 사과나무에 대한 誘引方向의 影響을 알아보기 위한 試驗에서는 東쪽과 西쪽으로 誘引된 가지에서 新梢와 側枝의 生長이 효과적으로 抑制되었다. 東쪽으로 誘引된 가지는 가장 良好한 花芽發達 狀態를 보여준 반면, 東쪽과 南쪽으로 誘引된 가지는 結實된 果實의 수와 무게에서 가장 良好한 着果狀態를 보여주었다. 本 試驗은 剪定의 程度가 증가함에 따라 新梢의 生長은 촉진되지만 花芽의 發達과 着果抑制된다는 것과 經濟性을 고려한 사과나무의 가장 효과적인 誘引 方向은 東쪽과 남쪽임을 언급한다. A series of experiment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uning severity and training direc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egetative and reproductive growth in dwarf apple trees('Fuji'/M.26/Malus prunifolia seedlings) from March to October 1994, in Yesan area. In the experiment of pruning severity, terminal and lateral shoot development were stimulated as pruning severity was increased, and leaf number, total leaf area and fresh weight of leaf were the most in moderate pruned shoots. The number and weight of flower bud and fruit were the most in no heading-back pruned shoot(control). In another experiment to know the most direction for apple tree, terminal and lateral shoot growth was effectively restricted in the shoot directed to the east and the west. Although the shoot directed to the east showed the best result in flower bud development, the shoots directed to the east and south kept the best result in fruit number and weight. This experiment suggest that as the pruning severity was increased, the shoot growth was stimulated, but flower bud development and fruiting was restricted, and that the more effective directions in apple trees considered with commercial purpose were the east and the south.

      • KCI등재

        계승치의 결손을 동반한 상, 하악 유구치의 다발성 유착에 대한 증례보고

        정회훈,최형준,김성오,최병재,이제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3

        치아유착은 치근의 상아질 또는 백악질이 치조골과 융합된 것으로 치아의 맹출이상을 야기하여 치조골 성장의 장애를 일으킨다. 본 6세 여아는 유구치의 유착과 영구 소구치의 결손을 주소로 본과에 의뢰되었으며 특이할 만한 의과적, 치과적 병력은 없었다. 구강검진 소견상 상, 하악의 좌, 우측 유구치에서 저위교합이 관찰되었으며, 다수의 치아우식증이 존재하였다. 방사선 사진 검사 소견상 상악의 좌, 우측 영구 견치와 계승 소구치의 결손, 상악 유구치의 치근흡수와 하악 유구치의 치주인대공간의 소실 및 미약한 치근흡수가 관찰되었다. 계승 영구치의 결손을 동반한 유구치 유착시 치료목표는 적절한 치조골 성장과 유치의 유지이며, 유착의 발현 시기와 치근의 흡수 정도에 따라 관찰, 수복 또는 발치 등의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유착치아의 발치는 인접 치조골 성장에 문제가 없고 인접치의 경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최대성장점(growth spurt)을 고려하여 그 시기를 결정해야 한다. Ankylosis is defined as a fusion of cementum or dentine with alveolar bone. Due to the loss of the periodontal ligament on the ankylotic area, the tooth is incapable of continued eruption and hence is unable to follow the normal vertical development of the neighboring teeth and alveolar process. A 6-year-old female was referred to the Dept. of Pediatric Dentistry for ankylosis of primary molars and congenital missing of permanent premolars on both jaws. She had neither specific past medical history nor trauma and infection history in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Radiographic finding is that the maxillary primary molars were the early onset of ankylosis and had fast root resorption rate. However the mandibular primary molars were ankylosed later and being resorbed slower than maxillary primary molars. The object of treating this case is to maintain the proper alveolar bone growth and retention of deciduous molars. The point of managing this case is as follows: Proper treatment (observation, restoration, of extraction) should be established after thorough consideration of the time of onset, the root resorption rate, progression of infraocclusion and the development of alveolar bone support. We should consider the timing of extraction of the ankylosed teeth without problem of neighbouring alveolar bone growth and tilting of adjacent teeth in the view of growth spurt. Early diagnosis is important to avoid many of the complications with infraoccluded primary molars.

      • 상악전치부 심미에 대한 인식도 평가

        정재훈,오상천 원광대학교 치의학연구소 2003 圓光齒醫學 Vol.12 No.2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Korean perception of the altered anterior dental esthetics including the lack of symmetry, the midline deviation, the gingival exposure, the inclination of incisal plane, the type of incisal plane, and the type of gingival line. 670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A questionnaire accompanied by 12 sets of computer-manipulated images using 3D MAX 4.2 software was used to record the ranking of the geometric preference related to the anterior esthetic discrepancies in three or four degrees of alterat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as determined by a one-way ANOVA and a t-test.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Korean perception of the anterior dental esthetics according to the subjects' occupation, sex, and age was most affected by occupation. 2. The masked image emphasizing the dentition and lips appeared stranger than the non-masked image at the same alteration. 3. The lack of symmetry, which was expressed as a unilateral discoloration of the tooth, showed incongruity in any teeth of the anterior dentition. The incongruity was more severe as the degree occurred closer to the midline, 4. The deviation of midline was showed more severe strangeness as the degree of deviation increased. However,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did not perceive a deviation of 5mm. 5. During smiling, the exposure of the upper gingiva showed more severe incongruity as the degree of gingival exposure increased. 77% of the subjects perceived strangeness at the gingival exposure of 4.5mm. 6. The inclination of the incisal plane appeared stranger as the degree of inclination increased. 62% of subjects perceived strangeness at the 7.5˚ inclination of the incisal plane. 7. The type of incisal plane showed increasing strangeness in the order of convex/downward, straight/horizontal, and concave/upward. 80% of subjects perceied strangeness at concave/upward. 8. The type of gingival line was showed increasing incongruity in the order of the same, a little above, and a little under the zenith of the lateral incisor to the line joining the zenith of the central incisor and the canine. However, less than half the subjects did not perceive strangeness at any alteration of the gingival line.

