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속담으로 본 음식문화의 융합방식 비교

        이화형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5

        지정학적으로 가까운 한국과 중국은 오랜 동안 고유한 전통을 보유하면서 활발하게 문화적으로 교류해왔다. 음식문 화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양국은 상호 유사한 음식문화적 성격을 보이면서 동시에 나름의 독특한 음식문화를 유지 발전시켜 왔다. 본고에서는 양국의 음식문화적 특성을 속담을 통해 융합의 방식으로 분석해보고자 했다. 먼저 주요 공통점을 융합 의 차원에서 살펴보면, 한국과 중국의 음식문화는 인간과 인간의 융합으로서 음식을 통해 自他가 인정을 나누는 인 본주의적 지향을 간파할 수 있다. 둘째는 인간과 사물의 융합으로서 사람이 음식을 보약처럼 중시하는 점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음식과 의약의 근원이 같다’는 약식동원사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셋째는 사물과 사물의 융합으로서 특히 주식과 부식의 결합을 들 수 있으며 나아가 주식위주의 식사문화를 지적할 수 있다. 동일한 유교문화권 속에서 양국의 음식문화적 성격은 유사성을 많이 가지고 있으나 양국의 특수한 역사성, 사회성 등에 따른 문화적 차이로 인해 음식문화 또한 차별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차이점보다 공통점이 더 많은 것 은 사실이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언급될 수 있는 미묘한 차이점은 오히려 양국의 음식문화, 나아가 문화전반의 상징 적인 특성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예컨대 중국과 달리 한국에서는 옛날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엄격하고 올바른 식사예절이 많이 유지되고 있으며(인 간+인간), 또한 자연에서 자란 채소와 식물 자체를 그대로 섭취하는 등 생식을 매우 중시하는(인간+사물) 식습관이 있다. 반면에 중국의 음식문화에서는 맛과 향을 내기 위한 과학기술을 중시하는(사물+사물) 경향이 강하고, 일찍부 터 날로 먹지 않는 숙식에 길들여졌고(인간+사물) 숙식을 위해 불의 조절과 재료 가공술 등이 발달한 특징을 보인다 . Korea and China have long maintained cultural exchange. The two nations have also developed a unique style of food and thus, a specific food culture. I attemp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 cultures in Korea and China according to the fusion approachin this thesis. The first characteristic of food culture is fusion between human and human. Through humanism, humans demonstrate their kindness to others through food. The second is fusion between human and object. Here, food is considered restorative, meaning that the basis of food and medicine is the same. The third is fusion between object and object. We see this in the combination of primary food and secondary food. Some similariti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 cultures in Korea and China are evident, because they share a Confucian culture. However, their food cultures also differ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that stem from specific histories and societies. It is important that these differences serve as symbols of the two nations’ food cultures. For example, Koreans maintain a strict approach to food. We take a serious view of eating uncooked (raw) food such as vegetables that come from nature. In contrast, the Chinese consider itimportant to use scientific technology to enhance flavor. They eat cooked food and have developed skills in the control fire and processing in the Chinese food culture.

