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수위-유량 관계곡선을 이용한 수막재배용 지하수 사용량 추정

        이봉주 ( Bong Joo Lee ),김용철 ( Yong Cheol Kim ),조병욱 ( Byung Wook Cho ),윤욱 ( Uk Yoon ),하규철 ( Kyool Chul Ha ),이병대 ( Byeong Dae Lee ),문상호 ( Sang Ho Moon ),윤필선 ( Phil Sun Yoon ),김성윤 ( Sung Yun Kim ) 대한지질공학회 2015 지질공학 Vol.25 No.1

        수위-유량 관계곡선을 이용한 동절기 수막재배기간의 지하수 사용량 추정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논산 왕전리 수막재배 지역에 현장 적용하였다. 연구지역의 동절기 수막재배 기간의 농수로수의 구성성분은 주로 지하수와 강우의 직접 유출 성분으로 구성된다. 농수로 수위를 관측하고, 강우에 의한 농수로 수위 상승분을 수위 관측 자료로 부터 제거시키기 위해 기저유출분리법을 적용하였다. 강우에 의한 수위 상승분이 제거된 농수로 수위자료에 수위-유랑 관계를 적용하여 연구지역의 수막재배용 지하수 배출량을 산출하였다. 왕전리 지역의 수막재배용 지하수 사용량은 평균 10,900 m3/d, 420m3/d/ha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추정 지하수 사용량(420 m3/d/ha)과 전국의 수막재배면적(10,746 ha), 그리고 연간 수막재배일수(120 days/year)을 기준한 전국 규모의 수막재배용 지하수 사용량은 5억 4천만 m3에 이른다. 이는 농업용 지하수연간 사용량(약 17 억 m3)의 약 32%에 달한다. A method is proposed to estimate groundwater usage for water curtain cultivation (WCC) using a rating curve, and it is applied to field measurements of groundwater discharge used for WCC in Wangjeon-ri, Nonsan. During the winter season, the hydraulic components of irrigation ditches in the study area consist mainly of direct run-off and groundwater discharged from nearby pumping wells. Changes in stage of the ditches were monitored, and a baseflow separation method was applied to remove increments in stage due to direct run-off. The resulting records of stage were translated to groundwater discharge by applying the-stage-discharge relation. The estimated average groundwater discharge for the WCC in Wangjeon-ri was 10,900 m3/d or 420 m3/d/ha when the estimation is normalized by the total area for WCC facilities of this region. Applying this estimation (420 m3/d/ha) to the entire area of the WCC in Korea (10,746 ha),and considering the number of pumping days for the WCC (120 days/year), the total ground water usage for the WCC nation-wide is estimated to be 0.54 billion m3. This is equivalent to 32% of the total groundwater discharge for agricultural use in Korea (1.7 billon m3).

      • KCI우수등재

        방카슈랑스 도입이 금융겸업화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이봉주(Bong Joo Lee),이순재(Soon Jae Lee),정세창(Se Chang Jung) 한국경영학회 2004 經營學硏究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effects of integration when banks and insurers combine and to examine which types of financial firms are appropriate for a bancassurance partner in terms of the cost, revenue, and profit efficiency. The thick frontier and scenario analysis are employed to measure the efficiency change. We find that, while foreign and small- and medium-sized insurers can gain cost and profit efficiency through financial convergence, they lose revenue efficiency. On the other hand, large insurers can realize cost efficiency, but lose revenue and profit efficiency. Banks as a whole can realize revenue and profit efficiency, but lose cost efficiency. As a bancassurance partner for banks, large insurers are most suitable due to their related product portfolio and good reputation. Banks partnering with small- and medium-sized insurers results in a gain in revenue efficiency, but a loss in profit efficiency.

      • KCI등재

        Key Ethical Issues and Hindrances to Ethical Behavior in Insurance Industry: Perceptions of Korean Actuaries

        이봉주 ( Bong Joo Lee ),이경룡 ( Kyung Lyong Lee ),이한덕 ( Han Duck Lee ) 보험연구원 2005 보험금융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보험산업이 당면하는 핵심적 윤리 이슈 및 윤리적 행동에 대한 장애요인이 무엇인지를 보험계리사들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험 및 보험유관 기관에서 현재 종사하는 보험계리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특히 미국의 경우와 국제적인 비교를 통해 우리의 윤리적 인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저변 요인을 추론하고자 통계적 요인분석도 이루어졌다. 윤리적 이슈에 대한 보험계리사들의 관심은 계리서비스의 윤리적 수행을 위한 미흡한 법적 기반, 부적절한 윤리교육과 같은 측면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마케팅과 관련된 인식은 미국의 경우와 유사했다. 전체적으로 계리사가 손해보험에 근무하든 생명보험분야에 근무하든 별 차이가 없었다. 윤리적 행동을 저해하는 핵심요인으로 경쟁시장, 성과지향적 평가, 고객의 비윤리적 요구 등 15가지가 추출되었다. 그리고 미국의 경우와의 비교할 때 전반적으로 유사했으며, 그 정도는 핵심 윤리 이슈의 비교보다 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key ethical issues and hindrances to ethical behavior faced by professionals working in Korean insurance industry. For this purpose, conducted is a survey of actuaries in a variety of positions in insurance companies and insurance related institutions. In particular, the findings are compared to those of American studies to evaluate the level of ethical perception. Statistical factor analyses are made to make inferences on underlying constructs. Actuaries`` perceptions of the key ethical issues tend to be restricted to actuarial aspects such as insufficient legal authority to perform professional services in an ethical manner and failure to get adequate ethics training program. But some issues arising in marketing are considered significant similar to those the U.S. studies. As a whole, key ethical issues and challenge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viewpoints of actuaries working in the life and non-life insurance business. Regarding key hindrances to ethical behavior, the 15 factors are presented such as competitive pressures, performance-based evaluation and unethical demand made by clients. These findings are generally similar to those of the U.S. studies.

