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lide Session : OS-IFD-07 ; Infectious Disease : In Vitro Antiviral Activity of Ribavirin Against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 Myung Jin Lee ),( Kye Hyung Kim ),( Jong Youn Yi ),( Su Jin Choi ),( Chung Jong Kim ),( Nak Hyun Kim ),( Kyoung Ho Song ),( Pyoeng Gyun Choi ),( Ji Hwan Bang ),( Wan Beom Park ),( Eu Suk Kim ),( San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4 No.1

        In Vitro Antiviral Activity of Ribavirin Against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Myung Jin LEE1, Kye-Hyung KIM1, Jongyoun YI2, SuJin CHOI1, Chung-Jong KIM1, Nak- Hyun KIM1, Kyoung-Ho SONG1, Pyoeng Gyun CHOI1, Ji-Hwan BANG1, Wan Beom PARK1, Eu Suk KIM1, Sang-Won PARK1, Hong Bin KIM1, Nam Joong KIM1, Myoung- Don OH1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1,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Korea2 Background: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is an emerging infectious disease caused by a novel Bunyavirus,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SFTSV). No effective antiviral therapy is proven yet, but clinical use of ribavirin (RBV) has been tried. We investigated the antiviral effect of RBV against SFTSV in vitro. Methods: To test for cytotoxicity of RBV, Vero cell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RBV (3.90 to 500 μg/mL, two-fold dilution) and analyzed by cell viability MTS assay 48h post-infection. To determine antiviral activity of RBV against SFTSV, Vero cells were infected with SFTSV strain Gangwon/Korea/2012 at 100 TCID50 (50% tissue culture infective dose) per well in a 96-well plate, and RBV was added at the concentrations showing no or minimal cytotoxicity. Viral RNAs were extracted from the culture supernatants and quantifi ed using one-step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CR to amplify the partial large segment of SFTSV.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one-way ANOVA with Tukey`s post hoc test. Results: Cytotoxicity due to RBV was not observed at RBV concentration =31.3 μg/ mL. Viral RNAs at 24h post-RBV treatment were reduced with increasing RBV concentrations (1-32 μg/mL), compared with those of mock-treated cells (P <0.01, Figur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of RBV was 3.69 μg/mL at 24h post-RBV treatment. Conclusions: Our study shows that RBV has antiviral effect against SFTSV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valuate the effi cacy of RBV in SFTS.

      • SCIESCOPUSKCI등재

        자궁내막에 발생한 점막 연관 림프조직 (MALT) 림프종 1예

        전균호,조현진,박성균,김천복,김대연,김종혁,김용만,김영탁,목정은,남주현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4

        Non-Hodgkin's 림프종의 약 40%는 결절외(extranodal) 림프종으로 대개 위장관에서 발생하며 이들 중 점막 연관 림프조직(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에서 기원한 림프종은 MALT 림프종으로 분류된다. 위 외의 부위에서 원발성으로 발생하는 MALT 림프종은 매우 드물지만 실제 거의 모든 신체 장기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가장 흔한 부위인 위 외에도 폐, 갑상선, 침샘, 눈물샘에 발생하고, 드물게 안구, 유방, 방광, 신장, 흉선 등에도 보고된 바 있다. MALT 림프종은 오랜 기간동안 원격 전이하지 않고 국소 병변으로 남아 있는 특징이 있어 치료 방향 또한 국소 병변의 치료에 집중되며, 예후도 림프절 기원의 림프종에 비해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저자 등은 자궁 내막에 원발성으로 발생한 MALT 림프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lymphoma can rarely develop primarily in extranodal sites other than stomach which is the most common site for it. Other rare primary sites are small intestine, colorectum, esophagus, lung, thyroid, salivary gland, lacrymal gland, breast and skin. MALT lymphoma represents a distinct clinicopathologic features: it is usually localized to their original site for a long time and shows much more favorable prognosis than lymphoma at other site, but some MALT lymphoma can arise simultaneously or successively in different organ or give rise to another MALT lymphoma of other organ and can be multifocally disseminated or recurred. We report a very rare case of high grade B-cell lymphoma of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of the uterine endometrium, which was confirmed by immunohistochemical assay.

