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의 중심 과학 탐구에 대한 예비과학교사의 이해와 인식

        최애란,Choi, Aeran 대한화학회 2014 대한화학회지 Vol.58 No.6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과학교사의 논의 중심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대도시 소재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에서 예비과학교사 17명을 대상으로 화학교과교재 및 연구법 수강이전과 이후에 실시한 서술형 설문과 사후개별 면담 자료를 연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사후 설문 및 면담에서 과학 탐구의 중요한 요소로서 논의를 언급하고, 탐구 문제에 대한 주장과 근거를 협상하는 과정으로서 논의의 역할을 이해하는 예비과학교사의 수가 사전보다 늘어났다. 예비과학교사들은 논의가 강조된 탐구 중심 과학 수업의 중요성을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어려움과 문제점에 대한 우려를 하고 있었다. 사전에는 학생들의 소극적인 논의 참여를 어려움으로 인식하는 반면, 사후에는 예비교사 자신의 수업지도안 계획 또는 학생들의 논의를 안내하는 어려움에 대하여 언급하는 경우가 많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and views of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Participants were 17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enrolled in chemistry curricular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course for major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Seoul. Main data sources included each student responses to an open ended survey and individual interviews. Data analyses indicat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had very limited and biased understanding on scientific inquiry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While the pre-service teachers understood that scientific inquiry should be an essential component of science teaching, a few pre-service teachers mentioned 'argumentation' or 'discussions' when they defined what scientific inquiry is. The majori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mentioned that science should be taught through scientific inquiry since science is inquiry itself. However, the pre-service teachers expressed several potential barriers and their concerns on implementing argumentation in scientific inquiry. While they concerned about students' lack of particip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hey concerned more about the teachers' ability of leading student argumentation at the end of the semester.

      • KCI등재

        중학교 과학 교사의 과학 탐구 교수 지향

        양정은,최애란,Yang, Jungeun,Choi, Aeran 대한화학회 2020 대한화학회지 Vol.64 No.4

        본 연구는 1년간 동료 교사들과 과학 탐구 수업을 협력적으로 계획하여 수행한 다섯 명의 중학교 과학 교사들이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하여 어떠한 교수 지향을 가지고 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설문과 면담, 교사들의 협력적 수업 계획 및 성찰 대화, 개별 수업 관찰 및 수업 후 면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 탐구 교수 지향은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본 연구의 교사들은 학생이 과학 탐구를 수행하여 스스로 과학 개념을 형성하고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한 과학 교육 목표라는 '과학 탐구 교육 목표'에 관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교사의 치밀한 수업 설계와 학생의 능동적인 과학 탐구 수행을 통해 진정한 과학 학습이 이루어진다는 '과학 탐구 교수-학습'에 관한 지식과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논의를 활용한 교수가 학생의 사고를 구체화하고 조직하여 과학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논의 기반 과학 교수-학습'에 관한 지식과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과학 탐구가 과학적 증거와 사회적 합의를 통해 과학 지식을 형성한다는 '과학 지식 및 과학 탐구의 본성'에 관한 인식론적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교사들이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하여 실천적이고 구체적인 교수 지향을 가지게 된 것은 1년 동안 동료 교사와 함께 과학 탐구 수업 계획 및 실행을 하고 성찰하며 수업을 개선한 교사학습공동체 경험과 관련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orientation toward scientific inquiry-based teaching. In this study, five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formed and participated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scientific inquiry-based instruction during one year.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pre and post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audio-recordings of teachers' collaborative lesson planning and reflection on teaching practice, and field notes of participant teachers' teaching practice and follow-up interviews.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ere four orientations toward scientific inquiry-based teaching. They were knowledge and beliefs about 'goals of scientific inquiry-based teaching', 'scientific inquiry-based teaching and learning', 'argumentation-based teaching and learning', and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inquiry'. Teachers' collaboration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would be effective in facilitating teachers' orientation to scientific inquiry-based teaching.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교과서 화학 단원에 포함된 활동 분석: 8가지 과학 실천을 중심으로

