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원 참여 관점에서의 국가 교육거버넌스 개선 방안 탐색 연구: Likert 관리체제이론을 중심으로

        황정훈(Hwang, Jungh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1

        본 연구는 Likert (1976)의 관리체제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현 교육지배구조에 대한 현장교원의 인식을 분석하고, 교원 참여 관점에서 국가 교육거버넌스 개선 방향에 시사점을 주기 위한 실천 지향적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설명 설계 방식의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 교육지배구조에 대한 현직 초·중등교원의 인식은 부정적이었다. 둘째, 현 국가 교육지배구조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초등교사들의 인식이 중등교사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부정적이었다. 셋째, 현직 교원들이 인식하는 교육부·교육청에 대한 신뢰도, 의사소통 수준, 교육정책 결정 권한 수준이 국가 교육지배구조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학사는 단위학교와 교육청 간의 링킹핀(Linking Pin)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원 참여적 관점에서의 국가 교육지배구조의 개선 및 교육거버넌스 구축을 위해서는 현행 구조의 개혁과 더불어 출범을 앞둔 국가교육위원회를 통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기존 교육행정 기관의 구조 개선을 통해 교사 출신 전문직이 링킹핀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거버넌스 차원에서 현장 교원과의 새로운 통로를 개설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상급교육행정기관과 교사 모두 인식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국가교육위원회 운영방안의 개선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urrent educational governance structure, focusing on Likert"s (1976) management system theory, to give implications to the direction of improving national educational govern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 participat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the current national educational governance structure was negative. Second,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relatively negative than tha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trust about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ions, the level of communication, and the level of authority to make educational polic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national educational governance. Fourth, school commissioner were not properly performing the role of linking pins between unit schools and offices of education. Fifth, in order to improve the educational governance and establish educational govern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er participation, it was considered possible through the National Board of Education and reform of the structu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professionals from teachers can be faithful to the role of linking pins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existing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ions. Second, a plan to open a new channel with field 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governance. Third, both education administration institutions and teachers should change their awareness. Four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peration plan of the National Board of Education.

      • KCI등재

        유치원·어린이집 관리자의 경험을 통한 유아 및 보육교사 양성체제 분석

        황정훈(Junghun Hwang),엄문영(Moonyoung Eom),손은애(Eunae Son)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 및 보육교사의 양성 및 자격 기준의 관점에서 현장 교사들에 대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관리자의 경험을 탐색해봄으로써 현 유아교사 및 보육교사 양성체제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직 유치원 관리자와 어린이집 관리자를 대상으로 탐색적 다중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어린이집 관리자 모두 양성기관 유형에 따른 전문성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근무 시 필요한 역량에 있어 교육연한이 긴 교사들이 상대적으로 더욱 뛰어나다고 보았다. 둘째, 유아교육학 전공자와 보육학 및 기타 아동 관련 학과 등 비유아교육학 전공자 간의 역량 차이가 있음을 유치원・어린이집 관리자가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유치원・어린이집 관리자 모두 교육실습 측면에서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유치원・어린이집 관리자 모두 현직 교육의 효과성과 비효과성을 동시에 지적하였다. 다섯째, 임용 및 채용 과정에서 자격취득 경로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유아 및 보육교사 양성체제 모두 학과제 중심으로 개편하며 단기 양성체제를 폐지하는 방향으로 나아감이 바람직하다. 둘째, 교육실습에 있어서 다방면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현직 교육은 현장 친화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교원의 양성과 자격 측면에서 기관 관리자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유・보 통합에 앞서 선결되어야 할 각 체제별 전문성 확보를 위한 양성과정 개편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있다. From the perspective of training and qualification standards for infant teachers and childcare teachers, this study aims to deal with the overall discussion on improving the training system of infant teachers and childcare teachers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managers for field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both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managers recogniz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expertise according to the type of training institution. Teachers with long educational years were considered to be relatively superior in terms of competencies required for work. Second,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managers commonly recognized the difference in competency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and non-child education majors such as childcare and other child-related departments. Third, both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managers recognized that a lot of improvement was needed in terms of educational practice. Fourth, both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managers pointed out the effectiveness and ineffectiveness of incumbent education at the same time. Fifth, the qualification acquisition path was influencing in the appointment and recruitment proces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suggestions can be provided as follows. First, it is desirable to reorganize both the training system for infant teachers and childcare teachers centered on the subject system and to abolish the short-term training system. Second, various improvements should be made in educational practice. Third, incumbent education should be field-friendly. Fin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institutional managers in terms of the training system, the necessity that the training process to secure expertise for each system is needed to change for the unification of childcare center and kindergarten.