      • TiO₂를 이용한 프로필렌 가스의 광촉매 산화반응

        정대일,이동희,김용환,김현숙,이용균,박유미,최순규,김동현 동아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2001 硏究報告 Vol.24 No.1

        Photocatalyzed degradation of propylene gas was carried out over precoated titanium dioxide(anatase) illuminated W light in a flow reactor. photocatalytic oxidation of propylene gas indicated high conversion rates (78.0%) to CO₂ gas. And photocatalytic oxidation of gas according to a fold, twofold, and threefold of titanium dioxide(anatase) respectively gave high conversion rate. The longer reaction time was, the higher conversion rate to CO₂ gas showed.

      • 방사선을 조사한 생쥐 장기에서의 Superoxide Dismutase 분포에 대한 연구

        김양균,전현우,차종희,고광삼,이근배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1986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11 No.1

        The cytosolic and mitochondrial supreoxide dismutases (EC 1.15.1.1) were investigated in various organs, thyroid gland, lung, heart, liver, spleen and kidney, of normal and irradiated mice. The mouse organs were fractionated into cytosolic and mitochondrial fractions by differential centrifugation, and the supsroxidp dismutase was measured by the method of McCord and Fridovich. The mouse organs contain two types of superoxide dismutase ; one is localized in the cytosol and contains cupper and zinc, the other in the mitochondria and contains manganese. Superoxide dismutasc activity was found in all organs of mouse investigated, and maximal activity of enzyme was observed in liver. most of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79-86%, was present in the cytosolic fraction, and the rest was associated with mitochondria. The activity of cytosolic superoxide dismutase was most prominent in the liver among those tissues assayed. However, that of mitochoadrial enzyme was highest in the heart. Thc specific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in mitochondria was found about 2-5 folds greater than that of the enzyme in cytosol and cyanide inhibit the activity of cytosolic enzyme but not mitochondrial enzyme, In irradiatcd mice, the enzyme activity and the specific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in cytosol and mitochondna of various organs were decreased with minimal value on 7th and l4th day after exposured by whole body-irradiation.

      • SCIESCOPUSKCI등재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橋梁의 解析 및 設計自動化

        金亮均,李準熙,崔正鎬,申鉉穆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5 論文集 Vol.46 No.2

        Computer programs called "PCBRG" and "PCPST' were developed to analyze and design the prestressed concrete bridge. PCBRG is a structural analysis program which can determine the member forces, displacements and adaptable area of tendon by iteration method. PCPST is a post-processor for design. It enables design variables verified and the results of analysis (stress, member force and displacement, etc) are presented in the screen. Also the shear force and bending strength by the deformation compatibility method were checked.