        최민지,최애란,Choi, Minji,Choi, Aeran 대한화학회 2016 대한화학회지 Vol.60 No.6

        This study analyzed activities in chemistry chapter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o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using 8 science practices. All the activities that students could experience inquiry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re were the most activities in 'Molecular motion and change of state' and the least activities in 'Heat and our life' of three textbooks. There were the most science practices in 'Features of substance' in two textbooks, but there were the least science practice in 'Heat and our life' of three textbooks. 'Investigation planning and performing', 'data analyzing and interpreting', and 'explanation composition and problem solution designing' were frequently included, but 'asking questions and defining issues' was not included at all. For 'Investigation planning and performing', 'data analyzing and interpreting', and 'explanation composition and problem solution designing', a variety of achievement goals were targeted while a few goals were frequently targeted. Two to four kinds of science practices were frequently included in an inquiry activity. There were few activity that includes over 5 different kinds of science practice.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학 영역에 포함된 활동을 8가지 과학 실천과 각 실천의 세부 성취 목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있는 활동 제목에 '탐구'라는 단어가 있는 것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탐구를 경험할 수 있는 모든 활동을 분석하였다. 모든 교과서에서 '분자 운동과 상태 변화'에 가장 많은 수의 활동이 있었고, 4종 중 3종의 교과서에서 '열과 우리 생활'에 가장 적은 수의 활동이 포함되어 있었다. 과학 실천은 2종의 교과서에서 '물질의 특성'에 가장 많은 수가 포함되어 있었고, 4종 중 3종의 교과서에서 '열과 우리 생활'에 가장 적은 수의 과학 실천이 포함되어 있었다.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조사 계획하고 수행하기'와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와 '설명 구성하고 문제 해결 고안하기'의 과학 실천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질문하고 문제 규정하기'의 과학 실천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조사 계획하고 수행하기',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 '설명 구성하고 문제 해결 고안하기'는 상대적으로 다양한 세부 성취 목표가 포함되어 있었으나 일부에 편중되어 있었다. 대부분 탐구 활동에는 2-4가지 과학 실천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5가지 이상의 과학 실천을 포함하는 탐구 활동은 거의 없었다.

      • SCOPUSKCI등재

        통합과학, 화학 I, 화학 II의 성취기준과 교과서 활동 및 평가 문항의 과학과 핵심역량 분석: '산·염기·중화반응'과 '산화·환원'을 중심으로

        고은아,최애란,Ko, EunAh,Choi, Aeran 대한화학회 2019 대한화학회지 Vol.63 No.6

        This study analyze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s well as activities and assessment items in the Integrated Science, Chemistry I, and Chemistry II textbooks using science core competencies and subcomponents. All five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in order of scientific thinking capacity, scientific inquiry capacity, scientific communication capacity, scientific problem solving capacity, and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capacity, were includ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Integrated Science. Scientific thinking capacity, scientific inquiry capacity,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capacity were includ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Chemistry I.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Chemistry II only included scientific thinking capacity. All five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were involved in activities of Integrated Science, Chemistry I, and Chemistry II textbooks and the highest propotion was scientific thinking capacity and scientific inquiry capacity. All five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were involved in assessment items of Integrated Science, Chemistry I, and Chemistry II textbooks and the highest proportion was scientific thinking capacity. 본 연구에서는 2015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통합과학, 화학 I, 화학 II의 '산·염기·중화반응', '산화·환원' 관련 성취기준과 교과서 활동 및 평가 문항을 과학과 핵심역량과 과학과 핵심역량별 하위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통합과학의 성취기준에는 과학적 사고력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고,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순으로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으나, 화학 I의 성취기준에는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이 포함되어 있었고, 화학 II의 성취기준에는 과학적 사고력만 포함되어 있었다. 통합과학, 화학 I, 화학II 교과서의 '산·염기·중화반응', '산화·환원' 활동에는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고, 각 교과에서 과학적 탐구 능력과 과학적 사고력이 높은 비율로 포함되어 있었다. 통합과학, 화학 I, 화학 II 교과서의 '산·염기·중화반응', '산화·환원' 평가 문항에도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으며, 각 교과에서 모두 과학적 사고력이 포함된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화학II교과서에 포함된 탐구 활동 분석: 8가지 과학 실천을 중심으로