      • KCI등재후보

        Likert 관리체제이론을 통해서 본 학교거버넌스 개선 방안 탐색

        황정훈(Junghun Hwang),엄문영(Moonyoung Eom)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2 지방교육경영 Vol.25 No.2

        본 연구는 리커트(Likert) 의 관리체제이론(1976)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학교거버넌스 구성 요소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학교거버넌스는 학생회, 교사회, 학부모회와 같은 주체별 조직과 각 주체들을 서로 연결하는 학교운영위원회와 같은 조직이 다중중첩구조를 이루고 있다. 우리나라 학교거버넌스의 구조는 체제4(system4)에서 강조하는 링킹핀(linking pin)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각 주체들이 Likert가 제시한 체제결정변인의 어느 단계에서 행동하느냐에 따라 체제의 수준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학교거버넌스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개선 방안으로는 첫째, 학교거버넌스의 모든 참여주체가 공동비전을 만들고 이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동의를 이루어야 한다. 둘째, 학교 관리자의 수평적, 민주적 의식이 조직 전체에 깊숙이 뿌리내리도록 해야 한다. 셋째, 의사결정 권한이 모든 주체에게 동등하게 분배되어야 한다. 넷째, 마을교육공동체 차원에서 단위학교와 지역사회 및 기초지방자치단체를 긴밀하게 연결할 링킹핀 구조에 대한 체계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mponents of school governance in Korea using the management system theory of Likert (1976). In school governance, organizations such as student associations, teachers' associations, and parents' associations and organizations such as school management committees that connect each subject to each other have a multi-overlapping structure. The structure of school governance in Korea has a linking pin structure emphasized in System 4, but it can be seen that the level of the system is determined by which stage each subject acts in the system decision variable proposed by Likert (1976). Therefore, as a way to improve the effective operation of school governance, first, all participating entities in school governance should create a shared vision and achieve cognitive and emotional consent. Second, the horizontal and democratic consciousness of school managers should be deeply rooted in the entire organization. Third, decision-making authority should be equally distributed to all subjects. Fourth, at the level of the communitiy of vill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supplement the linking pin structure that closely connects unit schools, communities, and basic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저경력 초등학교 남교사의 여학생 생활지도에 대한 고충 탐색

        황정훈(Junghun Hwa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1 No.1

        본 연구는 Strauss & Corbin (1998)의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Mischel (1968)의 성역할 사회학습이론의 관점에서 저경력 초등 남교사의 여학생 생활지도에 대한 고충을 탐색하고 일련의 생활지도 메커니즘을 중범위 맥락에서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였다. 연구 결과, Mischel (1968)의 성역할 사회학습이론이 맥락적 조건의 기반이 되었으며, 가정적 여건과 교육현장의 구조적 여건으로 인해 다른 성별에 대한 접촉 빈도 감소가 메커니즘 전반에 영향을 주었다. 인과적 조건으로는 ‘여학생의 여성으로서의 본능’, ‘남교사에 대한 사회적 압박’, 중심 현상은 ‘성차로 인한 기본적인 지도 고충’으로 드러났으며, 작용/상호작용으로는 ‘여학생 특성을 고려한 상호작용 전략’, 결과로는 ‘여전한 어려움 속 개선의지’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서로 다른 성별 차이의 이해를 위한 성 이해 교육 프로그램의 적극 운영, 새 학년 교사 배치 시 학년별 남교사 균형적 배치, 남교사를 위한 여학생 생활지도 연수 운영 등 다방면의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dificulties of 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life guidance for female students in a mid-range context and systematically structured a series of life guidance mechanisms in a mid-range context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of Strauss & Corbin (1998). As a result of the study, Mischel (1968)'s theory of gender role social learning became the basis of contextual conditions, and the decrease in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other genders due to family conditions and structural conditions in the educational field influenced the mechanism as a whole. The causal conditions were 'a female student's instinct as a woman', and 'social pressure on male teachers'. The central phenomenon was revealed as 'basic guidance grievance due to gender differences' and action/interaction is 'interaction strategy considering female student characteristics'. And as a result, it was derived as 'will to improve in existing difficulti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various efforts should be made to actively operate gender understanding education programs to understand different gender differences, balance placement of male teachers by grade when deploying new grade teachers, operation of female student life guidance training for male teachers, and minimize male teachers' departure to professional or managerial positions.