      • 통합학급 운영실태 분석 연구

        김은주,권택환,김정균,박현옥 국립특수교육원 2003 연구보고서 Vol.- No.12

        국가는 「특수교육」 종합발전 계획('03~'07)에서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책무성 공유에 의한 모든 학생의 교육 성과 최대화"라는 추진 목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가 지향하는 이러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 통합학급을 중심으로 통합교육의 실행 전반을 점검한다는 데 그 의의를 두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통합학급의 운영 전반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통합교육과 관련된 제반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통합학급이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정책 입안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통합학급의 일반적인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를 대상으로 전집 조사, 즉 전국의 일반 유ㆍ초ㆍ중ㆍ고등학교 3,217개교에 있는 4,102개 통합학급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가 이루어줬다. 각 학교의 학교장, 통합학급 교사, 특수학급 교사, 통합학급 장애학생 학부모, 전국의 특수교육 전문직 등 총 13,911명을 통해 통합학급 운영 실태와 각 집단 별 의견을 조사ㆍ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설문조사에서 파악할 수 없는 세부적인 교육활동에 대한 실태는 학교급별로 표집된 학교를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즉, 유치부 특수학급 2개교, 특수학급이 설치되지 않은 초등학교 5개교, 특수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 4개교ㆍ중학교 3개교ㆍ고등학교 3개교 등 총 14개 표집학교를 대상으로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한편 통합교육의 효과 인식 및 통합학급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지원 요구를 보다 면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본원과 장애인먼저실천중앙협의회가 공동 주최한 통합캠프에 참가한 전국의 초등 특수학급 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 총 48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활용하였다. 통합학급 운영 실태 및 요구 분석을 위해 실시한 선행연구 탐색, 설문조사,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 등 일련의 연구 방법을 통해 획득된 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통합학급 운영 실태 설문조사 결과 분석 첫째, 설문조사 대상 기관 및 대상자에 대한 일반적인 현황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합학급 설치교의 3분의 2 이상이 초등학교로, 학교급간에 통합학급의 수가 불균형적이므로 장애학생이 통합교육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으며, 특히 특수학급 교사의 담당 장애학생수가 많은 것으로 보아 고등학교 통합학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을 여실히 알 수 있었다. 통합된 장애학생의 장애유형별 비율이 학교급별로 균형적인 분포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초ㆍ중ㆍ고 교사들이 장애개념에 대해 다르게 이해하고 있거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심해지는 학습격차를 정신지체로만 인식하는 것은 아닌지 의문을 갖게 하였다. 대부분의 통합된 장애학생들이 초등학교 입학전 교육 경험이 있었으나 군ㆍ읍ㆍ면 지역의 장애학생은 교육경험이 없는 경우가 3분의 1가량 되는 것으로 보아 장애영유아 특수교육에 대한 지역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통합학급 교사의 85%, 학교장의 55.5%, 특수교육 담당전문직의 27.2%가 특수교육 관련 연수를 이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장애학생 및 특수교육에 대한 이해 증진과 지도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 혹은 연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특수학급 교사 중 특수교사 자격증을 소지한 교사는 85%가량으로, 지역별로 볼 때 군ㆍ읍ㆍ면 지역과 학교급별로 볼 때 유치원의 특수학급 교사의 자격증 소지율이 약 70%로 낮아 자격을 갖춘 특수교사가 통합된 환경에 배치되어 특수교육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본다. 둘째, 통합학급 운영과 관련된 행ㆍ재정적 지원실태에 관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합교육 운영 지침이 수립되어 있는 교육청은 66.3%였고, 장학지도시 지침 활용여부를 확인 하는 교육청은 68.3%였다. 통합교육 관련 장학시 아직도 특수학급 교사와만 협의하는 경우가 약 27%에 이르렀다. 특수교육 보조원의 역할로 장애학생의 '일상생활지원', '문제행동 관리'이 선정되었는데, 특히 교사집단의 30%정도는 '일상생활지원' 다음으로 '교수-학습활동 지원'을 해야 한다고 보아 통합학급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사들의 교수-학습 지원 요구가 매우 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통합학급 교사에 대한 지원으로 월 5만원 수당지급과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 가산점수의 2분 1수준이 적정하다는 의견이 각각 약 50%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율적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 요구, 혹은 통학학급 교사에 대한 지원 요구 모두 일반학생 수 경감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고, 그 다음 보조원 배치에 대한 지원을 요구했다. 위 두 가지 외에 통합학급 운영을 위해서는 재정지원, 특수교사 수 증가를 요구하였고, 통합학급 교사를 위해서는 통합교육 관련 연수, 사무 경감, 가산점 부여, 수당지급 순으로 요구하였다. 셋째, 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장애인식개선 활동 실태에 대한 조사결과이다. 