        전영,최애란,Jeon, Young,Choi, Aeran 대한화학회 2016 대한화학회지 Vol.60 No.1

        최근 과학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과학적 소양의 함양은 과학 지식이 형성되는 일련의 탐구 과정을 경험하고 이해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미국연구회(NRC)의 차세대과학기준(NGSS)은 학생들의 과학 탐구 과정 경험과 이해를 돕기 위하여 8가지 과학 실천(8 Practices of Science)을 제안하였고, 8가지 과학 실천 각각에 대하여 학년 군별 세부성취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화학II교과서 4종에 포함된 탐구 활동을 8가지 과학 실천과 9-12학년군 세부 성취 목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4종의 화학II교과서에 포함된 탐구 활동은 총 173개 이고 분석된 과학 실천은 총 678개 이었다. 4종 화학II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포함된 과학 실천은 ‘자료 분석하고 해석하기’가 가장 많았고, ‘증거에 입각하여 논의하기’, ‘정보를 얻고 평가하고 의사소통하기’등은 상대적으로 그 기회가 부족하였으며, ‘질문하고 문제 규정하기’와 ‘모형 개발하고 사용하기’는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The cultivation of scientific literacy in recent science education can be improved by experiencing and understanding scientific inquiry by which scientific knowledge is formed.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released the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NGSS) including 8 practices of science that help students experience scientists' inquiry and subdividing achievement standards to perform 8 practices of science into by grade cluster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science inquiry activities included in 4 high school chemistry II textbooks developed by the 2009 revised curriculum using the 8 scientific practices and their achievement standards for 9th-12th grade. The science inquiry activities and the science practices included in the 4 textbooks were 173 and 678. The science practices included in the inquiry activities of 4 textbooks included the most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The ‘engaging in argument from evidence’, ‘Obtaining, Evaluat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were less than other practices. The ‘asking questions and defining problem’ and ‘developing and using models’ were not nearly included in the 4 high school chemistry II textbooks.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

        김유림,최애란,Kim, Yurim,Choi, Aeran 대한화학회 2019 대한화학회지 Vol.63 No.5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자발적으로 설정하고 1년 이상 탐구 수업 계획, 실행 경험 공유, 반성을 함께 한 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 개방형 설문과 개별 면담 자료를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참여 교사들은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탐구를 수행함으로써 교육 과정에 제시된 과학 핵심 개념을 형성하는 것이 과학 탐구 수업의 목표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의 참여교사들은 학생들이 과학 수업에서 탐구를 수행하면 '과학 핵심 개념 학습', '과학에 대한 흥미 향상', '과학적 사고력 함양', '과학의 본성 이해' 등의 과학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참여 교사들은 과학 탐구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뿐만 아니라 과학 탐구 수업에서 학생들이 탐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사가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탐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사는 '핵심 개념 설정', '과학 실천 기반 교수-학습 내용 재구성', '학생의 수준 고려', '발문 및 피드백 제공', '과학적 개념 설명', '학생들의 활발한 논의 유도'하는 역할을 해야한다고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inquiry-based science instruction using open-ended questionnaire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Participants of this study voluntarily set up a goal of inquiry-based science instruction, planned inquiry-based science lessons, and shared and reflected their teaching experiences in their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r more than a year. Participant teachers recognized students' construction of core scientific concepts through performing scientific inquiry as a goal of science inquiry instruction. Participant teachers indicated that goals of science education such as 'learning scientific core concepts', 'improving students' interest of science', 'improving scientific thinking', and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can be achieved through students' active engagement in scientific inquiry. Participant teachers recognized not only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 but also what roles science teachers should play in order to enable students to perform scientific inquiry. Participant teachers emphasized teachers' roles such as 'identifying core concepts', 'reorganizing science curriculum', 'considering student ability', 'asking questions and providing feedbacks to students', 'explaining scientific concepts', and 'leading students' argumentation.'

