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 OF PRIMING ETCHED DENTIN WITH SOLVENT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HYDROPHOBIC DENTIN ADHESIVE

        박은숙,배지현,김종순,김재훈,이인복,김창근,손호현,조병훈 대한치과보존학회 2009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4 No.1

        장기적인 상아질 접착의 내구성 악화는 접착층과 혼성층의 친수성 부위에서의 가수분해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본 연구의 가설은 콜라겐 망상체를 유기용매로 프라이밍하면 콜라겐 조직을 붕괴시키지 않고 수분을 밀어내고 소수성 단량체와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접착제가 침투하여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두 소수성 단량체인 Bisphenol-A-glycidylmethacrylate (Bis-GMA)와 triethyleneglycol dimethacrylate (TEGDMA)를 아세톤, 에탄올 또는 메탄올에 용해시켜 세 가지의 실험용 접착제를 준비하였다. 산 부식과 수세과정 후에, 접착제를 습윤 상아질 표면(습윤 접착)이나 동일한 용매로 프라이밍 된 상아질 표면(용매 프라이밍 접착)에 적용하였다. 48시간 후와 1개월 후, 및 10.000회의 열순환 후에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접착계면은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접착방법에 무관하게 대부분의 시편의 접착계면예서 잘 발달된 혼성층을 관찰할 수 있었고 가장 높은 평균 미세인장결합강도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접착제의 48시간 후 시편에서 관찰되었다. 용매를 이용하여 프라이밍하는 접착 방법에서는 에탄올이나 메탄올을 포함하는 접착제에서 열순환 후에 미세인장접착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습윤 접착의 경우에는 시효처리 후 미세인장결합강도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에탄올을 이용한 상아질 프라이밍으로 우수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었고. 열순환 후 접착력이 더욱 증가하였다 Deterioration of long-term dentin adhesion durability is thought to occur by hydrolytic degradation within hydrophilic domains of the adhesive and hybrid lay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ypothesis that priming the collagen network with an organic solvent displacc water without collapse and thereby obtain good bond strength with an adhesive made of hydrophobic monomers and organic solvents. Three experimentaladhesives were prepared by dissolving two hydrophobic monomers bisphenol-A-glycidylmethacrylate (Bis-GMA) and triethyleneglycol dimethacrylate (TEGDMA), into acetone, ethanol or methanol. After an entching and rinsing procedure, the adhesives were applied onto either wet dentin surfaces (wet bonding) or dentin .surfaces primed with the same solvent (solvent-primed bonding). Microtensile bond strength (MTBS) was measured at 48 hrs, 1 month and after 10,000 times of thermocycles. The bonded interfaces were evaluat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Regardless of bonding protocols, weIl-developed hybrid layers were observed at the bonded interface in most specimens. The highest mean MTBS was observed in the adhesive containing ethanol at 48 hrs. With solvent-primed bonding increased MTBS tendencies were seen with thermocycling in the adhesives containing ethanol or methanol. However in the case of wet bonding, no increase in MTBS was observed with aging.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KCI등재