대상학교의 반수 정도만이 교직원 대상 특수교육 관련 교내연수를 실시하였고, 학교차원에서 일반 학부모를 대상으로 특수교육 관련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는 22% 정도, 통합학급 차원에서 학부모 대상 특수교육 관련 부모교육을 실시하는 학급은 17.5%에 불과해 통합교육이나 장애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해 구체적인 이해 교육이나 연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학생 대상 장애인식개선 활동으로 학교장이 훈시하는 경우는 58.8%, 학급에서 실시하는 경우는 비교적 많은 80.5%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통합학급 교사가 일반학생 대상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이유는 업무과다(38.3%), 지식부족(35.1%), 자료부족(17.1%) 등으로 나타나 장애이해교육 활성화로 통합교육 여건을 마련하려면 통합학급 교사에 대한 업무감축, 연수기회제공, 장애이해교육 자료제공 등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통합학급 운영 체계의 실태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합학급 교사들은 73.2%가 학급을 배정 받은 후 장애학생을 확인하게 되었고 희망하여 배정 받은 교사는 16.7%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일반교사들은 대체로 자신의 의지보다는 학교의 상황이나 타인에 의해 장애학생을 담당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따라서 일반교사들이 통합학급을 담당하기 전 연수 등을 통해 장애학생을 지도할 수 있는 준비를 하도록 해야 할 것이며, 보다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통합학급을 담당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행·재정적인 지원이 반드시 뒤 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통합학급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통합학급 급당 인원수는 16명에서 25명 사이로 줄여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장애학생은 학교의 모든 행사에 통합되는 편이나(73.2%), 아직도 장애학생의 안전이 염려되어서(55.8%), 혹은 장애학생을 지도할 만한 여유가 없어서(27.9%) 등의 이유로 모든 행사에 통합하지 못하고 있었다. 장애학생은 아직도 주로 예ㆍ체능 교과 위주로 통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약 60%) 장애학생이 통합학급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수정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통합학급에서의 교수-학습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본다. 통합학급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통합학급 교사들은 장애학생과 관련하여 일반 학부모로부터 상담을 의뢰 받는 사례는 약 27.6% 가량이며, 주로 장애학생이 자녀의 학습을 방해되기 때문(48.9%)에 상담을 하거나 장애학생과의 짝을 교체해 달라고(27.1%) 상담을 의뢰하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부모교육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통합학급에서의 교수실행 실태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합된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계획을 수립하는 교사들은 주로 교과활등지도에 중점을 둔다면, 부모들은 자녀의 주요 교육목표를 주로 사회성 발달에 두고 있었는데, 장애학생의 IEP는 대부분 특수학급 교사가 작성하였고, IEP작성시 참여하는 부모는 반수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따라서 장애학생의 교육계획 수립 과정에 특수학급 교사의 부모를 비롯 다양한 관련인사 참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학급 교사들의 경우 입급 대상 장애학생에 대한 기초 정보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장애학생에 대한 정보 부족은 학생들의 현재 수행능력을 파악하는데 지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의 부모 및 통합담당 교사간의 정기적 모임의 강화를 통해 장애학생들에게 최적의 교육적 지원이 제공될 수 있는 노력들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 된다. 장애학생들을 위한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의 작성시 협력팀간의 관계가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합학급 교사와 장애학생들에게 가장 유용한 서비스 제공자로 고려되는 특수교사와의 협력체제 또한 열악한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생들에게 유용한 교육적 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해서는 장애학생들의 인식 공유를 위한 서비스 제공자들의 모임 기회가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으며, 장애학생들의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 필요 시 교사간 협력 교수의 제공은 물론 학생들의 성취도 파악에 있어서도 유용하고도 긍정적인 결과들이 산출될 수 있도록 교사간 신뢰 및 협력체제의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여섯째, 통합교육의 효과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있어 통합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게 효과적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장애학생들의 경우 교우관계 및 사회성 발달에 유익한 것으로 보고하였고, 일반학생들의 경우 장애이해에 대한 증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애 학생들과 일반학생들 모두 교과 및 학습능력에 대한 기대는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학생들의 능력에 대한 제한적 기대의 결과에서 귀인된 것으로 추측되며, 이에 가능한 모든 활동 영역에서 장애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이 협력하여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기회들을 보다 많이 제공해 줌으로서 장애학생의 능력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통합교육 운영시 방해 요인으로 특수교사와 학부모, 전문직은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부족을 꼽은 데 반해, 일반교사와 학교장의 경우 장애학생에 대한 지도 방법에 대해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료 및 시설 부족, 교사간 협력 부족, 행·재정적 지원 부족 또한 통합교육 운영을 저해할 수 있는 방해요인들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통합교육을 적절히 지원해 줄 수 있는 체제 구축의 미흡을 반영하고 있으며, 따라서 통합교육의 효율적 운영과 평가를 위한 초학제간 협력팀을 구축하여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들이 정책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효율적인 