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CTV 영상에서 참조 영상을 이용한 자동차 번호판 인식률 제고

        김동민,장상식,윤인혜,백준기,Kim, Dongmin,Jang, Sangsik,Yoon, Inhye,Paik, Joonki 대한전자공학회 2012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0 No.8

        본 논문에서는 저해상도, 저조도, 기하학적 왜곡 등과 같은 열화 요인에 의해서 식별이 불가능한 차량 번호판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차량 번호판 인식기술은 열화 요인을 제거하는 전처리 과정에서 영상을 식별 가능한 상태로 개선하지 못하는 경우 번호판의 인식이 불가능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전처리 과정에서 번호판 영상이 식별 가능한 상태로 개선되지 못하더라도, 미리 저장된 참조 번호 영상을 입력 영상과 동일하게 왜곡시킨 후, 통계적 방법으로 유사도를 추정하여 번호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제안된 기술은 불완전한 조명 환경, 육안으로 식별이 불가능할 정도의 저해상도 영상에서도 용의 차량의 번호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제안된 기술은 실제 범죄 용의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여 실제 검거에 사용이 되었고, 다양한 환경에서 실험을 통하여 범죄 증거를 입증하는데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analyzing unrecognizable numbers of license plate images, which are degrad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low resolution, low light level, geometric distortion, and periodic noise, to name a few. With existing vehicle license plate recognition methods,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license plate if images are not recognizable in the pre-process of removing degradation factors. Although images of license plate have not been improved to be recognizable in the pre-process, the proposed method makes it possible to recognize numbers of license by distorting pre-saved reference images of license plate numbers same as sample plates, and by assuming likelihood ratio using statistical methods. The proposed method also makes it possible to identify suspect vehicle license plate under unstable light conditions and with low resolution images that are unrecognizable by the naked eye. This method has been used in real criminal investigation to recognize numbers of license plate of criminal vehicle, and has proved to be useful as criminal evidence through experiments under various conditions.

      • KCI등재

        이해중심게임모형 기반 변형골프중재가 발달성협응장애 중학생의 운동수행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동민 ( Dongmin Kim ),이용호 ( Yongho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는 발달성협응장애로 진단 받은 총 51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12주간의 변형골프중재가 이들의 운동수행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해중심게임모형 집단(실험군 A) 12명, 기능중심모형 집단(실험군 B) 14명, 대조군 25명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세 집단 모두 실험 전, 6주 후, 12주 후에 운동수행(BOT-2, 변형골프수행력) 및 인지기능(공간시각화, 시공간작업기억)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운동수행능력(BOT-2)은 세 집단 간 상호작용이 나타났다(p=.000). 그룹에 대한 시기 간 변화에서 실험군 A는 midtest와 posttest(p=.000), pretest와 posttest(p=.000)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실험군 B는 pretest와 midtest(p=.03), pretest와 posttest(p=.013)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시기에 대한 그룹 간 변화는, posttest에서 실험군A와 대조군 간에 유의한(p=.007) 차이가 나타났다. 변형 골프수행력을 비교하기 위해 두 실험 집단(A, B)을 비교하였으며 상호작용이 나타났다(p=.007). 그룹에 대한 시기 간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군 A는 midtest와 posttest(p=.000), pretest와 posttest(p=.000)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군 B는 pretest와 midtest(p=.009), midtest와 posttest(p=.002), pretest와 posttest(p=.000)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시기에 대한 그룹 간 변화는, midtest에서 실험군A와 실험군B 간에 유의한(p=.000) 차이가 나타났다. 공간시각화능력의 경우 집단 간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p=.043), 그룹에 대한 시기 간 변화에서 실험군 A는 pretest와 posttest(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시공간 작업기억능력은 세 집단 간 상호작용(p=.783)이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 weeks of adapted golf intervention on motor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 of 51 middle school students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The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participants into 12 players in the TGFU model group(experimental group A), 14 people in the technical model group(experimental group B), and 25 people in the control group. All three groups were tested on exercise before, 6 weeks, and 12 weeks after the experiment(BOT-2, modified golf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 (spatial visualization, spatiotemporal working memor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the three groups for exercise performance(BOT-2) (p=.000). Experimental group 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dtest and posttest(p=.000) and pretest and posttest (p=.000) in the change between time periods for groups, and experimental group B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midtest (p=.03) and pretest. and posttest (p=.013)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ttest, there was a significant (p=.007)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 and the control group. To compare the modified golf performance, two experimental groups (A, B) were compared, and an interaction was found(p=.007). Looking at the change between time periods for the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idtest and posttest (p=.000) and pretest and posttest (p=.000) in experimental group A. Experimental group B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test and midtest (p=.009), midtest and posttest (p=.002), and pretest and posttest (p=.000). In the midtest, there was a significant (p=.000)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 and the experimental group B. In the case of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there was an interaction between groups (p=.043), and in experimental group 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p=.001) in the group-to-period change.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the three groups (p=.783) for spatiotemporal working memory.

