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공간 유사성을 이용한 도로 네트워크 상의 유사한 궤적 검색

        황정래,강혜영,이기준,Hwang Jung-Rae,Kang Hye-Young,Li Ki-Joune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3 No.3

        이동 객체들의 행동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그 이동 객체 궤적들 간의 유사성 측정을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록 유클리디언 공간 상에서 이동 객체들의 유사한 궤적들을 검색하는 몇몇 연구가 있었지만, 도로 네트워크 공간 상에서 이동 객체들의 궤적에 대한 유사성 연구는 거의 관심을 끌지 못 했다. 실제 응용에서, 대부분의 이동 객체들은 유클리디언 공간보다 도로 네트워크 공간 상에 존재한다. 그러나 궤적들 간의 유사성 측정에서, 기존의 방법들은 유클리디언 거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오직 공간적 유사성만을 고려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도로네트워크 상에서 POI와 TOI를 기반으로 유사성 측정을 정의한다.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우리는 궤적들 간의 시공간 유사성을 사용하여 유사한 궤적을 검색하는 방법들을 제시한다. 그리고 유사한 궤적들에 대하여 클러스터링을 수행한 결과를 보인다. 실험 결과는 각 방법에 의해 검색된 유사한 궤적들과 그 검색된 궤적 결과들이 각 방법 간에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보인다. In order to analyze the behavior of moving objects, a measure for determining the similarity of trajectories needs to be defined. Althoug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hat retrieved similar trajectories of moving objects in Euclidean space,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moving objects in the space defined by road networks. In terms of real applications, most moving objects are located in road network space rather than in Euclidean space. In similarity measure between trajectories, however, previous methods were based on Euclidean distance and only considered spatial similarity. In this paper, we define similarity measure based on POI and TOI in road network space. With this definition, we present methods to retrieve similar trajectories using spatio-temporal similarity between trajectories. We show clustering results for similar trajectori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similar trajectories searched by each method and consistency rate between each method for the searched trajectories.

      • 도로 네트워크 상의 이동 객체 궤적의 간략화

        황정래,강혜영,이기준,Hwang, Jung-Rae,Kang, Hye-Young,Li, Ki-Joune 한국공간정보학회 2007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9 No.3

        도로 네트워크 상의 이동 객체 궤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그것의 표현이 명확하게 정의되어야 한다. 도로 네트워크 상의 이동 객체 궤적을 표현하는 기존의 대부분의 방법들은 이동 객체 궤적을 그 궤적이 통과한 위치와 시간의 집합으로 복잡하게 표현한다. 이것은 이동 객체 궤적의 검색 등과 같은 분석을 처리할 시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도로 네트워크 상의 관심 있는 지점(POI: Points of Interest)들에 초점을 두어 도로 네트워크 상의 이동 객체 궤적을 효율적으로 간략화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도로 네트워크 상의 이동 객체 궤적이 통과한 POI의 수를 줄임으로써 궤적을 간략화 하며, 궤적이 간략화 된 후에도 그 궤적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 In order to analyze moving object trajectories on road networks, its representation needs to be defined correctly. The most previous methods representing moving object trajectories on road networks defined moving object trajectories as a set of passed location and its time. It is required much time in processing analysis such as retrieval for moving object trajectories. In this paper, we focus on POI(Points of Interest) on road networks and propose methods simplifying moving object trajectories based on it. Our method simplifies moving object trajectories by reducing the number of POIs that moving object trajectories passed and maintains its form after moving object trajectories were simplified.

      • BIM과 GIS의 효율적인 상호운용을 위한 플랫폼 설계에 관한 연구

        황정래,강혜영,홍창희,Hwang, Jung Rae,Kang, Hye Young,Hong, Chang Hee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6

        최근 건설데이터를 활용하는 BIM과 공간데이터를 활용하는 GIS 간의 통합 및 연계를 시도하려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BIM과 GIS의 데이터모델이 서로 너무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어 두 데이터모델 간의 통합을 통한 상호운용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IM과 GIS의 효율적인 상호운용성을 시스템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BIM과 GIS 상호운용 플랫폼을 설계하여 제시한다. 그리고 기존의 상용 소프트웨어들을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플랫폼에 필요한 요소기술과 기능들을 정의하여 제시한다. Recently,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attempted to connect or integrate BIM handling construction data and GIS handling spatial data. However, it is hard to interoperate by integration between two data models because characteristics and domains of data models between BIM and GIS are very different. In this research, we propose the platform to secure efficient interoperability between BIM and GIS and define the component technologies and functions of the platform proposed in this research by analyzing the existing commercial softwares.

