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말기신부전 환자의 혈색소 순환 : 투석 방식에 따른 양상 비교 및 관련 인자들에 대한 고찰

        최재혁,김준섭,원기범,박준형,탁우택,이정호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9 東國醫學 Vol.15 No.2

        혈색소 순환은 말기신부전 환자에서 인체 재조합 적혈구 조혈 인자를 투여하여 빈혈을 치료하는 동안 빈번히 관찰되며 이는 환자의 입원과 사망률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는 투석중인 말기 신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혈색소 순환 양상과 이와 연관된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혈색소 순환의 관련 인자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투석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40명 (혈액투석 환자군: 20형, 복막투석 환자군: 20명)을 대상으로 투석 시작부터 1년 동안의 환자의 나이와 성별, 투석시작 1년간의 평균 Hb, 수혈 횟수, 총입원 횟수, 감염으로 인한 입원 횟수, 혈청 ferritin 농도, 혈청 transferrin saturation (TSAT), 철분제제 복용 유무, 일주일 동안 투여된 rHuEPO 양, rHuEPO의 변화량, 알부민, C-reactive protein (CRP) 및 입원 원인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전체 환자 40명 중 33명 (82.5%)에서 혈색소 순환이 관찰되었다. 혈액투석 환자군에 비해 복막투석 환자군에서 혈색소 순환 첫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p=0.037).혈색소 순환 발생군과 혈색소 순환 미발생군의 관련인자들을 비교하였을 경우 혈색소 순환 발생군에서 총 입원 첫수 (p=0.01), 감염으로 인한 입원 횟수 (p=0.036)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혈중 알부민 수치는 유의하게 낮았다 (p=0.003).그러나 두 군간의 나이, 성별, 수혈 횟수, 혈청 ferritin농도, 혈청 transferrin saturation (TSAT) 및 혈청 철분 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색소 순환의 빈도는 일주일 동안 투여된 r-HuEPO변화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p=0.003),혈중 알부민 수치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13). 복막투석 환자군에서 혈액투석 환자군에 비해 혈색소 순환이 유의하게 높게 발생하였다. 일주일 동안 투여된 r-HuEPO 변화량, 입원 및 혈청 알부민 수치는 투석 시작부터 1년 동안의 혈색소 순환과 관련이 있었다. Hemoglobin cycling is frequently observed during treatment of anemia with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r-HuEPO) in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 (ESRD) it is also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hospitalization and morbidity. We analyzed hemoglobin cycling and potential associated factors in patients on dialysis. Forty new dialysis patients (20 hemodialysis, HD and 20 peritoneal dialysis, PD) were recruited during their first year. Age, gender, mean hemoglobin level, frequency of transfusion, frequency of hospital admission, frequency of admission due to infection, serum ferritin, transferrine saturation, iron levels, rHuEPO dose per week, serum albumin, and c-reactive protein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le correlations with hemoglobin cycling. Thirty-three patients (82.5%) were identified in the hemoglobin cycling group. The PD group had a higher frequency of hemoglobin cycling than did the HD group (p=0.037). The hemoglobin cycling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hospital admission (P=0.001), admission due to infection (p=0.036) and a lower serum albumin level (p=0.003) than the other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for age, gender, frequency of transfusion, serum ferritin, transferrine saturation, and iron levels. The frequency of hemoglobin cycling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HuEPO dose variation per week (p=0.003)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rum albumin level (p=0.013). The PD group had a higher frequency of hemoglobin cycling than the HD group, and the change of rHuEPO dose per week, hospitalization and serum albumin were associated with the hemoglobin cycling during the first year of dialysis.

      • KCI등재

        이트라코나졸의 경구용 액제 처방화

        정기섭,홍지웅,최기송,지상철,박은석 한국약제학회 2002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32 No.4

        The oral bioavailability of itraconazole is variable and low in fasting state. This is mainly due to the low solubility of this drug. Bioavailability can be improved by changing the formulation and it is general that the liquid preparations show greater bioavailability than the solid dosage forms such as tablets and capsules do. Benzyl alcohol-water binary mixture showed the excellent solubilizing capacity for itraconazole but the release of the drug from the preparation needs to be enhanced. In this study, various nonionic surfactants and hydrophilic polymers, poloxamers, were screened to investigate their effects on the release of itraconazole from the liquid preparations. Poloxamer 407 showed the most enhancing effect on the drug release and the release rate wa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poloxamer 407 added. A liquid preparation of itraconazole, consisting of benzyl alcohol/water/poloxamer 407 ternary solvent system, released more than 80% of the total drug amount at 5 min and showed the possibility of a new formulation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IgD 다발성 골수종 1 예