      • KCI등재

        예비 화학 교사의 논의와 글쓰기가 강조된 탐구 중심 과학 수업 계획과 수행: 어려움과 극복과정을 중심으로

        방애리,최애란,Bang, AeRee,Choi, Aeran 대한화학회 2016 대한화학회지 Vol.60 No.5

        본 연구에서는 예비 화학 교사가 논의와 글쓰기가 강조된 탐구 중심 과학 수업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어려움과 이를 극복해나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 화학 교사가 각 주제 수업 개발 후, 10개 주제 전체 수업 개발 후, 각 주제 수업 수행 후, 10개 주제 전체 수업 수행 완료 후에 작성한 반성적 저널, 수업 지도안, 수업 녹음, 학생 작성 활동지 등을 분석하였다. 예비 화학 교사는 논의와 글쓰기를 강조한 탐구 수업 과정에서 자신의 과학 지식이 부족함을 인식하고 이후의 수업 준비에서는 철저한 과학 개념 확립을 위한 노력을 하였다. 학생 수준 파악의 어려움은 현장 경력교사의 조언,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교과서의 서술 내용 분석 등을 통하여 극복하려 노력하였다. 또한 다양하고 방대한 과학 수업 자료를 참고하여 탐구 중심 과학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을 겪었고, 각 주제의 수업 목표를 명확히 세운 후 구체적인 교수-학습 활동을 선정할 수 있었다. 수업 시간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적극적인 학생 참여를 유도하는데도 어려움을 겪었고 현장 경력 교사의 조언을 토대로 격려와 통솔을 병행함으로써 향상되었다. 또한 수업을 진행하면서 논의와 글쓰기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 제공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논의 참여와 글쓰기 수준 향상을 도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quiry-based science instruction developed and implemented by a pre-service chemistry teacher regarding the difficulties that she encountered and the ways how she tried to solve out problems. Main data of this study were pre-service teacher reflections that were written after developing both each lesson plan and the whole 10 lesson plans, and after implementing both each lesson and the whole classes. Supplemental data were lesson plans, class audio recordings, and student written journals. The pre-service teacher learned that she was lack of science content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understandings. Also she had difficulties of developing inquiry-based science lesson plans, managing classrooms, and guiding students to engage in science inquiry.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she asked for advice to experienced teachers, studied science concepts using textbooks and internet resources, provided detailed and concrete guidance for student argumentation and writing.

      • KCI등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자료에 포함된 8가지 과학 실천 분석- 통합과학 중심으로

        이정원(Lee, JeongWon),최애란(Choi, Aer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통합과학 과목의 성취기준과 탐구 주제 및 활동(예시) 그리고 교육부에서 개발하여 발표한 교수·학습 자료를 8가지 과학 실천과 각 실천의 세부 성취 목표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교육부가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자료를 발표한 후, 2016년 10월부터 2017년 3월까지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는 과학 실천 7 ‘증거에 입각하여 논의하기’, 과학 실천 8 ‘정보를 얻고 평가하고 소통하기’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반영되어 있었고 과학 실천 2 ‘모형 개발하고 사용하기’, 과학 실천 5 ‘수학 및 전산적 사고 이용하기’는 매우 적게 반영되어 있었다. 과학 실천 1 ‘질문하고 문제 규정하기’는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 과정의 탐구 주제 및 활동(예시)에는 과학 실천 2 ‘모형 개발하고 사용하기’, 과학 실천 5 ‘수학 및 전산적 사고 이용하기’가 매우 적게 포함되어 있었고 과학 실천 1 ‘질 문하고 문제 규정하기’는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대부분의 핵심 개념에서 성취 기준보다 탐구 주제 및 활동(예시)에 더 다양한 과학 실천이 포함되어 있었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의 활동지에는 8가지 과학 실천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으나, 과학 실천 5 ‘수학 및 전산적 사고 이용하기’와 과학 실천 1 ‘질문하고 문제 규정하기’는 매우 적게 포함되어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tegrated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quiry topic & activity (example), and student activity in teaching-learning materials using 8 science practices and detailed achievement goals.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science practice 2 ‘ Developing and Using Models’ and science practice 5 ‘Using Mathematics and Computational Thinking’ were barely reflected. Science practice 1 ‘ Asking Questions and Defining Problems’ was not reflected at all. Inquiry topic & activity (example) contain few science practice 2 ‘ Developing and Using Models’ and science practice 5 ‘Using Mathematics and Computational Thinking’. Science practice 1 ‘ Asking Questions and Defining Problems’ was not reflected at all. There was more various science practices included in inquiry topic & activity (example) than in achievement standards. Student activity in teaching-learning material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contain few science practice 5 ‘Using Mathematics and Computational Thinking’ and science practice 1‘ Asking Questions and Defining Problems’.

