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선삭에서 공구열변형이 표면 형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염철,신근하,홍민성 한국공작기계학회 2001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10 No.4

        During the turning of the workpiece, cutting heat causes thermal deformation of the cutting tool which influence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he machined part.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f thermal deformation of the cutting tool. For this purpose, cutting tool is modeled based on Pro/Engineering and the thermal deformation is simulated by means of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 thermal effect on the surface roughness profile is simulated by using surface-shaping system. It has been shown that the results of simulation are similar to those of experime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근대 시조문학 작품에 등장하는 곤충

        염철,이동운,Youm, Chul,Lee, DongW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8 No.2

        인간의 심미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활동 중에서 곤충의 역할을 다루는 학문 분야를 문화곤충학이라고 한다. 본 연구는 근대 시조문학작품 속에 등장하는 곤충의 종류를 문화곤충학적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문학작품은 6,604편의 근대 시조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곤충 관련 어휘들을 조사하였다. 조사 시조들 중 곤충 관련 어휘가 등장하는 시조는 215편이었으며 제목에 곤충 관련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시조 작품들은 26편이었다. 곤충관련 어휘들은 모두 257번 등장하였는데 30종류의 곤충으로 구별할 수 있었다. 가장 많이 사용된 곤충류 어휘는 나비로 57회 등장하였으며 귀뚜라미가 45회, 벌레가 44회였다. 다양한 예술작품들을 통해 문화곤충학 분야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discipline that deals with the role of insects in various activities that affect human aesthetics is called cultural entomolog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inds of insects appearing in modern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 Sijo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insects. The subject literature surveyed 6,604 works and examined insect words. Among them, there were 215 works that appeared insect words and there were 26 works containing insect words in the title. All of the insect words appeared 257 times and were distinguished by 30 kinds of insects. The most commonly used insect words appeared 57 times as a butterfly, 45 crickets, and 44 insects. Studies in the field of cultural entomology will be needed through various works of art.

      • KCI등재

        이동동사 ‘가다’와 ‘거(去)’의 대조 연구

        염철 중국학연구회 2010 중국학연구 Vol.- No.54

        移動動詞‘가다’與‘去’是使用頻率非常高的動詞。對它們的對比硏究一般局限在作爲趨向動詞的語義與搭配關系,幷取得了很多硏究成果。筆者認爲趨向動詞的語義擴展和搭配功能基于動詞的語義,幷試着從它們作爲一般動詞跟生命體、具體事物、身體范疇、時間范疇、抽象事物搭配使用中産生的語義和搭配關系找出‘가다’與‘去’之間的共性和個性。對比發現‘가다’與‘去’跟生命體搭配幷表示‘從所在地到別的地方’這一基本義時共性較多,而其他搭配上‘가다’的擴展派生義遠遠多于‘去’,‘去’基本上忠實于表現‘向目標移動’的含義。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趋向动词‘들다/나다’与‘进/出’语义功能对比分析

        염철 중국학연구회 2016 中國學硏究 Vol.- No.77

        This study investigates most frequently utilized Korean action verbs ‘grab/let go’ and their Chinese counterparts ‘jin/chu’ with technical analyses according to definitions in the dictionary. The action verbs ‘grab/let go’ and ‘jin/chu’ were analyzed in four terms entity, subject, time, and abstraction. First, in contextual definition, these action verbs have similarities in meanings such as ‘entry/exit’, ‘arrival’, ‘inclusion’, ‘enlist’, ‘expression’, ‘production’, but again not in complete correspondence. The verbs contrasted in that ‘grab/let go’ had association in ‘move in/out’, ‘pregnancy/birth, ‘satisfaction/dissatisfaction’, ‘marriage,’ ‘service’, ‘inclusion’, ‘completion’, ‘development’, ‘appearance’, ‘start’, ‘elapse’, ‘generation’, ‘increase’, and ‘deduction’ while ‘jin/chu’ had association in ‘progress’, ‘accept’, ‘publication’, and ‘excess’. In contextual meaning, the Korean action verbs had more expansive definitions.

      • A Study on Concept and Legal Basis of Maritime Police :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and China

        염철,김상구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2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7

        . 본 연구는 동북아시아에서 대표적 해항국가인 한국과 중국을 대상으로 해양경찰의 개념과 기능 및 그 법적 근거를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제 2장에서 한국과 중국의 해양경찰의 개념을 고찰하였고, 제 3장에서는 해항국가인 한국과 중국의 해양경찰제도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제4장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해양경찰 권력의 법적 근거와 현황을 분석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비교분석 결과, 주요한 발견점은 첫째, 중국의 경우 아직 한국에 비하여 해양경찰의 개념과 법적 근거가 약하다는 것이 나타났고, 또한 현재까지도 해양경찰 및 해사관련 법률의 제정이 추진되고 있는 중이다. 둘째, 중국 해양경찰과 한국 해양경찰을 비교분석 하기에는 많은 문제점들이 존재하였다. 왜냐하면 현재 중국의 경우 해양경찰 권한이 서로 다른 부서들에서 발휘가 되고 있기 때문이었다. 셋째, 결론적으로 중국의 해양경찰제도 보다는 한국의 해양경찰제도가 보다 선진화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이동동사 ‘나다’와 ‘出’의 대조 연구

        염철 중국학연구회 2014 중국학연구 Vol.- No.70

        移动动词‘나다’和‘出’是使用频率较高的动词。对它们的对比研究一般局限在作为趋向动词的语义和搭配关系,并取得了很多研究成果。笔者认为趋向动词的语义扩展和搭配功能基于动词的语义,试着从它们作为一般动词,跟生命体、具体事物、时间范畴、抽象事物等搭配使用中产生的语义和搭配关系,找出‘나다’与‘出’之间的共性与个性。对比发现‘나다’在搭配上比较自由,扩展派生义多于‘出’。研究发现,在生命体的对应中‘나다’和‘出’共同拥有‘产出’之义。而‘나다’表示‘出生’义的时候,‘出’作为趋向动词跟其他动词搭配使用;‘出’表示‘脱离’之义的时候,‘나다’则作为补助动词跟其他动词搭配使用。除此之外,韩国语的‘나다’具有‘分家’,‘不满’等派生义。在具体事物的对应中,‘나다’和‘出’共同拥有‘表露’和‘产出’的意义。此外‘나다’还表示‘形成’和‘出现’的派生义,‘出’拥有‘脱离’、‘消耗’、‘出刊’等派生义。在时间对应中,‘나다’表现出了‘经过’和‘出现’之义,而‘出’表现出了‘超过’之义。在抽象的对应中,‘나다’和‘出’共同拥有‘发生’之义,但是‘出’只局限在问题或事情等范围。此外‘나다’还能表示‘形成’、‘表露’、‘导出’、‘到达’等派生义,‘出’表示‘消耗’之义。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