통합교육의 수행을 위한 지침안 마련과 교수 서비스 접근에 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곱째, 통합학급 운영 관련 부모 참여 및 가족 지원 실태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들의 경우 일반학급 입급시 장애학생들의 사회성에 대한 기대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입급시 필요한 정보들은 주로 다른 장애학생의 부모나 특수교육관련 전문가나 특수학급 교사에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교사나 관리자들도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과 관련하여 학부모들에게 전문적인 교육상담이 가능하도록 관련연수 및 교육 기회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장애학생을 위한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의 작성과 부모들의 참여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큰 원인으로는 연락을 받지 못해서나 학교에서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의 작성시 여전히 교사중심의 업무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교와 가정간의 협력체제의 부족을 반증하는 것으로 학교는 자녀의 교육활동에 부모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통합된 장애학생의 부모들은 자녀가 교과활동의 어려움, 자녀의 문제행동, 친구로부터의 따돌림 등으로 인해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았고 사회성에 대한 기대가 큼에도 불구하고 자녀가 일반 친구들로부터 언어적 인 놀림이나 따돌림을 받고 있다고 친구관계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학부모들의 37% 가량은 아직도 자녀의 통학을 위해 도움을 주어야 했고, 학급 좌석 배치나 화장실 등에 대한 물리적 환경에 대한 불만을 나타내고 있었다. 장애학생의 부모들은 자녀로 인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지원을 필요로 하는데, 이에 대한 지원이 충분하게 이루질 수 있는 체제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2. 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 실시 결과 첫째, 유치부에 설치된 통합학급에서는 일반아동이 장애아동을 '자신보다 능력이 별 하기 때문에 늘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음으로 어려서부터 적절한 이해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유치부라는 특성상 보육도 중요하지만 장애아동의 능력과 특성에 적합한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통합된 환경에서도 특수교사를 통해 보다 전문적인 특수 교육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특수학급이 설치된 초등학교의 통합학급에 대한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 결과, 통합학급 운영으로 장애아동의 사회적 적응, 교우관계의 형성, 학업성취도 향상 등을 기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교사간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질적인 서비스 제공을 하고, 통합학급 운영에 필요한 교계와 교구 및 시설이 충족될 수 있도록 행ㆍ재정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통합학급 교사 선정과 장애아동의 배치, 협력교수에 대한 교사간 이견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통합학급을 담당하게 되는 부담감을 감소시키고 효율적인 통합학급 운영을 위해 급당인원수 감축, 보조원 배치, 연수기회 제공, 부모교육 실시, 자료 및 교제 제공 등의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중학교 통합학급에서 장애학생은 교과수업에 의미 있게 참여하지 못했고, 일반학생과 같이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무의미한 평가를 받아야 했다. 하지만 특수학급에서는 적극적으로 흥미 있게 참여하였고 사회적응 훈련을 받았으며, 다른 장애친구와 더 많은 상호작용을 나누었고, 통합 학급에서 일반학생과의 관계에서보다 더 편안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통합학급에서 학업성취 향상을 기대할 수 없지만, 생활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었다고 인식되었다. 중학교 통합학급에게 직업교육의 기회를 늘려주고 고등학교에서의 통합교육 기회를 확대시켜 줄 것을 요구하였다. 넷째, 고등학교 통합학급의 경우 학교가 실업계인지 인문계인지에 따라 통합학급의 운영 면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실업계인 경우 특수교육 대상학생이 아닌 정원 외로 입급 학생으로 인해 일반교사들이 특수학급 학생에 대해 좋은 인식을 갖고 있지 않았다. 하지만 실업계 고등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은 대부분의 시간을 통합학급에서 보냈고, 졸업 후 성인생활 준비를 보다 면밀하게 할 수 있는 편이었다. 고등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은 초반에 일반학생과의 관계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서로를 이해하게 되고 나름대로 대처전략도 생겨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하지만 사안이 발생했을 때 책임소지문제로 교사간에 이견이 생기는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하므로 체계적인 교사간 협력방안이 필요하였다. 또한 중학교에서와 마찬가지로 고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평가 문제가 IEP 기록과 학생기록부로 이분화되어 있어 실질적인 평가 실시 및 기록이 필요하였다. 다섯째, 특수학급이 없는 통합학급에서는 '장애아동'을 장애아동이 아닌 그냥 '몸이 불편한 아동'으로 인식하고 오히려 순회특수교사가 오는 통합학급에서는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이 명백하다. 통합학급 교사는 장애아동에게 개별적인 교육적 조치를 취하면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지만 특수교육적 전문 지도가 부족하다는 것에 대해 자신 없어 한다.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장애아동이나 통합학급에 대한 재정적인 지원이 전혀 없고, 체계적인 장애이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일반교사들의 특수교사에 대한 인식이 '다르다' 혹은 '일반보다 못하다'는 식의 부정적인 경향이 있어 상대방의 전문성을 인정하는데서 출발하는 교사간 협력, 공동주인의식이 무엇보다 필요하였다. 일반아동과 장애아동과의 관계는 '수직적 보살핌과 의존관계', '수평적 배려와 소외의 관계'로 특징 지어진다. 