        김기우(Ki Woo Kim),최지영(Ji Young Choi),목차수(Cha Soo Mok),신동진(Dong Jin Shin),최호천(Ho Cheon Choi),김경욱(Gyeong Wook Kim),최대섭(Dae Seop Choi) 대한내과학회 1989 대한내과학회지 Vol.36 No.4

        N/A Multiple myeloma is a malignant disease charcterized by an abnormal proliferation of plasma cells. In 1847, Bence Jones first found paraprotein in urine, and Mclntyre described it in 1950. The frequencies of M-protein isotypes were followed by IgG, IgA, IgD, and IgE. Type D-myeloma occurs in less than 1 per cent of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It is male predominate and 90% of IgD multiple myelomas are type 1mbda and 10% are kappa, with most patients having Bence Jones proteinuria. The authors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IgD multiple myeloma with lambda light chain which developed in a woman.

      • KCI등재

        공기순환 덕트를 이용한 근권부 냉방이 고온기 파프리카 재배에서 온도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

        최기영(Ki Young Choi),장은지(Eun Ji Jang),이한철(Han Cheol Rhee),여경환(Kyung-Hwan Yeo),최은영(Eun Young Choi),김일섭(Il Seop Kim),이용범(Yong-Beom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5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4 No.3

        근권부 공기순환 덕트 냉방이 온도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고온기 파프리카((Capsicumannum.L. ‘Veyron’)을 코이어배지에서 수경재배하였다. 냉방시간처리는 24시간 연속 가동한 연속냉방(All-day), 17시부터 다음날 1시까지 8시간 냉방한 야간냉방(Night), 대조구인 냉방 무처리(Control) 등 3 처리하여 온실 상·하부 온도, 근권온도, 엽온, 과실 특성 및 기관 분배율을 측정하였다. 근권부 덕트 냉방하였을 때, 고온기(6월 ~8월) 온실하부(바닥으로부터 40㎝)와 상부(바닥으로부터 180㎝) 온도, 근권온도는 하강되었다. 대조구와 비교하여 온실하부/상부 온도 차이가 연속냉방에서는 4.4~5.1℃/2.1~3.1℃ 하강을, 야간냉방 처리에서는 3.4~3.8℃/2.2~2.7℃ 하강되었다. 근권온도는 온실 하부 온도 결과와 유사했으며, 연속냉방(22.8℃) > 야간 냉방(24.1℃) > 대조구(27.7℃) 순으로 온도가 낮았다. 연속냉방 처리에서 덕트 위치(통로, 베드하단)와 송풍 방향(45°, 90°, 180°)에 따른 온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덕트의 위치가 통로에 위치하고 송풍방향이 상향(45o) 또는 수평(180°)인 처리는 지상부 100㎝까지의 수직 위치에 따른 온도 차이가 크지 않지 않으면서, 근권부위 온도인 지상 50㎝ 온도가 낮은 특징을 보였고 베드와 베드 공간 사이로 덕트 송풍 방향이 직각(90o)이였을 때는 바닥과 지상 50㎝ 부위의 온도가 높고, 지상 100㎝ 이상 200㎝ 부위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속냉방 또는 야간냉방 처리했을 때 파프리카 엽온은 오후 7시가 오전 9시보다 엽온 하강이 컸다. 과실 분배율은 대조구(24.4%)에 비해 연속냉방(48.6%)과 야간냉방(45.6%)에서 높았으며, 평균과중, 과수 및 수량도 연속냉방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한편 야간냉방 처리에서도 고온기 평균 지상부 및 근권온도를 낮추었으나, 누적된 평균온도가 가장 낮은 연속냉방처리에서 과실로의 동화산물 분배율을 높여 파프리카 수량을 증가시킨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root zone cooling using air duct on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root zone and leaf temperatures of sweet pepper (Capsicum annum L. ‘Veyron’) grown on coir substrate hydroponic system in a greenhouse. When the air duct was laid at the passage adjacent the slab, the direction of air blowing was upstream at 45°. The cooling temperature was set at 20℃ for day and 18℃ for night. For cooing timing treatments, the cooling air was applied at all day (All-day), only night time (5 ㏘ to 1 ㏂; Night), or no cooling (Control). The air temperature inside the greenhouse at a height of 40 and 80㎝ above the floor, and substrate and leaf temperatures, fruit characteristics, and fruit ratio were measured. Under the All-day treatment, the air temperature was decreased about 4.4~5.1℃ at the height of 40㎝ and 2.1~3.1℃ at the height of 80㎝. Under the Night treatment, the air temperature was decreased about 3.4~3.8℃ at the height of 40㎝ and 2.2~2.7℃ at the height of 80㎝. The daily average temperature in the substrate was in the order of the Control (27.7℃) > Night (24.1℃) > All-day (22.8℃) treatment. Cooling the passage with either upstream blowing at 45° or horizontal blowing at 180o was effective in lowering the air temperature at a height of 50㎝; however, no difference at a height of 100㎝. Cooling the passage with perpendicular direction at 90° was effective in lowering the air temperature at the height between 100 and 200㎝ above the floor; however, no effect on the temperature at the height of 50㎝. A greater decrease in leaf temperature was found at 7 ㏘ than that at 9. ㏂ under both All-day and Night treatments. Fresh weight partitioning of fruit was in the order of the All-day (48.6%) > Night (45.6%) > Control (24.4%) treatment. A higher fruit production was observed under the All-day treatment, in which the accumulated average temperature was the lowest, and it may have been led to a higher proportion of photosynthate distributed to fruit than other treatments.

