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국 내 불안정 노동시간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공정한 주당 노동시간 관리법 제정

        조효진 ( Cho¸ Hyoji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국제사회보장리뷰 Vol.15 No.-

        불안정한 노동시간은 소득 불안정과 삶 전반의 불안정으로 이어져 근로빈곤의 위험을 높이고 삶의 질을 저해한다. 불안정 노동시간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커지면서, 최근 미국 내 여러 지역에서 사용자의 근무일정 관리 및 조정 관행을 규제하는 공정한 주당 노동시간 관리법(Fair Workweek Law)을 제정해 시행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공정한 주당 노동시간 관리법의 도입 배경으로서 불안정 노동시간이 특히 저임금 노동자 및 저소득층 가구에 미치는 영향과 그 논의들을 살펴보고, 공정한 주당 노동시간 관리법의 개요와 적용 현황을 소개한다.

      • KCI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mediational effects of positive affect and self-compassion

        Hyojin, Cho,유성경,Chan Jeong, Park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22 No.3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onal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positive a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South Korean university students. Questionnaires regarding stress, self-compassion, posi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were distributed to 1,087 university studen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irect and indirect paths between each variable as regards life satisfaction and gender differenc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al mediational model best fit the data, and that positive affect and self-compassion had significant partial mediational effects. Second, positive affect and self-compassion both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 partial mediational model fit the data well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lthough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certain paths.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self-compassion and positive affect in interventions for highly stressed university studen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also discussed.

      • Attenuation of Translocator Protein 18 kDa (TSPO) Up-Regulation by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Ligand in Activated Microglia

        Hyojin Cho,Hyun-Jung Shim,유성운 계명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4 Quantitative Bio-Science Vol.33 No.1

        Translocator protein (18 kDa) (TSPO) is a five transmembrane domain protein localized primarily in the outer mitochondrial membrane. Recently, we reported that TSPO is a negative regulator of neuroinflammation in microgli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is a ligand-specific transcriptional factor belonging to the nuclear receptor superfamily and predicted as a putative TSPO transcriptional factor. A number of studies suggest that the activation of PPARhas anti-inflammatory effects.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treatment of rosiglitazone, a PPARligan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NO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BV2 microglia cell, indicating inhibition of microglial activation. The inhibitory effect of rosiglitazone extended to attenuated protein level of TSPO. TSPO up-regulation seems an adaptive anti-inflammatory response to overcome microglia activation, according to our previous report.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PARactivation by rosiglitazone attenuates neuroinflammation and leads to reduced expression of TSPO in the BV2 microglial cell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대학생의 SNS 중독 양상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요인 연구

        조효진(Hyojin Cho),손보영(Boyoung Son)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52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SNS 중독경향성에 따라 어떠한 잠재집단이 있는지 탐색하고 어떠한 요인들이 잠재집단을 형성하는 데 영향이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수도권, 충청 지역의 대학생 235명을 대상으로 잠재집단프로파일분석(Conditioanl Latent Profile Anlaysis)을 사용한 SNS 중독경향성의 잠재집단 유형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3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를 고위험군, 잠재위험군, 저위험군으로 명명하였다. 잠재집단에 따른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각 잠재집단에 따른 특성을 확인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 자기개념 명확성, 외로움, 불안의 모든 변인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을 분류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내현적 자기애, 자기개념 명확성, 외로움 변인이 잠재집단을 구분하는 데 있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불안은 집단구분에 있어 유의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SNS 중독경향성의 예방 및 치료적 개입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groups of college students that become addicted to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and to test effects of several variables in determining latent groups. A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utilized to analyze data collected from 235 university students from Seoul and the Chungcheong area in Korea. Results showed that three subgroups within the sample were found to be qualitatively different as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e low-risk group, potential-risk group, and high-risk group. The three group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levels of 4 factors of SNS addiction (e.g., control failure, preoccupation and tolerance, avoidance of negative emotions, virtual life orientation and withdrawal). A multivariate variance analysis according to latent group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group, indicat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all variables of covert narcissism, self-concept clarity, loneliness, and anxiety. After identify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classification of each group, it was found that covert narcissism, self-concept clarity, and loneline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distinguishing groups. On the other hand, anxiety variables that were found to be highly relevant in prior studies, did not show significant influence in group classif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 have increased our understanding of the preven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of SNS addiction and mad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민예품 제조용 주요 만경식물 (댕댕이, 인동, 등, 칡)의 해부학적 특징