      • KCI등재

        시조에 나타난 기생 섹슈얼리티의 융합적 양상

        이화형 한국시조학회 2022 시조학논총 Vol.57 No.-

        Historically, gisaengs have not only had a complex pattern of repulsion, inheritance, sharing and discrimination between traditional and new women, but also emphasized the unique complex functions of elegant clothing, humorous language, and sensual behavior unlike ordinary women.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sexuality of gisaeng, I would like to specifically mention the fusion aspect of love (sex) and fidelity becaus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complexity and cultural convergence of gisaeng's existence. Many gisaengs were in love with themselves. The bold and active attitude of the gisaengs who dealt with men with self-esteem wa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ordinary women. They did not comply with the men's sexual demands unconditionally, chose whether to engage in sexual activity and in a highly sophisticated way, the scholar lamented the foolishness of his wife who had slept with for decades. But many gisaengs were not free from love. Usually the love of the gisaengs ended when officials returned from their term of office, and many four masters promised to love them later and abandoned the gisaengs coldly when they left. There is also a problem for them who did not realize deeply that it was a society that was too stubborn to accept the innocence of the gisaengs who used to fall in love again even though they knew how to leave. The gisaengs showed a human-like equanimity. The ethical value is highlighted by the fact that the gisaengs did not abandon their conscience as humans and risked their lives to protect their incisions despite the lack of obligation of chastity. The meaning of their chastity is amplified, given the fact that many women of the nobility have disturbed the scandal with adultery. There were many gisaengs who died to jump into a well for the sake of fidelity and refuse to listen to the bed service. On the other hand, many gisaengs chose a life-like fidelity.The words that the gisaengs themselves said, "Even if they encounter many men, they usually give only their bodies without a heart, but when they meet a man they really like, they dedicate their pure love." has great implications. Just as many men covet only the body of gisaengs, gisaengs often treated men with distrust. They tried to protect their pure heart and spiritual integrity as gisaengs. 기생들은 역사적으로 전통여성과 신여성 사이에서 반발과 계승, 공유와 차별을 통한 복합적 존재양상을 띨 뿐만 아니라, 일반여성들과 달리 우아한 복색, 해학적인 언어, 관능적인 행동이라는 특유의 복합적 기능을 강조해 왔다. 기생의 섹슈얼리티에 관한 연구가 그동안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사랑(성)과 정절의 융합적 양상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고자 하는 것도 이처럼 기생이 지닌 존재의 복합성, 문화적 융합에 주목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많은 기생들은 主體的인 사랑을 했다. 자존감을 갖고 남성들을 상대하던 기생들의 애정에 대한 과감하고 적극적인 자세는 일반여성들과 차별화되었다. 남자들의 성적 요구에 무조건 따르지 않고 성행위 여부를 스스로 선택했으며 고도의 방식으로 쾌락에 빠뜨림으로써 선비가 수 십 년 잠자리를 한 아내의 어리석음을 탄식했을 정도이다. 그러나 많은 기생들은 他者的 사랑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대개 기생들의 사랑은 관리들이 임기를 마치고 돌아가면서 끝이 났고, 많은 사대부들은 후일을 약속하며 사랑하다가 떠날 때는 기생들을 매몰차게 버렸다. 상대가 떠날 줄 알면서도 다시 사랑에 빠지곤 했던 기생들의 순수함을 수용하기에는 너무나 완고한 사회임을 스스로 깊이 깨닫지 못한 그녀들에게도 문제는 있다. 기생들은 人間다운 정절을 보여주었다. 부도의 의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기생들이 인간으로서의 양심을 버리지 않고 목숨 걸고 절개를 지키고자 했다는 데서 윤리적 가치가 부각된다. 많은 사대부가녀들이 간통사건으로 풍기를 문란케 한 것을 감안할 때 그들의 정절의 의미는 증폭된다. 정절을 위해 우물 속으로 뛰어드는가 하면 수청을 거부하다 맞아 죽은 기생도 많았다. 한편 많은 기생들은 妓生다운 정절을 선택하였다. 기생들 스스로 “많은 남자를 접해도 대개는 마음 없이 몸만 주는 것이지 정말 좋아하는 남자를 만나면 순정을 바친다”고 한 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많은 남자들이 기생의 몸만 탐내듯이 기생들도 남자에 대해 불신을 갖고 대하기 일쑤였다. 그녀들은 기생답게 순결한 마음, 정신적 정절을 지키고자 노력했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료마가 간다(龍馬がゆく)』에 나타난 사카모토 료마(坂本龍馬)의 경제관념

        이화형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2 No.2

        시바 료타로(司馬遼太郞)의 『료마가 간다』는 19세기 무신정권 말기 도사번에서 하급 무사로 태어나 33세의 짧은 생을 마감할 때까지 자신의 꿈을 이루며 열정적인 삶을 살다간 사카모토 료마의 일대기를 그려낸 역사소설이다. 료마는 새로운 세상을 원하는 격변의 시대에 하급무사라는 신분차이를 극복하고 일본 각지를 돌며 종횡무진 활약하여 일본이 근대국가로 탈바꿈하게 되는 메이지유신의 정신적, 제도적 토대를 마련한다. 료마는 이 과정에서 당시 무사로서는 보기 드문 실용적인 경제관념을 바탕으로 여러 집단 간의 정치적 입장차이나 이념적 차이에서 비롯된 갈등을 풀어가며 과업을 완수해 나갔다. 무사와 상인의 복합적인 사고방식을 가졌던 료마는 당시 유입되던 서양의 합리주의적 사상을 누구보다 빨리 받아들이고 상호이익의 경제관념을 바탕으로 당시 정치적으로 갈등의 골이 깊었던 사쓰마번과 조슈번을 규합시키는 삿초동맹을 이끌어 막부에 대항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료마의, 시대를 앞서간 실리주의적 경제관념은 해상무역과 해군육성으로 구체적화 되고 훗날 메이지정부의 기본 이념인 부국강병책으로 승화되어 일본이 아시아의 다른 나라보다 한발 앞서 근대국가로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시바 료타로는 잊혀졌던 19세기 료마의 이야기를 소설 작품으로 살려내 21세기 현대인에게 공동의 이익과 목표라는 료마의 경제관념을 피력했다. 이는 문명이 발달할수록 경제적으로는 풍요로워지지만 정신적으로는 고독해져가는 현대인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덕목이라 할 수 있다. 司馬遼太郞の『龍馬が行く』は、19世紀武臣政權末期土佐藩という邊境から下級武士に生まれ、33歲の短い生涯を終えるまで自分の夢を成し情熱的な人生を生きた坂本龍馬の生涯を描いた歷史小說である。 龍馬は、新しい世界を望む激變の時代に下級武士という身分の差別を克服し、日本各地を回って縱橫無盡の活躍をして、日本が近代國家に變貌することになる明治維新の精神的、制度的基盤を用意する。また、龍馬はこの過程で、當時の武士としては珍しい經濟觀念に基づいて、各の藩の政治的立場の差とイデオロギ―の違いから始まった紛爭を解決しながら課題を果たしていった。 武士と商人の複合的な考え方を持っていた龍馬は、當時の流入された西洋の相互利益の合理主義的經濟觀念を誰よりも早く受け入れ、これらの經濟觀念に基づいて、當時政治的に對立の溝が深かった薩摩藩と長州藩を結集させる薩長同盟を引き出し幕府に對抗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する。 このような龍馬の時代を先行する實利主義的經濟觀念は、海上貿易と海軍の育成に具體化されて後日、明治政府の基本理念である富國强兵策に昇華され、日本がアジアの他の國よりも一足先に近代國家に進ませる原動力になったとすることができる。 司馬遼太郞はややもすると忘れられたかもしれない19世紀龍馬の話を小說作品で復活させる21世紀の現代人に共通の利益と目標という龍馬の經濟觀念を表明した。これは文明が發達すればするほど經濟的には豊かになりますが、精神的には孤獨になっていく現代人が必ず備えなければなら德目としなければいけないことである。