일반교사들은 장애아동이 통합된 환경에서 일반아동과 평범한 생활을 하면서 수준에 맞는 교육을 받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여겼다. 하지만, 생활 적응을 위해서 적극적인 의미를 지닌 '소극적인 방치'를 하였고, 학습을 위해서 특수학급과 같이 의미 있는 '적극적인 분리' 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특수학급이 없는 통합학급에서도 급당 인원수 조정, 업무 면제나 가산점 부여 등 통합학급 교사에 대한 혜택이 필요하고 특히 교사들간의 정보교환이나 인수인계 등의 제도화로 일관성 있고 지속적인 교육의 필요하다고 보았다. 3. 제언 첫째, 통합학급이 물리적 통합 단계를 넘어서서 진정한 의미에서 통합교육을 실행하는 학급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통합학급 내에서도 장애학생이 적절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통합학급 교사가 장애학생을 지도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어야 하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활동이나 특정 교과에 대해서만 통합하려고 하는 인식을 버리고 모든 교육활동에 장애학생이 통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며, 통합학급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지원 체제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아직까지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등 교사집단도 통합교육이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교과ㆍ학업능력 향상에 덜 효과가 없다고 인식하고 있고, 일부 일반학생의 학부모들은 장애학생으로 인해 자녀의 학습이 방해 받는다고 여기고 있다. 통합학급에 장애학생을 배치하는 것이 장애학생의 사회성이나 일상생활 능력 향상, 일반학생의 인성 발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만 인식되고 있다. 단순히 통합 배치나 통합 보육 차원에서 생활 적응이나 사회성 발달의 도모하는 것 이상으로 장애학생에게 적합한 학습 프로그램이 통합학급에 제공되어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의 교과 학습 면에서도 효과적일 수 있음이 입증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통합학급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가 개발 보급이 매우 시급하다고 하겠다. 통합된 교육환경에서도 전문적인 특수교육 지원이 제공될 수 있어야 한다. 직업교육, 치료교육 등 장애학생의 요구에 부응하는 전문적인 특수교육적 서비스를 통합된 교육환경에서도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할 것이다. 둘째, 통합학급 운영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통합학급 교사는 물론 학교 관리자, 일반학생과 일반학생의 학부모, 학교 직원, 심지어 장애학생 학부모에 이르기까지 각 대상 별로 적절한 교육 혹은 연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자격을 갖춘 교사에게 통합학급을 담당하게 하거나 모든 교사가 장애학생을 포함하여 다양한 모든 학생을 지도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다면 더욱 바람직하겠지만, 아직 우리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통합학급 교사와 장애학생의 학부모처럼 장애학생 지도 등 특수교육 관련 교육이 필요하기도 하고, 대상에 따라서는 장애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해 이해교육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경우도 있다. 또한 특수교육 관련 지식 혹은 장애이해교육 등 같은 내용의 교육이나 연수가 필요하더라도 부모, 중ㆍ고등학생, 관리자 등 그 대상에 따라 접근 방식이나 교육 내용의 범위, 활용 자료 등에서 차별화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특수교육 관련 연수, 장애학생 지도 관련 부모교육, 장애이해교육 등 대상 별 교육 및 연수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적절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하며, 각각의 교육 및 연수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자료도 충분히 지원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통합학급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 교사와 학부모간 협력이 우선되어야 하고, 그를 위해 무엇보다도 기본적인 정보 및 의견을 교류할 수 있는 의사소통 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통합된 장애학생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간, 교사와 학부모간에 장애학생의 장애 유형이나 특성에 대한 이해 부족이나 이견으로 인해 학년이 올라갈수록 장애학생이 나타내는 학습부진을 정신지체와 같은 지적 인 장애에서 기인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어 장애유형간 불균형적인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통합학급 교사나 학부모가 장애학생의 IEP 자체를 모르거나 IEP 작성시 연락을 받지 못해서 참여하지 못하는 사례도 상당 수 있는 것으로 보아 통합학급에 있는 장애학생을 위한 모든 교육활동에 부모가 참여하고 협력하여 교육을 계획ㆍ실행ㆍ평가해 나갈 수 있는 체계가 시급하게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장애 학생을 담당하는 교사들간에도 비공식적인 차원에서 사안이 발생했을 때 위주로 협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장애학생에 대한 교육이 공동 책임 하에 실행될 수 있도록 공식적인 의사소통 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장애학생이 통합학급에서 학습활동에 참여하고 교실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히 일반학생들도 통합교육을 통해 긍정전인 혜택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수교육 보조원의 통합학급 배치를 전국적으로 확산시켜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모든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통합학급 당 학생 수가 감축되어야 하며, 이러한 조치는 특수학급 미 설치교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유ㆍ초ㆍ중ㆍ고등학교별 통합학급의 수가 균형을 이루어 전 학령기에서 통합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통합학급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가 공동주인의식을 갖고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에 대한 교육을 책임지려고 하는 공동의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통합교육의 확산으로 통합학급에 입급 되는 장애학생 수가 늘고 있고, 통합학급 교사가 장애학생을 지도해야 하는 시간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통합학급 교사가 장애학생에 대한 지도를 부담으로만 느끼지 않고 책무성을 갖고 보다 적극적으로 지도에 임할 수 있도록 통합학급 교사 개개인에 대한 우대책이 여러 차원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선택 가산점이 적용되고는 있지만, 지역마다 일관되게 적용되고 있지 못하다. 