      • KCI등재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한 개방적 학교풍토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 부산 다행복학교를 중심으로

        엄문영(Eom, Moonyoung),길혜지(Kil, Hyeji),이재열(Lee, Jaeyeol),황정훈(Hwang, Junghun),서재영(Seo, Jae 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20 敎育行政學硏究 Vol.38 No.5

        본 연구에서는 탐색 설계라는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개방적 학교풍토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 및 구성원 면담을 통해 이론적 모형을 도출하고, 부산교육종단연구 제4차연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를 확증하였다. 그 걸과 개방적 학교풍토의 형성 요인으로 ①학교장의 리더십, ②민주적인 교육활동/학교운영, ③자발적 모임을 기반으로 협력하는 교사, ④열의가 있고 교직에 만족하는 교사 등이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부산시교육청 및 부산시 중등학교들의 관련 구성원들은 학교풍토를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첫째, 학교장 리더십을 제고하기 위한 교장 자격 과정, 자격 이후 연수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활동과 학교운영에 민주적 의사결정 체제를 규칙과 제반 제도로서 명확히 확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비롯한 자발적 교사모임을 다양하게 지원하고 격려하며 보장해주어야 한다. 넷째, 학교장과 교사가 모두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긍정적 교직관과 열의를 장려하는 풍토를 조성해야한다. 다섯째, 학교풍토를 측정하는 설문 문항을 보다 다양하게 구성하여 확장하고, 유사한 설문 문항을 학생들을 통해 응답하게 하여 학교풍토가 교사뿐만 아닌, 학생들에 의해서도 측정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질적 연구 결과 인정된 다행복학교의 개방적 학교풍토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추후 부산교육종단연구 조사 설계에서 다행복학교 샘플 추가 또는 학교풍토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장기적 시각에서 계속적으로 관찰하는 노력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factors influence the open school climate with an exploratory mixed methods approach. A theoretical framework was deriv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FGI, and verified by using data from the 4th year of the BELS. As a result, as factors for an open school climate are ①leadership of the principal, ②democratic educational activities/school management, ③teachers who cooperate voluntarily, ④teachers who are enthusiastic and satisfied with the teaching profession. Research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principal qualification course and post-qualification training program to enhance the principal"s leadership. Second, it is needed to clearly establish a democratic decision-making system as rules for school manage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a variety of voluntary teacher meetings. Fourth,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a school climate that encourages teachers" positive teaching intuition and enthusiasm. Fifth, the questionnaire that measures the school climate should be expanded in a variety of ways, and the school climate should be investigated not only for teachers but also for students.

      • KCI등재

        한국 교육복지정책의 전개 및 향후 과제에 대한 고찰 : 이돈희의 『교육정의론』을 중심으로

        이수지(Lee, Suji),김새론(Kim, Searon),전주현(Jeon, Jyhyun),한지예(Han, Jiyea),황정훈(Hwang, Junghun),엄문영(Eom, Moon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1

