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중이용시설에서 실내 공기질 관리를 위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효과성 분석

        황혜민,이재정,홍석찬,이재영 한국대기환경학회 2021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다중이용시설은 불특정다수인이 이용하는 시설로 정의가 되며, 실내 공기질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중이용시설 이용객 및 근무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효과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특히 다중이용시설 각 장소의 특성에 따라서 실내 공기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과의 관계를 집중하였다. 미세먼지 저감장치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한 다중이용시설은 5곳이며 각 장소는 시외버스터미널과 터미널이 아닌 다중이용시설로 분류할 수 있다. 측정한 물질은 PM2.5, PM10, 부유세균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에 대해, T-Test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저감장치 설치 장소와 비교 장소에서 저감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는지 비교하였고(P-value<0.05), 상관분석을 통해 각 물질 농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영향 인자를 확인하였다. 이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복합 인자와 농도와의 상관성을 함께 분석하였다. 다중이용시설 중 터미널의 경우, PM10, PM2.5 저감장치의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았다. 농도가 감소한 장소에 대해서 모든 물질은 유의한 저감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부유세균의 경우 약 29.7% 감소하였고, 저감 효과가 제일 좋았다. PM2.5, PM10 농도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영향 인자는 실외 농도이며, 다중이용시설 이용자 수, 면적 등이 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영향 인자를 고려하여 설계된 모델링 식을 이용하면 향후, 각 장소의 실내 대기질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상황학습 이론을 적용한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의 ‘옷차림과 자기표현’ 단원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효과검증

        황혜민,이예영,안소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aching-learning plans for the 7th grade technology-home economics classes, applying situated learning theory. In addition, the effect of developed teaching-learning plans were examined, in terms of student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clothing habit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lessons.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the teaching-learning plans for the 3 lessons on “clothing and self-expression” unit were developed. Experimental study was done at a middle school in Seoul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eachig-learning plans developed based on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Two classes taught with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plans served as a experiment group, and another two classes taught with traditional lecture-based plans served as a control group. As a result, teaching-learning plans developed based on situated learning theory had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lessons and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clothing habits.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수업에서 상황학습이론이 학습자들의 의생활 영역에 관련한 의식과 태도 및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목표로 가정교과의 중학교 1학년 ‘옷차림과 자기 표현’단원에 상황학습 이론을 적용하여 총 3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으로 서울시 B중학교 1학년 중에서 실헙집단 2학급에는 상황학습 이론을 적용한 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 2학급에는 전통적 강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상황학습 이론을 적용한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의생활 영역에 관련한 의식과 태도와 수업만족도 검사를 실시하고 SPSS 12.0을 이용해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생활 영역에 관련한 의식과 태도는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후검사에서는 상황학습에 따른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전통적 강의 수업을 받은 비교집단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상황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대체로 모든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COVID-19 팬데믹 상황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매개효과

        황혜민,서지영,김주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onsciousness of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image and major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using convenience sampling.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online questionnaires completed by 174 nursing students in G city from November 22 to 25, 2021. Date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SPSS 24.0 Program.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using Baron and Kenny’s method and Sobel 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for nurse’s image and consciousness of calling with major satisfaction. consciousness of calling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image and major satisfaction. Conclusions In this study, nurse’s image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COVID-19 Pandemic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via consciousness of calling. This results suggest that strategies for enhancing major satisfaction for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ion programs need to include factors that improve nurse’s image and consciousness of calling. 목적 본 연구에서는 COVID-19 팬데믹 상황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 소명의식, 전공만족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G도 소재 1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4학년 간호대학생 174명이다. 자료수집은 2021년 11월 22일부터25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4.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Baron과 Kenny의 3단계 회귀분석방법과 Sobel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결과 COVID-19 팬데믹 상황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간호사 이미지(r=.67, p<.001)와 소명의식(r=.51,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소명의식은 간호사 이미지(r=.48,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은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Z=3.79, p<.001)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COVID-19 팬데믹 상황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는 소명의식을 매개로 전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이미지 향상과 간호전문직에 대한 소명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한 간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은 궁극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부모 성취압력과 남녀 중학생의 수학불안 관계에서 부모 지지의 조절효과