      • SCOPUSKCI등재

        한국산 주요수피의 해부학적 연구 : 제2보 참나무속 수피(樹皮)의 해부 Ⅱ. Anatomy of Quercus Barks

        이화형,이필우 한국목재공학회 1977 목재공학 Vol.5 No.1

        A bark comprises about 10 to 20 percents of a typical log by volume, and is generally considered. as an unwanted residue rather than a potentially valuable resource. As the world has been confronted with decreasing forest resources, natural resources pressure dictate that a bark should be a raw material instead of a waste. The utilization of the largely wasted bark of genus Quercus grown in Korea can be enhanced by learning its anatomical structure and properties. In this paper, bark characteristics of Quercus grown in Korea are deseiribed. In bark anatomy, general features such as color of rhytidome. exfoliating form. color of periderm, arrangement of periderm, and thickness of the inner and outer bark, etc., arc discussed. Studies on the microscopic structure include sieve tube, companion cell, parenchyma, pholem fiber, ray, periderm(phelloderm, phelloogen, phellem), sclereid, and crystal, etc. The result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I general characteristics of rhytidomes, exfoliating is rot easy and selereids are distint to the naked eve. Inner bark is thicker than that of outer bark except in case of Q. variabilis. 2. It is rot clear to distinguish between phelloderm and phellogen in Quercus bark. The phellem is developed conspicuously in Q. variabilis but that of Q. accutissima is composed of thinwalled phellem and thickwalled stone cell. 3. Quercus Bark has sieve tube, companion cell, phloem fiber and sclereid. Sclereids of Quercus bark are the roost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comparing with pinus and populus. The volume percent of sclereids are higher than that of fiber. 4. Rays are 1∼3 seriate, and multiseriate ranging with fray 15 to 20. 5. Parenchyma cell contains two types, polygonal and druses crysta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중 세시풍속의 융합성 비교 - 정월 명절을 중심으로 -

        이화형 동아시아고대학회 2015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40

        한중 세시풍속의 특성을 살피는 데 있어 먼저 공통적으로 강렬하게 일어나는 주체 간의 융합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간과 신에서부터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에 대한 융합이 그것이다. 이를 통해 양국이 전통문화 속에서 균형적 사고로서 전체를 아우르고자 하는 데서부터 시작하여 얼마나 공동체적인 삶을 중시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려 했는가를 짐작할 수 있었다. 양국 세시풍속의 융합의 동질성에도 불구하고 객체적 융합의 미묘한 차별성을 간과할 수 없었다. 첫째 ‘이상(신앙)’에 대한 인식에서는 한국의 경우 외래적 신앙과의 융합에서 고유한 ‘무속적’ 성격이 강하며, 중국의 경우 타 신앙과의 융합에서 ‘도교적’ 성격이 민족의 심저에 뿌리박고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둘째 ‘현실’에 대한 인식 중에서 유희적 요소를 보면, 한국의 경우 남성적 놀이와의 융합에서 ‘여성적’ 놀이가, 중국의 경우 여성적 놀이와의 융합에서 ‘남성적’ 놀이의 성격이 강함을 알 수 있었으며, 실용적 요소에서 한국의 경우 건강과 풍요의 융합에서 건강이 주가 되며, 중국의 경우는 풍요가 주가 된다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무속과 도교, 여성과 남성, 개인적인 건강과 사회적 풍요 등으로의 구분은 상대적일 수밖에 없었다. 요컨대 본고에서는 양국의 세시풍속의 융합성이 얼마나 강한지를 밝히며 그 안에서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season-customs of Korea and China is fusion: fusion between human and god, between human and human, and between human and nature. The customs of both countries, taking seriously the concept of balance in traditional culture, feature an emphasis on community and an endeavor to be in harmony with nature. There are, however,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objective fusion. The Korean practice of fusion emphasizes mainly health and secondarily wealth, but in China wealth is primary and health secondary.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shamanism in Korean religion and Taoism in China, I found that, while Confucian traditions are strong in Korea, they contain elements of the original shamanism. On the other hand, Taoism is rooted deeply among the people of China, and this leads to a contrast. In playing parts in the holiday rituals, the feminine element is dominant in Korea but the masculine side dominates in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