      • KCI등재후보

        국내 5개 3차 병원의 β-lactam계 항생제 사용 실태 및 Klebsiella pneumoniae의 항생제 내성과의 상관 관계

        정숙인,박경화,권기태,고관수,오원섭,정두련,백경란,염준섭,장현하,김신우,손준성,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4

        Background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rescribing pattern of β-lactam antibio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antimicrobial use in 5 tertiary care hospitals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Data on annual patient-days and annual consumption (defined daily dose (DDD) per 100 patient-days) of β-lactam antibiotics from 2003 to 2005 in 5 tertiary hospital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in K. pneumoniae, broth microdilution test and double disk synergy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LSI performance standards. Spearman's correlation coeffient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biotic consumption and resistance. Results : The prescription of β-lactam antibiotics in 5 tertiary hospitals markedly varied. In two hospitals, increase in consumption of β-lactam antibiotics was more than 30% during recent 3 years. The higher consumption of β-lactam antibiotic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higher rate of antibiotic-resistant K. pneumoniae in 5 tertiary care hospitals. Conclusion : Continuous surveillance of antibiotic use is needed to encourage appropriate prescribing of antibiotics and to reduce antibiotic resistance. 목적 :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한 내성균의 발현 및 급속한 확산이 전세계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다. 특히 병원은 항생제 내성의 중심점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간 국내 5개 3차 병원의 β-lactam계 항생제의 사용량을 조사하고, 각 병원별 항생제 사용량과 K. pneumoniae의 항생제 내성률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국내 5개 3차 병원에서 2003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병원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연도별 재원연인원수와 각 β-lactam계 항생제의 총사용량을 수집하여 DDD (defined daily dose) per 100 patient-days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2005년 6월부터 8월까지 각 병원의 임상검체에서 동정된 K. pneumoniae를 수집하여 액체배지미량희석법으로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고 ESBL(extended-spectrum β-lactamase) 생성 여부는 double disk synergy test를 시행하였다. 항생제 사용량과 내성의 상관관계는 Spearman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5개 병원 중 3개 병원에서는 연도별 β-lactam계 항생제 사용량이 비슷하게 유지되었으나, 2개 병원에서는 2003년에 비해 2005년에 항생제 사용량이 30% 이상 증가하였다. β-lactam계 항생제 중 제제별 비율은 각 병원마다 차이가 있었으나, 3세대 cephaosporin의 사용이 가장 많았고 2세대 ceaphlosporin, β-lactam/β-lactamase inhibitor, 1세대 cephalosporin 순이었다. 경구용 β-1actam계 항생제의 사용량(r=0.900, P<0.037)과 2세대 cephalosporin의 사용량(r=0.900, P<0.037)은 각각 K. pneumoniae의 ESBL 생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Ceftazidime의 사용량은 K. pneumoniae의 ceftazidime 내성률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900, P<0.037). 반면 imipenem의 사용량은 piperacillin/tazobactam 내성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900, P<0.037). 결론 : 최근 3개년간 항생제 사용량은 병원별로 차이가 있으나 일부 병원에서는 증가하였다. β-lactam계 항생제의 사용량은 K. pneumoniae의 항생제 내성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항생제 사용을 줄임으로써 항생제 내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병원별로 항생제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나노 충전제 함량에 따른 복합레진의 표면 미세경도 차이

        정영정,김연재,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1

        최근에 개발된 나노 충전제를 microhybrid 복합레진에 첨가할 때, 나노 충전제 함량이 중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적으로 나노 충전제의 함량을 다르게 제작한 복합레진에서 광중합 후 미세경도를 측정,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나노 충전제의 함량이 2%, 3%인 군은 0%, 1%인 군에 비해 중합된 면의 미세경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p<0.01),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2. 나노 충전제의 함량이 높을수록 레진 시편의 하면에서의 미세경도는 증가하였으며, 나노 충전제의 함량이 0%, 1%, 2%간에, 0%, 1%, 3%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 2%와 3%간에는 차이가 없었다(p<0.05). 3. 레진 시편의 상면과 하면의 미세 경도 차이는 나노 충전제 함량이 높을수록 감소하였으며, 나노 충전제의 함량이 0%, 1%, 2%간에, 0%, 1%, 3%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1), 2%와 3%간에는 차이가 없었다(p<0.0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nanofiller content on the microhardness and polymerization of experimental microhybrid composites. The nanofiller contents in the experimental composites were varied (0%, 1%, 2%, 3%), while the total filler content remained constant as 76 %wt.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microhardness of the top surface for the 2%, 3% nanofilled microhybrid composi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the 0%, 1% nanofilled composites (p<0.05), but the difference was not great. 2. The microhardness of the bottom surfac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nanofiller level (p<0.05), except between the 2% and 3% nanofilled groups (p>0.05). 3. As the nanofiller level increased, the difference beween microhardness of top and bottom surface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except between 2% and 3% nanofilled groups (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