      • 모바일 공간정보서비스 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황정래,김태훈,최현상,Hwang, Jung-Rae,Kim, Tae-Hoon,Choi, Hyun-Sa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4

        Recently, market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s increasing along with enlargement of geo-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area and spread of smartphone. In particular, smartphone users look forward to utilizing spatial information service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Korea has the potential for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but does not have enough governmental support to develop various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n mobile network environment. Hence, it is need to make governmental support plans for utilizing mobile services and promoting the related industry base on mobile spatial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governmental action plans for utilizing mobile services and promoting the related industry by surveying mobile application/web services and analyzing demands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experts. 최근에 공간정보 활용분야 확대와 스마트폰 확산에 따라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의 시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위치기반서비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의 공간정보 서비스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공간정보기술 개발의 잠재력은 보유하고 있으나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다양한 공간정보 서비스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모바일 기반에서의 공간정보 활용 및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모바일 앱/웹 현황 조사와 모바일 공간정보 관련 전문가 수요조사 및 분석을 통해 모바일 공간정보 활성화를 위한 정부차원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 건설데이터와 GIS데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IFC와 CityGML 간의 연관성 분석 연구

        황정래,강태욱,홍창희,Hwang, Jung Rae,Kang, Tae Wook,Hong, Chang Hee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5

        최근 건물정보를 다루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과 공간정보를 다루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간의 연계 또는 통합을 시도하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BIM의 표준 데이터모델인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와 GIS 표준 데이터모델인 CityGML 간의 변환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었지만, 두 데이터의 특성과 사용목적이 많이 달라서 그 연구결과를 활용하기에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과 GIS의 상호연계의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IFC와 CityGML의 LOD(Level of Detail)별 객체 간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빌딩 관점에서 IFC와 CityGML의 객체 간의 매핑을 수행함으로써 IFC와 CityGML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관성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IFC와 CityGML 간의 좀 더 효율적인 연계방안을 제시하였다. Recently,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attempted to link or integrate BIM and GIS. In particular, some of the researches were progressed to convert the data model between the BIM standard model IFC and the GIS standard model CityGML. However, it is hard to utilize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yet because characteristics and domains of between two data models are very different, In order to obtain the correlation between BIM and GIS,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between IFC and CityGML objects of each LOD, And, w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IFC and CityGML by performing mapping between IFC and CityGML objects from view point of building with these characteristics. In this research, based on thes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we proposed the efficient interrelation plan between IFC and CityGML.

      • SCOPUSKCI등재
      • 극한지 건설환경 분석을 통한 3차원 가시화에 대한 연구

        황정래(Hwang, Jung Rae),홍창희(Hong, Chang Hee),김의명(Kim, Eui Myoung) 한국측량학회 2013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3 No.4

        In order to perform construction enterprise in extreme cold region, it is needed to collect basic data such as topological data by site investigation from the planning and designing of construction. However, extreme cold regions have characteristics such as long distance, difficulty of approaching. For this reason, the error rate for decision making and designing increases. In this research, therefore, we propose methods to analyze construction environments of extreme cold regions and to visualize data of extreme cold regions using 3D GIS technology.

      • KCI등재
      • 실내공간 기반 IndoorGML 데이터 편집 및 가시화 구현에 관한 연구

        황정래 ( Jung-rae Hwang ),최진원 ( Jin-won Choi ),최현상 ( Hyun-sang Choi ),홍창희 ( Chang-hee Hong ),이지영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 No.2

        최근 시설물이 대형화 및 복잡화 되어 가면서 실외 공간뿐만 아니라 실내공간에 대한 관심이 국내외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에 실내공간을 3차원으로 표현하고, 실외와 실내를 연계 및 통합하려는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외와 실내의 연계 및 통합을 위한 전 단계의 연구로 현재 국제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인 실내공간을 표현하는 IndoorGML 데이터모델을 대상으로 그 데이터를 편집하고 가시화하는 도구를 구현하였다.

      • KCI등재

        딥러닝과 공간정보 기술을 활용한 도로환경 모니터링 방안 연구

        황정래(Hwang, Jung Rae),오세훈(Oh, Se Hun),남상관(Nam, Sang Kwan),최현상(Choi, Hyun Sang),현재훈(Hyun, Jae Hoon) 대한공간정보학회 202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30 No.1

        기존 지자체에서는 차선과 횡단보도와 같은 도로 노면표시 관리를 민원신고에 의한 수동적인 대응과 주관적인 도로 작업자의 판단에 의해 유지 보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deep learning)과 모바일 매핑 시스템(mobile mapping system, MMS) 기술을 활용하여 도로노면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니터링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시흥시 수인로 구간을 대상으로 MMS 장비를 이용해 도로영상정보를 취득하였으며, 데이터 가공작업과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학습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이후 분석 모형 설계를 통해 도로환경 자동 탐지와 5단계 훼손도에 따른 deep learning 분석 기능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위치기반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한 서비스를 구축하였다. 개발한 서비스는 체계적인 도로노면 의사결정지원으로 효율적인 도로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스마트도시를 추진하는 지자체에 비즈니스 서비스모델로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Local governments manage road surface markings such as lanes and crosswalks by passive responses to complaints reports and the judgment of road worke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onitoring service that can systematically manage the road surface using deep learning and MMS technology. To this end, road image data was acquired using MMS equipment for the Suin-ro section of Siheung-si, and training data was constructed using data processing and annotation tool. Afterwards, we developed a deep learning analysis fun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damage in 5 steps and automatic detection of the road surface through the analysis model design, and implemented a service that enables monitoring based on location. Our monitoring service is expected to support systematic decision-making for the efficient improvement of road surfaces and be presented as a business service model for smart c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