        불소방출성 콤포짓트 레진계 수복재의 특성

        김상훈,백병주,김재곤,양연미,박정렬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3

        본 연구에서는 구강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불소방출성을 보이는 콤포짓트 레진계 수복재의 내구성과 불소방출성을 조사하기 위해 4종의 콤포머와 1종의 불소방출성 콤포짓트 레진을 실험재료로 선택하고 5℃와 55℃ 수중에서의 열순환 처리 후의 인장강도, 열순환 처리 후 칫솔에 대한 작용력 1.5N으로 100,000회 칫솔질을 시행하였을 때의 표면조도 및 불소치약 칫솔질 후 37℃ 수중에서의 불소이온 용출 양상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인장강도는 TC(Tetric^(ⓡ) Ceram)군에서 32.3 MPa, CF(Compoglass F)군에서 16.8 MPa이고, TC군과 DF(Dyract^(ⓡ) flow)군 및 CF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칫솔질 마모시험 후의 표면조도 Ra는 TC군에서 0.287, FT(F2000)군에서 1.516이고, FT군과 나머지 시험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칫솔질 마모시험 후의 표면에서는 필러의 돌출과 탈락 양상이 관찰되었다. 4. 불소치약 Perio Alpine Herb로 칫솔질 한 후 콤포머는 초기에 높은 용출을 보인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용출량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불소방출성 콤포짓트 레진의 TC군에서는 초기단계부터 낮으면서도 지속적인 용출을 보였다. 5. 불소치약 Perio Alpine Herb로 칫솔질 한 후 1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의 불소이온 용출량은 CF군에서 2.064μg/cm², TC군에서 0.1119μg/cm²이고, CF군의 용출량이 나머지 시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0.05).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fluoride-releasing resin composite restorative materials. Four commercially available compomer materials (Compoglass F: CF, Dyract^(ⓡ) AP: DA. Dyract^(ⓡ) flow:DF, F2000: FT) and one fluoride-releasing composite resin (Tetric^(ⓡ) Ceram: TC)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materials. Rectangular-shaped tensile test specimens were fabricated in a teflon mold giving 5 mm in gauge length and 2 mm in thickness. Disk-shaped specimens were fabricated in the split teflon mold with diameter of 15mm and thickness of 1 mm. After curing for an hour, specimens were immersed in deionized water at 37℃±1℃ for 30 days. All specimens were thermocycled for 10,000 cycles with 15 seconds of dwelling time in each 5℃ and 55℃ water baths. Toothbrush abrasion test was conducted under a load of 1.5 N and the abraded surfaces were examined with surface roughness tester (SV-3000, Mitutoyo Co, Japan) and SEM (JSM-5800, JEOL, Japan). Fluoride recharging was done by toothbrushing for 3 min. using a fluoride toothpaste (Perio Alpine Herb, LG Household & Health Care, Korea).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ighest tensile strength value of 32.3 MPa was observed in TC group and the lowest value of 16.8 MPa was observed in CF group. The tensile strength of TC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F and DF groups (P<0.05). 2. The lowest Ra value of 0.287 was observed in TC group and the highest value of 1.516 was observed in FT group. The Ra value of F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P<0.05). 3. The abraded surfaces revealed the increase of surface roughness due to the protrusion and missing of filler particles. 4. The release of fluoride of compomers after tooth brushing by Perio Alpine Herb was initially large and then followed by small and continuously. But it remains small and constant in fluoride-releasing composite resin of TC. 5. The highest value of fluoride release after toothbrushing by Perio Alpine Herb was 2.064 μg/cm² in CF group and the lowest value was 0.119μg/cm² in TC group. The amount of fluoride release of CF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P<0.05).

      • KCI등재

        Layering시 복합레진 층간의 계면 결합에서 oxygen inhibition layer가 필수적인가?

        김선영,조병훈,백승호,이인복 大韓齒科保存學會 2008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가지 계면조건의 변화를 통해서 layering 시 복합레진 층간의 결합에 oxygen inhibition layer (OIL)가 필수적인지를 고찰해보는 것이다. 가로 × 세로 × 두께가 16 × 28 × 2.5 ㎜인 알루미늄판에 지름 3.7 ㎜의 구멍을 형성하여 몰드를 제작하고 다음과 같이 복합레진 (Z-250, 3M ESPE)을 충전하여 광중합하였다. 1 군: 하층판에 복합레진을 충전하고 광중합 한 후, 상층판을 접합하고 레진을 충전하여 광중합을 하였다 (OIL를 남김). 2군: 하층판에 복합레진을 충전하고 팡중합 한 후 acetone에 적신 cotton으로 문질러서 OIL를 제거하고 상층판을 접합하여 복합레진을 충전하고 광중합을 하였다 (OIL를 제거). 3군: 하층판에 복합레진을 충전하고 Mylar strip을 접합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한 후 광중합을 하였다. Mylar strip을 제거하고 상층판을 접합 후 복합레진을 충전하여 광중합을 하였다 (OIL형성을 억제). 4군: 하층판에 복합레진을 충전하고 광중합 한 후 glycerin을 OIL표면에 도포하고 다시 광중합하였다. 상층판을 접합하여 복합레진을 충전하고 광중합을 하였다 (OIL를 중합). 5군 (대조군): 하층판과 상층판의 경계에 복합레진층의 계면이 위치하지 않도록 복합레진을 bulk충전하였다 (계면 형성 없이 bulk 충전한 복합레진). 24시간 100% 습도에서 보관 후 상층판과 하층판 사이의 계면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파절 양상을 관찰하였다. 계면을 통한 중합과정의 확산을 관찰하기 위하여 제조한 광개시제가 들어있지 않은 실험적 복합레진 (Exp_Com)을 몰드에 충전하고 상부에 flowable 복합 레진 (Aelite Flow) 또는 접착레진 (ScotchBond Multipurpose)을 접촉시킨 후 광조사하였다. 몰드내의 미중합된 Exp_Com을 acetone bath 에서 5 분 동안 제거한 후 몰드내에 다시 Aelite Flow를 충전하고 광중합을 시행하였다. 경화된 복합레진 시편의 단면을 관찰하여 ExP_Com 층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OIL를 배제하거나 중합시킨 2-4 군은 OIL이 존재하는 1 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합강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Mylar strip을 이용하여 OIL의 생성을 억제했던 3 군과 glycerin을 도포하여 OIL를 중합시킨 4 군은 계면을 생성하지 않은 대조군인 5 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중합과정의 확산에 의해 중합개시제가 포함되지 않은 Exp_Com내에 중합된 층이 생겨난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Exp_Com의 중합층 두께는 flowable 레진의 경우 20,95 (0.90) um였고 접착레진의 경우 42.13 (2.09) 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an oxygen inhibition layer (OIL) is essential for the interfacial bonding between resin composite layers or not. A composite (Z-250, 3M ESPE) was filled in two layers using two aluminum plate molds with a hole of 3.7 ㎜ diameter. The surface of first layer of cured composite was prepared by one of five methods as followings. thereafter second layer of composite was filled and cured: Group 1 - OIL is allowed to remain on the surface of cured composite; Group 2 - OIL was removed by rubbing with acetone-soaked cotton; Group 3 - formation of the OIL was inhibited using a Mylar strip; Group 4 - OIL was covered with glycerin and light-cured; Group 5 (control) - composite was bulk-filled in a layer. The interfacial shear bond strength between two layers was tested and the fracture modes were observed. To investigate the propagation of polymerization reaction from active area having a photo-initiator to inactive area without the initiator, a flowable composite (Aelite Flow) or an adhesive resin (Adhesive of ScotchBond Multipurpose) was placed over an experimental composite (Exp_Com) which does not include a photoinitiator and light-cured. After sectioning the specimen, the cured thickness of the Exp_Com was measured. The bond strength of group 2, 3 and 4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group 1. Groups 3 and 4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with control group 5. The cured thicknesses of Exp_Com under the flowable resin and adhesive resin were 20.95 (0.90) um and 42.13 (2.09), respectively.