      • KCI등재

        딸기 수확 후 저장기간 연장 및 품질 개선을 위한 LPE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적정 처리농도 구명

        최기영(Ki-Young Choi),김일섭(Il-Seop Kim),윤영식(Young-Sik Yun),최은영(Eun-Young Choi)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딸기 ‘매향’ 품종의 과실을 수확 한 후 LPE 용액에 침지처리 한 뒤 저장기간 동안 당도, 색도, 경도 및 생체중 변화를 조사하여 적정 LPE 처리 농도 및 적정 숙도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숙도 70%인 과실을 LPE 0(증류수, 대조구), 10, 50, 100mg•L<SUP>-1</SUP> 농도에 1분간 침지하거나, 딸기 꼭지에서부터 익은 비율로 숙도 0%, 50%, 70%, 100%로 등급화한 후에 LPE 0(증류수, 대조구), 2.5, 5, 10, 25mg•L<SUP>-1</SUP> 농도에 1분간 침지한 후 실온(20<SUP>o</SUP>C±1)에서 40분간 자연건조 한 뒤 4<SUP>o</SUP>C 저장고에 12일간 저장하였다. 저장 기간 동안 생체중, 종경도, 횡경도, 색도 및 당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숙도 70% 과실을 수확 후 LPE 0, 10, 50, 100mg•L<SUP>-1</SUP> 농도에 침지 후 저장하며 과실의 생체중을 측정하였을 때 처리 농도별 유의차가 없었다. 종경도는 저장 3일째에는 무처리구와 LPE 10mg•L<SUP>-1</SUP>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저장 6일째부터 12일까지는 10mg•L<SUP>-1</SUP>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횡경도는 저장 9일째 10과 50mg•L<SUP>-1</SUP>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나 12일째에는 10mg•L<SUP>-1</SUP> 처리구는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고 50과 100mg•L-1에서 가장 낮았다. 색차계 L*과 b* 값은 LPE 처리 농도별 저장 기간 별 유의차가 없었고, a* 값은 저장 12일째에 LPE 10mg•L<SUP>-1</SUP> 처리를 포함한 모든 농도에서 무처리구에 비하여 높았다. 숙도 0%, 50%, 70%, 100%로 등급화한 후에 LPE 0(증류수, 대조구), 2.5, 5, 10, 25 mg•L<SUP>-1</SUP> 농도에 침지한 후 저장하였을 때 과실 생체중은 LPE 처리농도별 유의 차가 없었다. 종경도와 횡경도는 LPE 처리농도와 상관없이 숙도 0% >50%> 70%> 100% 순으로 높았다. LPE 농도 처리에 의한 영향은 종경도는 숙도 70% 과실의 경우 저장 3, 6, 12일째 모두 LPE 5mg•L<SUP>-1</SUP>에서 가장 높았고 12일째는 LPE 처리구 모두 무처리구에 비해 높았다. 숙도 100% 과실의 경우 저장 12일째에 LPE 10mg•L<SUP>-1</SUP>에서 종경도가 무처리구에 비해 높았지만 25mg•L<SUP>-1</SUP>에서는 종경도 및 횡경도 모두 가장 낮았다. 색차계 L, b 값은 LPE 처리와 관계없이 숙도 0% > 50% > 70% > 100% 순으로 높아 숙도에 따라 유의차가 있었다. 숙도100%에서 가장 낮은 L*과 b*값이 측정되었다. 숙도 50%와 70% 과실의 경우 저장기간 중 다른 처리구에 비해 5mg•L<SUP>-1</SUP>에서 L*, b* 값이 가장 높았다. 숙도 100%의 경우 25mg•L<SUP>-1</SUP>에서는 가장 낮은 값을 보여 과숙이 유발된 것으로 판단된다. 색차계 a* 값은 L*과 b*와는 반대로 그 값의 증가는 숙도가 높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숙도 0, 50, 70, 100% 모두에서 LPE 처리 효과를 구분할 수 없었고, 당도는 처리별, 기간별 유의차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LPE는 저장 중인 딸기 과실의 생체중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경도 및 색도 변화에는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숙도 70% 과실은 타 숙도에 비해 저장성 증대효과가 크며, 숙도 70%일 때 처리농도 LPE 5mg•L<SUP>-1</SUP>에서 저장성 증대에 효과적이였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optimal maturity of strawberry fruits as affected by the application of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LPE) and its optimal concentration for postharvest stability and quality. Prior to application of treatments, fruits that were classified into levels of maturity (0%, 50%, 70% and 100%) were air-dried for 40 minutes and stored in the refrigerator at 4oC for 12 days. Fruits at 70% maturity were dipped into 0, 10, 50 and 100 mg·L<SUP>-1</SUP> LPE solutions for 1 minute. A lower range of concentration (0, 2.5, 5, 10 and 25 mg·L<SUP>-1</SUP>) was applied to fruits at different maturity levels. Data on fresh weight, hardness at vertical and horizontal loading positions, color index and sugar content during storage were collected. Based on fruits with 70% maturity dipped in LPE concentrat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on fresh weight, color index and sugar content. However, the application of 10 mg·L<SUP>-1</SUP> LPE gave the highest hardness at vertical loading position while 100 mg·L<SUP>-1</SUP> had the lowest average. At lower range of LPE concentrations, fresh weight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LPE application and maturity levels. Hardness of fruits was mainly based on the maturity of the fruits. Increased hardness was observed in the fruits with 70% maturity dipped into the 5mg·L-1 of LPE solution. The hardness and Hunter’s L* and b* value of 100% matured fruits gave lowest values despite the application of 25 mg·L<SUP>-1</SUP> LPE 12 days after storage.