      • UDDI 3.0에서의 복제 연산의 설계 및 구현

        김동민(Dongmin Kim),진주용(Juyong Jin),이석호(Sukho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B

        하나의 UDDI 노드에 저장된 웹 서비스 정보는 복제 연산을 통해 같은 레지스트리에 속한 다른 노드에도 똑같이 저장된다. 이러한 복제 연산은 changeRecord의 생성, 전송, 처리를 통해 수행된다. 그런데, 한 노드에서 성공적으로 처리된 연산이라도 복제 과정에서는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을 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인 복제 과정 외에, 복제 연산 중에 발생한 에러의 발견 및 처리, 저널의 효율적인 관리, 키 생성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계약의 구조와 그 특징에 관한 소고

        김동민(Kim, Dongmin) 한국비교사법학회 2021 비교사법 Vol.28 No.3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는 “스마트계약”은 컴퓨터의 가상공간에서 당사자간 의사표시의 합치와 조건의 성취에 의해 계약으로 성립되면서, 동시에 블록체인상 프로그램 코드의 작동에 의해 가상공간은 물론이고 현실공간에서도 그 이행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더 이상 당사자의 개입 없이 계약의 목적을 달성하고 채무불이행의 문제를 해결하는 효용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단순한 암호화폐에 내재하고 있는 소위 ‘이중지급’(double-spending) 및 중앙관리 시스템의 문제를 극복한 블록체인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가상공간에서의 새로운 거래 유형으로 등장한 것이다. 이러한 블록체인 기술은 공개 암호화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블록체인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정보에 대해 신뢰 가능한 확인수단을 제공하기 때문에,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계약 내용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인 스마트계약 시스템이 차세대의 혁신적 거래 방식으로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스마트계약은 자동화된 프로그램에 의해 그 이행이 보장되어 가상공간에서 법률의 간섭 없이 가치의 이전이 이루어지는 자기집행적 계약이지만, 그 가치의 귀속주체가 현실공간에 존재하는 인간이기 때문에, 현실세계의 법적 규율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즉 가상공간에서 프로그램 코드에 의한 자동실행으로 가치의 이전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결국 그러한 가치를 제공하고 수령하는 당사자들이 현실공간에서 그 가치에 대한 귀속의 주체로서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는 법률이 개입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고, 이러한 점에서 민법상 계약법 이론의 적용과 포섭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런데 아직도 스마트계약의 기본 개념과 범위조차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현실공간에서 의사표시의 합치에 의해 성립하는 민법상 계약과 달리,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에서 자동화된 코드에 의해 이루어지는 스마트계약이 어떠한 특징을 갖고 있는지도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과연 스마트계약이 민법상 계약에 포섭될 수 있는지 그리고 전통적인 계약법 이론이 적용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이를 위하여는 스마트계약의 기초가 되는 이더리움 기반의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고, 이를 전제로 하여 스마트계약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절차와 구조를 살펴본 후에,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에서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스마트계약이 계약으로서 어떠한 특징을 갖고 있는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우선 스마트계약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법적 성격을 파악한 후에, 스마트계약이 민법상 계약의 범주에 포섭되어 전통적인 계약법 이론이 적용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계약이 통상적인 자동화 계약과 어떠한 차이점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스마트계약이 체결되는 절차와 구조 및 고유한 특성을 분석하면서,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에서 자동화 코드에 의해 계약이 체결되어 이행되는 절차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스마트계약의 성립에 있어서의 특징인 전자적 거래성 및 자기집행성과 관련하여, 의사실현에 의한 계약에의 해당성, 격지자간의 계약에 포함되는지 여부, 스마트계약의 성립시기 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A smart contract based on block chain technology is established as a contract by the agreement of the parties intentions and the fulfillment of conditions in the virtual space, and at the same time, the implement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in the virtual space and the real space by the operation of the code on the block chain. As a result, the performance of the contract is guaranteed without any further intervention by the parties, providing the utility of resolving the problem of default on its own. The smart contracts have replaced not only the contract signing process that was performed in the existing legal system, but also the implementation of contract contents, coercion on the parties, and the mechanism of dispute resolution with an automated computer algorithm. As a result, it functions as an innovative means to minimize time, cost and effort for contracting parties. With the development of blockchain technology that overcomes the problems of double-spending and central management systems inherent in existing simple cryptocurrencies, these smart contracts have emerged as a new transaction type in virtual space. This blockchain technology provides a reliable means of verifying all transaction information that occurs within the blockchain by using an open encryption mechanism. Thus, a smart contract system, a program code that automatically executes contract contents based on block chain technology, became possible as a next-generation innovative transaction method. This smart contract is a self-executing contract whose implementation is guaranteed by an automated program and the transfer of value or profit in the virtual space without legal interference. However, since the subject to which the value or profit belongs is the human being in the real space, it cannot be completely free from the legal rules of the real world. Even if the transfer of value or profit is made by the automatic execution of computer programs in virtual space, since the parties who provide and receive such value or profit exist as subjects of attribution to the value or profit in the real space. Therefore, the law has no choice but to interven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acting parties, so the problem of application and subsumption of contract law theory in civil law arises. However, even the basic concept and scope of application of smart contracts are not yet clearly established. Also, unlike the civil law contract that is established by the agreement of intentions in the real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rt contract made by automated codes in the virtual space and the real space are not clearly arranged. Therefore, the question is whether smart contracts can be subsumed into contracts under civil law and whether the theory of contract law in the traditional sense can be applied. Therefore, in this paper, after establishing the concept of smart contract and understanding its legal nature, it is considered whether the traditional contract law theory can be applied by being included in the category of contract in civil law. In addition, based on this, we investigate what differences a smart contract has from a normal automation contract, while analyzing the procedure, structure,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smart contracts, and analyze the process of signing and executing contracts by automation codes in the virtual space and the real space. looked about it. And in relation to self-enforceability,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establishment of a smart contract, we considered whether it corresponds to a contract by realization of intention, whether it is identified as a contract between people in a distant place, and when the smart contract is established and takes effect.