학교 업무 축소, 급담 인원수 감축과 함께 일정액의 수당지급을 새롭게 고려해보아야 할 것이다. 여덟째, 통합학급이 있는 일반학교의 물리적인 환경이 장애학생의 통합을 방해하지 않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아직까지도 장애학생의 부모들이 화장실과 같이 매우 기초적인 시설 설비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일반학교 내 장애학생 관련 편의시설이 실제 활용 측면에서 제대로 갖추어졌는지에 대한 실태가 면밀하게 이루어져 물리적 환경을 개선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a part of the research on the status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In the 'analytical research on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that was took in 2002, most special school and special classroom in our country were analyzed. Over the years, attention to the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continued to grow. Therefore, in 2003 we have analyzed and investigated in the priority of 'inclusive classroom management'. Specially, our country aimed to enlarge the outcome of education for all students through joint responsibility of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hat was a project of comprehensive development in special education. To realize this project's aim, the meaning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overall condition of special education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raw up a improvement plan that lead to successive inclusion through to investigate the overall management and execution of inclusive classroom and to collect opinions of many professionals in inclusive education, To realize these purpose we first reviewed many preceding empirical researches and theoretical literatures that relevant to inclusive education. Secondly we surveyed with questionnaire the general management status of inclusive education and collected variety view of professionals. Beside, we executed deep interview with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preschool,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actual participating observation in inclusive setting. Specially, we surveyed entire general school that exist special classroom, that was 4,793 preschool, elementall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there 19,556 inclusive classroom. Through the above-mentioned methods, this research consists of following contents. : Chapter1 titled introduction present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ubject and substance of this research, and the methods of it. Chapter2, theoretical background, explains the conceptual appreciation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inclusive education, factors of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inclusive classrooms. Chapter3 analyses the answers to the questionnaires about the status of management of inclusive classrooms classifying into seven territories as follows : the general status related inclusive classroom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o inclusive classrooms, the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for management of inclusive classrooms, the system of management of inclusive classrooms, the status of teaching in inclusive classrooms, the recognition of effects of inclusive educations,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or families. Chapter 4 presents the results of the participating observations and depth interviews dividing into five domains like inclusive classrooms of preschools,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high schools which have special classrooms, and inclusive classrooms of elementary schools which don't have special classrooms. Chapter 5 presents the results of interviews carried out in the inclusive camp, and finally, chapter 6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d gives some propositions for improvement of management of inclusive classrooms.