      • 웹트랜젝션 데이터를 이용한 고객세분화와 고객 가치측정

        김윤정,양동훈,문병준 한국인터넷비즈니스학회 2002 인터넷비지니스연구 Vol.3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인터넷 유통경로 상의 고객행동을 나타내는 웹트랜젝션 로그 데이터의 분석을 토대로 하여 유용한 고객세분화 방안을 실증적으로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인터넷 애완동물용품 상점과 온라인 커뮤니티 상의 고객행동과 수익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데이터마이닝 기법으로 decision tree법이 사용되고 세분화를 위하여 군집분석이 수행되었다. 연구는 크게 두 단계로 진행되었는데 일단계로 연구대상으로 삼은 인터넷 애완동물 용품 상점의 회원고객 및 비회원 고객 모두의 인터넷 소비행동을 분석하였다. 이 단계로 범위를 좁혀 회원고객의 인구통계학적 데이터 및 웹 트랜젝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거래행동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기준으로 하여 몇 개의 의미있는 세분시장을 도출하였다. 소비자의 거래행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웹 로그 데이터가 사용되었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는 등록정보가 사용되었다. 도출된 세분시장이 주는 온라인 쇼핑몰 마케팅에 대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behavior and revenue were studied by statistical analysis of web log data over online pet shops in Korea with online community. Clustering analysis is used for this research. We perform this at two stages: first we study the full data set including the transaction data of member and non-member of Korean online pet shop. In the second stage, we research member users" demographic data and one"s web transaction data. Through this research, we segment several meaningful sub groups according to their transaction or demographic data in both stages. Web log data is used for identifying users" transaction data and registration information is used for users" demographic data. Segment of both stages has its own specification, which gives some marketing insights for online shopping mall with virtual community.

      • KCI등재
      • HL-60 세포의 성장에 대한 제주자생 해조류의 효과

        김상철,박수영,김병석,강지훈,김세재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2002 제주생명과학연구 Vol.5 No.-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inhibitory effect of extracts of marine algae growing in Jeju on the growth of HL-60 leukemia cells. The effect was observed by measurement of metabolic activity and counting of viable cells. The methanol extracts on 36 species of marine algae growing in Jeju were screened for cytotoxic effect at the concentration of 100㎍/㎖. In results,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was observed in the treatment of crude extracts on 7 species of marine algae. In particular, Dictyota dichotoma, Myelophycus simplex, Laurencia okamurae, Plocamium telfairiae, Petalonia binghamiae, Codium minus marketdly inhibited the growth of HL-60 ce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