      • KCI등재

        과학 교사의 PCK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김지수(Jisu Kim),최애란(Aeran Choi),양정은(Jungeun 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는 국내 학술 등재지에 게재된 과학교사의 PCK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과학교사의 PCK 관련 후속 연구와 현장교사 및 예비교사 교육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학술 검색 데이터베이스 RISS에서 ‘과학+PCK’, ‘과학+교과교육학지식’, ‘과학+교수내용학지식’의 키워드 조합으로 검색하여 최종 선정한 연구 대상은 1998년부터 2021년까지 40개의 학술지에 발표된 162편이며, 연구 주제와 주제별 연구 방법과 연구 결과를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주제로는 과학교사의 PCK 요소 및 상호작용을 분석한 연구가 61편으로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과학교사의 PCK 변화 탐색이 34편, 교사의 어려움, 요구도, 인식 등에 내재된 PCK 분석 28편, 과학교사의 PCK와 다른 변인의 관련성 및 효과 분석 23편, 문헌 연구 22편, 과학교사 전문성 의미에 대한 인식 탐색 연구 7편이 있었다. 두 가지 이상의 주제에 해당하는 경우 중복코딩하여 주제별 논문 편수의 합과 총편수가 일치하지 않는다. 결론 수업 실행 맥락에서 과학교사의 PCK 요소를 분석한 연구는 학생의 오개념 및 선개념에 대한 교사의 이해 증대와 평가에 대한 지식 함양을 위한 교사 전문성 개발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다양한 과학 교과와 주제에 관해 1년 이상 장기간 수업 관찰을 통한 교사의 PCK 발달을 탐색하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안된다. 예비과학교사의 수업 실행 경험이 예비과학교사의 PCK 발달에 필수적이고, 현장과학교사의 PCK 변화를 위해서는 멘토링, 코티칭, 수업컨설팅 등에서 수업 관찰이 필수적임이 시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studies published in Korea accredited journals and examine research trends in science teachers’ pck so that we provided implications on following up studies and preservice and in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studies published in Korea accredited journals and examine research trends in science teachers’ pck so that we provided implications on following up studies and preservice and in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Results There were 61 research studies that investigated science teachers’ pck components and interactions between components, 34 research studies examining changes in science teachers’ pck, 28 research studies examining pck embedded in teacher difficulties, requests, perceptions, etc. There were 23 research studies investigating relationships between pck and other variables or impacts of programs targeting pck development, 22 research studies for theoretical frameworks, and 7 research studies examining perceptions on science teacher professionalism. Conclusions Research studies examining science teachers’ pck in teaching context imply tha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are needed for teacher knowledge of student understanding and teacher knowledge of assessmen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eacher pck development about various science subjects and topics for long periods more than one year. Research studies about impacts on preservice pck imply that teaching experiences are critical to preservice teachers’ pck development and observations of teachers’ teaching performance are critical to inservice teachers’ pck development through mentoring, coteaching, and instruction consulting.

      • KCI등재

        과학 탐구 수업을 위한 중학교 과학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변화와 특징

        양정은(Jungeun Yang),최애란(Aeran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 수업을 지향하는 중학교 과학 교사들이 일 년간 교사학습공동체에서 수행한 활동의 변화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방법 중학교 과학교사 5명의 교사학습공동체 모임의 논의 전사 자료를 분석하여 반복되는 활동 패턴 및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4단계로 나누어 특징을 서술하였다. 결과 교사학습공동체 도입기에 교사들은 각자 개발해온 과학 탐구 수업계획안을 협력적으로 검토하고 수업 실행 후 회고적 진술에 기반하여 성찰하는 활동을 반복하였다. 성장기Ⅰ에는 도입기에 수행했던 활동뿐 아니라 교육과정 분석과 수업 영상 공유 활동이 추가되었다. 성장기Ⅱ에는 치밀하고 정교한 수업 설계를 위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교사-학생 상호작용 시나리오를 포함한 수업계획안을 작성하였다. 성숙기에는 교육과정 분석, 수업계획안 검토 및 보완, 상호작용 시나리오 작성 및 검토, 수업 영상 공유, 수업 실행 성찰의 활동들이 더욱 유기적으로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다. 결론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은 도입기, 성장기Ⅰ, 성장기Ⅱ, 성숙기로 진행되면서 과학 탐구 수업계획안 개발 및 반성적 성찰의 내용과 범위의 수준이 심화되고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teacher activities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argeting science inquiry instruction. Methods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26 audio-recordings of teacher discussion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one year. We were able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activities in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by categorizing into four periods such as Introduction, Growth I, Growth II, and Maturity. Results During the Introduction period, teachers collaborated to examine lesson plans that each teacher developed and to reflect on teaching practice based on retrospective description. During the Growth I period, teachers collaboratively analyzed science curriculum and discussed video-recordings of teaching practice in addition to the activities that they implemented during the Introduction period. During the Growth II period, teachers discussed to design detailed and elaborated lesson plans including teacher-student interaction scenario. During the Maturity period, all the activities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ere more efficiently implemented. Conclusions It appeared that teacher activities such as analyzing science curriulum, designing inquiry lesson plans, and reflecting teaching practices were gradually improved from Introduction to Maturity stage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