        본 연구는 이돈희의 『교육정의론』에 제시된 교육복지와 교육정의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주요 교육복지정책이 정의롭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교육복지정책에 요구되는 과제를 제시하였다. 『교육정의론』에 따르면 교육복지란 교육정의 실현의 근본적인 출발점으로서 모든 교육대상의 교육적 욕구 충족과 자아실현을 위해 유의미한 학습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정의의 관점에서 무상교육, 방과 후 학교, 학습부진학생 지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교육소외 취약계층 지원, 고등교육 학자금 지원 정책 등 6가지 국내 주요 교육복지정책의 운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추후 교육복지정책에 요청되는 과제로 ‘교육소외 취약계층을 위한 교육복지의 양적 확대’, ‘교육기회의 유의미성 보장을 위한 교육복지정책’, ‘특수요소 성장을 지원하는 교육복지정책 예산 확충’, ‘수혜 대상 범위에 대한 공감대 형성’,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복지정책 지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돈희의 『교육정의론』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정책 분석을 병행함으로써 ‘교육정의’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고, 교육복지정책이 나아갈 정의로운 방향 제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theoretically contemplated the concepts of educational welfare and educational justice presented in Lee, Don-hee"s 『Theory of Education Justice』, and analyzed whether major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in Korea are operating equitably, presenting the tasks required for future educational welfare policy making. According to the 『Theory of Education Justice』, educational welfare is a fundamental starting point for the realization of educational justice, providing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for the fulfillment of educational needs and self-realization of all educational subjects. From this perspective, six major domestic educational welfare policies were analyzed, including free education, after-school support policies, poor student support, education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s, support for the disadvantaged underprivileged, and higher education funding policies. As a result, the government proposed ‘Quantitative expansion of educational welfare for the underprivileged’, ‘Educational welfare policy to guarantee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Expansion of educational welfare policy budget to support growth of special demand’, ‘Forming a consensus for the scope of beneficiaries’, and ‘Oriented educational welfare policy for all students’. This study encouraged interest in ‘education justice’ by combining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Lee, Don-hee"s 『Theory of Education Justice』 and contributed to the just direction for education welfare policy.

      • KCI등재

        초등교사의 전문성과 양성체제 및 과정의 관계 탐색: 체계적 문헌 분석을 활용하여

        이평구 ( Lee¸ Pyung-gu ),강문정 ( Kang¸ Moonjung ),( Zhao Xiaoshuai ),황정훈 ( Hwang¸ Junghun ),엄문영 ( Eom¸ Moonyo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training system and process. To this en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were conducted for studies including keywords such as elementary school teacher, elementary school teaching staff, professionalism, and training among the studies conducted from 2005 to 2020. As a result of this study, discussions on the training syste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could be divided into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methods, educational practices, and general discussions on training institutions, departments, majors, and training courses. Next, for the elements of professionalism emphasized in the training system and process, eight upper categories and 26 lower categories were derived: subject, class, assessment, class management, learner understanding, administrative work, teaching attitude, and communication.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changes in the curriculum of training institutions, differentiation of educational methods, and importance of educational practice are key factors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policy implications for trai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can be derived.

      • KCI등재

        교육리더십 개념 탐색을 위한 체계적 문헌분석 : Walker & Avant 개념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이평구(Lee, Pyung-gu),조지혜(Jo, Jihye),서지현(Suh, Jihyun),정영현(Jung, Younghyun),황정훈(Hwang, Junghun),엄문영(Eom, Moon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4

        본 연구는 주요 교육 주체를 기반으로 리더십의 개념 및 속성을 다룬 문헌을 분석함으로써, 타 학문 분야와 구분되는 독자적인 ‘교육리더십’ 개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분석(systematic literature reviews)을 통해 학교장, 중간리더, 교사라는 주요 교육 주체를 기반으로 한 국내 25편과 국외 15편의 문헌을 선별하였다. 또한, Walker & Avant(2011)의 개념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각 문헌에서 실제로 쓰이고 있는 개념의 주요 속성, 선행요인 및 결과요인 등을 도출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교육리더십의 개념 정의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정의한 교육리더십 개념은 ‘변화하는 교육 요구와 상황에 적합한 교육조직의 목표와 비전을 설정 및 공유하고, 사회적 관계와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구성원에게 적합한 권한을 부여하고 지원하며 전문성 신장을 도모함으로써, 교육조직의 지속적인 발전과 교사와 학생의 성장을 견인하는 리더의 역할’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리더십의 측정가능한 척도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추후 교육리더십 연구의 개념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 of ‘Educational Leadership’ distinct from other academic fields by analyzing literature dealing with the concept and attributes of leadership based on major educational subjects. To this end, 25 domestic and 15 international articles based on major educational subjects such as principals, middle leaders, and teachers were selected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In addition, the concept analysis method of Walker & Avant (2011) was used to derive the main attributes, preceding factors, and outcome factors of the concepts actually used in each article, and finally, the concept definition of educational leadership was attempted. The concept of educational leadership defined through this study means ‘the role of a leader who drives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and the growth of teachers and students by setting and sharing goals and visions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suitable for soci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measurable criterion of educational leadership and to contribute to the conceptual basis of future educational leadership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