      • KCI등재
      • KCI등재

        발달성협응장애 중학생의 소근운동제어특성에 관한 예비연구: Finger Tapping Task

        김동민 ( Dongmin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1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성협응장애 중학생의 소근운동제어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손가락텝핑과제(finger tapping task)를 활용하여 전형적 발달그룹과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해 1차 선별검사(DCDQ-K, BOTMP-2 Short Form)를 실시하였으며, 발달성협응장애 중학생 10명, 전형적인 발달 중학생 1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소근운동제어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손가락텝핑과제 중 힘유지과제(Force maintained)를 제시하여 세가지 변수(Peak Force, Contact Interval, Noncontact Interval)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발달성협응장애 개별 대상자의 힘조절능력과 타이밍조절능력이 전형적인 발달 그룹과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전형적인 발달 그룹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z-score를 산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Peak Force(3, 4, 5)의 일관성(t=-2.257, p=.037)과 Contact Interval 5의 일관성(t=-2.608, p=.018)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z-score를 산출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발달성협응장애 그룹 내에 소근운동제어특성이 다양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발달성협응장애가 힘제어과제 수행과 타이밍과제 수행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z-score를 통해 확인한 결과 이들이 가지고 있는 소근운동제어특성은 개별화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선별과정과 중재방법을 개발 및 적용하는데 있어 보다 세분화된 정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fine motor control in adolescent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Preliminary study 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from the typically developing group using a finger tapping task. The primary screening test (DCDQ-K, BOTMP-2 Short Form) was conducted to select the subjects of the study. 10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and 10 typically developing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were selected as subjects. Three variables(Peak Force, Contact Interval, and Non-contact Interval) were measured by presenting Force maintained of the finger tapping task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ine motor control. The measured data were independently t-test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typically developing group was calculated to find out how much the force control ability and timing control ability of individual subjects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iffer from the typically developing group. The z-score was calculated and analyzed for comparis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sistency of Peak Force (3, 4, 5) (t=-2.257, p=.037) and the consistency of Contact Interval 5 (t=-2.608, p=.018).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y calculating the z-score, it is confirmed that the fine motor control characteristics are diverse within the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group. Therefo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adolescent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has difficulties in performing force control tasks and timing tasks, and as a result of checking through z-score, it is confirmed that their fine motor control characteristics are individualiz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firm more detailed information in developing and applying the screening process and intervention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