        조효진 ( Hyojin Cho ),오종섭 ( Jongseop Oh ),고민영 ( Minyoung Go ),최태호 ( Taeho Choi ) 한국목재공학회 202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본 연구는 민예품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주요 만경식물인 댕댕이, 인동, 등, 칡의 해부학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해양에서 출수된 유물 중 만경식물로 제조된 민예품은 고도로 열화되어 보존처리 전 수종 동정 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3단면 관찰이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수종들의 재질적, 해부학적 연구는 미미하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충북대학교 내에서 자생하는 수종들을 채취하여 목부와 사부로 나누어 슐츠액(35%HNO3 100ml 당 KClO3 6g)에 침지하여 해리한 후, Astra blue-Safranin 이중염색을 하여 현미경 관찰을 통해 부위별 구성 세포를 식별하고 섬유장과 폭, Lumen 폭을 측정하여 형태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댕댕이, 인동, 등, 칡은 각 도관 및 소도관 요소, 목섬유, 섬유상가도관, 인피섬유 그리고 표피의 기공복합체와 헤어의 형태가 모두 다르게 나타났으며, 댕댕이와 등에서는 격벽목섬유가 관찰되었고, 등과 칡에서는 다실결정세포가 사부에서 관찰되었다. 수종별 도관 및 진정목섬유, 인피섬유의 형태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는데, 인동의 도관요소가 1.10 ㎜로 가장 길었고, 칡의 도관요소가 247.48 ㎛로 폭이 가장 넓었다. 댕댕이의 진정목섬유가 1.16 ㎜로 가장 길었고, 인동의 인피섬유가 16.45 ㎜로 가장 길었다.

      • KCI등재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 부모애착, 자아존중감, 비행 간의 종단적 관계

        조효진(Hyojin Cho),이은설(Eun Sul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비행의 종단적 변화를 알아보는 한편 청소년 비행의 예측 및 결과변인으로서 관련되어 연구되어 온 부모애착 및 자아존중감이 종단적으로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Gueonggi Education Panel Study)의 패널 자료 중에서 경기도 내 소재한 63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까지의 시점인 1차년도(2012년)에서 3차년도(2014년) 조사에 참여한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4,051명(남 2,084명, 여 1,967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학년 변화에 따른 비행, 부모애착, 자아존중감의 변화 양상과 변인 간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자기회기교차지연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기 비행, 애착, 자아존중감 모두 시간의 변화에 따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전 시점의 애착, 자아존중감, 비행은 모두 이후 시점에 지속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행, 애착, 자아존중감 간의 교차지연효과를 분석한 결과 이전 시점에 애착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며, 이전 시점에 애착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비행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전 시점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애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존중감이 비행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행의 경우 이전 시점의 비행은 이후 시점의 애착 및 자아존중감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비행의 예측 연구에 대해 제언하고 교육 및 상담 장면에서의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longitudinal changes of adolescent delinquency and examined predictive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and self-esteem on adolescent delinquency. Data from the Gueonggi Education Panel Study, which is a three-wave, three-year survey of 4,051 students (2,084 male, 1,967 female) who are enrolled in 63 middle schools in Gueonggi area from 2012 (first wave) to 2014 (third wave) were used.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implemented to explore changes in adolescent delinquency, self-esteem, and parental attachment as well as associations among these variables. Results suggested that adolescent delinquency, self-esteem, and parental attachment had significant effect on subsequent adolescent delinquency, self-esteem, and parental attachmen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re were longitudinal relations among delinquency, self-esteem, and parental attachment. Previous parental attachment predicted subsequent self-esteem in positive direction as well as subsequent delinquency in negative direction. However, although previous self-esteem had significant impact on subsequent parental attachment positively, previous self-esteem did not affect subsequent delinquency. Previous delinquency predicted subsequent parental attachment and self-esteem in negative direc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in adolescent delinquen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