      • Life Science : 4-O-Methylhonokiol Attenuated Memory Impairment Through Modulation of Oxidative Damage of Enzymes Involving Amyloid-β Generation and Accumulation in a Mouse Model of Alzheimer`s Disease

        ( Im Seop Choi ),( Young Jung Lee ),( Dong Young Choi ),( Yong Kyung Lee ),( Yeun Hee Lee ),( Ki Ho Kim ),( Young Heui Kim ),( Young Ho Jeon ),( Eun Hee Kim ),( Sang Bae Han ),( Jae Kyung Jung ),( Yeo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2012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연구업적집 Vol.22 No.0

        Accumulations of amyloid-β (Aβ) and oxidative damage are critical pathological mechanisms in the development of Alzheimer`s disease (AD). We previously found that 4-O-methylhonokiol, a compound extracted from Magnolia officinalis, improved memory dysfunction in Aβ-injected and presenilin 2 mutant mice through the reduction of accumulated Aβ. To investigate mechanisms of the reduced Aβ accumulation, we examined generation, degradation, efflux and aggregation of Aβ in Swedish AβPP AD model (AβPPsw) mice pre-treated with 4-O-methylhonokiol (1.0 mg/kg) for 3 months. 4-O-methylhonokiol treatment recovered memory impairment and prevented neuronal cell death. Thismemory improving activity was associated with 4-O-methylhonokiol-induced reduction of Aβ1-42 accumulation in the brains of AβPPsw mice.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Aβ1-42 accumulation, 4-O-methylhonkiol modulated oxidative damage sensitive enzymes. 4-O-methylhonkiol decreased expression and activity of brain beta-site AβPP cleaving enzyme (BACE1), but increased clearance of Aβ in the brain through an increase of expressions and activities of Aβ degradation enzymes; insulin degrading enzyme and neprilysin. 4-O-methylhonkiol also increased expression of Aβ transport molecule, 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related protein-1 in the brain and liver. 4-O-methylhonkiol decreased carbonyl protein and lipid peroxidation, but increased glutathione levels in the brains of AβPPsw mice suggesting that oxidative damage of protein and lipid is critical in the impairment of those enzyme activities. 4-O-methylhonokiol treatment also prevented neuronal cell death in the AβPPsw mousee brain through inactivation of caspase-3 and BAX. The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