        황혜민,이경순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9 교과교육학연구 Vol.23 No.4

        Mathematics Anxiety (MA), a state of discomfort associated with performing mathematical tasks, is thought to affect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 adolescents. There have been mixed findings on the temporal relation between parental support/pressure and MA, suggesting that the pathway to MA may differ among adolescents.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gender-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rception of school-related support/pressure from their parents and MA.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parental support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academic pressure and MA. 439 (208 boys, 231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hat was designed to measure their perceived parental support/pressure (for mother and father separately) as well as MA. The results indica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pressure and MA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MA among the boys and girls. In the case of boys, parental support moderated the negative effects of parental academic pressure on MA. For girls, only maternal support moder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parental pressure and MA. While moderating effect of paternal support was not verified. The results showed that efforts are required to reduce parental pressure while increasing both paternal and maternal support to reduce or release MA. Based on the study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 for follow-up studies are suggested with comment on limitation of the study. 중·고등학생에게 수학은 학업부담이 가장 높은 교과로, 학생들이 느끼는 수학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은 나날이 늘고있다. 이에 이 연구는 수학불안에 주목하여, 부모 성취압력과 중학생의 수학불안 관계에서 부모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4개 중학교에서 남학생 208명, 여학생231명 총 439명을 대상으로 부모 성취압력, 부모 지지, 수학불안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남학생의 경우, 부모 성취압력이 높을수록 수학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지지 수준에 따라 부모 성취압력이 수학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는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학생의 경우, 부모 성취압력이 높을수록 수학불안이 높게 보고되었다. 그러나 부 지지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모 지지만이 부모 성취압력이 수학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남학생에게는 부모 지지의 조절효과가 나타난 반면, 여학생에 모 지지만이 조절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학불안을 감소 또는 해소해주기 위하여 부모 성취압력을 낮추는 노력과 함께 부모 지지를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함께 성차에 따른 차별적인 개입을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시사점과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간호사 공감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황혜민,김주옥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의료커뮤니케이션 Vol.1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clinical nurses empathetic program and validate the effect of clinical nurses empathetic program on nursing students’ empathetic effect, communication skill, professional self-concept. Methods: Clinical nurses empathetic program is applied to nursing students who are attending A university in Gyeonggi-do. A total of 97 nursing students who practiced in ICU(intensive care unit). Clinical nurses empathetic program an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nursing students during experienced practicing ICU, and data were collected between 2 March 2017 and 10 June. Results: Empathetic effect (Mean=3.23 vs 3.41, t=-3.91, p<.001), communication skill(Mean=3.43 vs 3.74, t=-5.87, p<.001) and professional self-concept(Mean=2.85 vs 3.19, t=-7.31, p<.001)leve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clinical nurses empathetic program.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linical nurses empathetic program contributes to the enhancement of nursing students’ empathetic effect, communication skill, professional self-concept.

      • KCI등재후보

        Comparison of knowledge, skill performance, and teamwork in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using low- and high-fidelity manikins

        황혜민,장경민 한국의료시뮬레이션학회 2023 한국의료시뮬레이션학회지 Vol.7 No.1

        Background : Despite the high cost of high-fidelity manikins, several studies showed no clear advantage compared with low-fidelity manikins in terms of knowledge or skill improvement. Methods : This study similarly used a non-equal control group post hoc design comparing two groups after advanced life support (ALS) training using high- and low-fidelity manikins for nursing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used a high-fidelity manikin, while the control group used a low-fidelity manikin to compare knowledge, skill performance, and teamwork after ALS training. Results :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t=-.288, p=.774), skill performance (t=.528, p=.601), or teamwork (t=-1.786, p=.079)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s : In ALS training, using high-fidelity manikins may be effective because it reduces trainees' anxiety and increases their confidence. However, this study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advantages in ALS knowledge, skill performance, or teamwork in ALS training using high-fidelity compared to low-fidelity manikins. Therefore, the instructor’s role is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