      • KCI등재

        해상가두리 양식장에서 배합사료 및 생사료 공급에 따른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장 및 육질 비교

        이봉주 ( Bong Joo Lee ),김신권 ( Shin Kwon Kim ),김강웅 ( Kang Woong Kim ),김경덕 ( Kyoung Duck Kim ),한현섭 ( Hyon Sob Han ),손매현 ( Maeng Hyun Son ) 한국수산과학회 201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6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extruded pellets (EP) and soft extruded pellets (SEP) with a raw fish-based moist pellet (MP) diet on the growth and flesh quality of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Three groups of 20,000 fish (initial mean weight 133 g) per net-cage (6×12×7 m) were fed commercial EP, SEP or MP for 16 months. The survival of fish fed SEP was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EP or MP. The highest growth performances were observed in the mean weight gain, total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of fish fed MP, followed by those fed EP and SEP. Among the fish fed on extruded pellets, the total weight gain of fish fed SEP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fed EP, while fish fed EP grew faster than those fed SEP. No notable differences in body composition, sensory scores or textural properties of the dorsal muscle were observed in fish fed on EP,SEP or MP. Thus, it is suggested that extruded pellets, rather than raw fish-based moist pellets, could be fed to Korean rockfish without compromise-ing flesh quality.

      • KCI등재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학업성취 효과 종단적 분석

        이봉주(Bong Joo Lee),문혜진(Hey Jin Moon),김정은(Jung Eun Kim) 한국아동복지학회 201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5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이 시행된 지 11년이 경과하였으나 사업의 학업성취 효과는 불분명한 상태였다. 이 연구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학업성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아동패널 자료를 활용, 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3학년까지 6년간의 교복투 사업이 아동의 주관적 학업성취와 교과별 학력평가 점수에 미친 영향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회귀모형에서는 교복투 사업이 아동의 학업성취에 부적 영향을 미치거나 유의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동의 비관측 이질성을 통제한 고정효과 모형을 통한 추정에서는 교복투 사업이 아동의 학업성취 수준에 긍정적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분석 기간을 장기화하고 보다 정교화된 종단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선행 연구에서 확인되지 못한 교복투 사업의 학업성취 효과를 확인한 것으로, 향후 아동의 교육기회 불평등을 제거하기 위해 학습능력 제고를 위한 보다 집중적이고 적극적인 투자와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ive Project for the Priority Region of Educational Welfare Investment(SPPREWI) on children`s school achievement. While it has been more than 11 years since SPPRRWI was put into action in Korea, previous studies have failed to identify a clear effect of SPPREWI on school achievement. Using the subsample drawn from the 1st (2004) to 6th (2009) wave of Seoul Child Panel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SPPREWI on children`s subjective perception of their school achievement and the academic test evaluation scores on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The results from the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SPPREWI has a negative or no impact on school achievement by subject and grade. However, the results from fixed-effect models, controlling for the unobserved heterogeneity, showed that the students of SPPREWI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school achievement than their counterparts. Unlik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SPPREWI and school achievement,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howed positive SPPREWI effects. We suggest that these findings are due to methodological advantage of the panel data with longer duration of observation and statistical method controlling for unobserved heterogeneity. The study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policies to promote future investment and continuous support for students to reduce educational inequal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U - 지적을 위한 지목정보 분류체계의 개선에 관한 연구

        이봉주(Lee Bong Joo),고준환(Koh June Hwan) 한국지적학회 2005 한국지적학회지 Vol.21 No.1

        토지에 대한 가치의 중점이 소유 중심에서 이용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는 현대 정보사회에서 지목정보는 토지이용분류의 대표적인 유형의 하나로서 “토지이용현상에 대하여 특정한 체계를 정해서 토지의 종류를 토지의 주된 사용목적에 따라 분류ㆍ표시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한 정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가 정보화ㆍ다양화ㆍ도시화됨에 따라 지적제도 역시 다목적 지적, 유비쿼터스 지적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따라서 지적제도의 기반정보요소인 지목정보는 그 다양성과 정보갱신의 적시성이 이루어지지 아니한다면 이용가치가 없는 정보에 불과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목정보가 토지관리를 위한 기반정보로서 유비쿼터스 지적제도의 필수불가결한 정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현행 지목정보 분류체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고, 제시된 지목정보가 향후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요소로 유지 관리될 수 있도록 지목정보 중심의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The value of the land changes from its ownership to its use, which is the classification of land use based on the cadastral information. The cadastral information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ays of land classification. It can be defined as the information registered on cadastral Records by classifying and noting the types of the land based on the major purposes. Modern society has become information-oriented, urbanized and diversified as well the cadastral system which has become multi-purposed and ubiquitous. For this reason, The cadastral information would become useless if there is no timely information updates and diversity. This research is to suggest improve the cadastral information classification so as to role as an important and inevitable information for the efficient use and management of the land of the ubiquitous cadastral system. Finally, A cadastral information oriented data base model is suggested. The model is aimed to maintain the suggested cadastral information in such a way to create added-valu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