      • KCI등재

        두개골의 두께: 일차연구

        김수관,김운규,김봉균,장현선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0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 cranial bone thickness at various points of the bone and to serve as a clinical guide for choosing a bone graft. Twelve bones were obtained from 6 Korean adult skulls for this study. The mean bone thickness at each point of the 17 points of the bone and at the corresponding points of the opposite bone was obtained in all skulls studied. The thinnest part of the parietal bone was 5.92mm. The thickest part of the parietal bone was 7.58mm. The mean bone thickness at each point of measurements on two opposite bones was compared using the paired Student's t-test. The mean thicknes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 thickness in the same bone varied widely depending on the points of measurement.

      • 설계환경을 위한 트랜젝션의 관리에 관한 연구

        강현석,김기철,오성균 全北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86 基礎科學 Vol.9 No.1

        For implementing to design data management in CAD environment, the design transaction must be managed effectively. In this paper, we compared the most known two techniques about this issue. And also we described a design transaction management which is adapted to our proposed design object management system.[8]

      • KCI등재

        유치의 치근단 병소에 의해 변위된 영구치의 자발적 맹출

        강동균,양승덕,김태완,김현정,김영진,남순현 대한소아치과학회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2

        The infection of primary teeth occurs by caries or trauma. But, if it is not treated on time, the complication may occur such as enamel hypoplasia, discoloration, impaction, displacement and dilaceration of permanent successors. The periapical lesion on primary tooth could displace the permanent successors in any direction. Treatment options of displaced tooth are observation after extracting the primary teeth, surgical exposure, orthodontic traction, transplantation and extraction. In these cases, displacement of permanent central incisor caused by the periapical lesion of primary teeth was observed. The spontaneous eruption after extraction of primary teeth was expected considering degree of displacement, development of root and direction of eruption. This case report shows spontaneous eruption of displaced permanent tooth germ was achieved with periodic examination after extraction of primary tee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