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amivudine 내성 소아 청소년 만성 B형 간염에서 Adefovir의 치료 효과

        황수경,박선민,최병호,김정미,김정옥,김영미,이지혜,조민현,탁원영,권영오,Hwang, Su-Kyeong,Park, Sun-Min,Choe, Byung-Ho,Kim, Jung-Mi,Kim, Jung-Ok,Kim, Young-Mi,Lee, Ji-Hye,Cho, Min-Hyun,Tak, Won-Young,Kweon, Young-Oh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8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1 No.2

        목 적: 라미부딘 내성을 가진 소아 청소년 만성 B형 간염 환자들에게 아데포비어로 치료 시작 후 그 치료효과를 평가하고 장기 치료의 안정성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 법: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및 소화기내과에서 라미부딘 내성 만성 B형 간염으로 진단된 환아 16명(남아 12명, 여아 4명, 4.3~20.9세, 평균 14.2세)을 대상으로 2004년 3월 이후 아데포비어 치료를 시작하여 2008년 4월까지 평균 27개월(9~49개월)동안 추적 관찰하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치료에 대한 효과는 치료 시작 후 혈청 ALT치의 정상화와 HBV DNA의 음전 및 HBeAg/anti-HBe로의 혈청전환을 모두 만족할 때 치료반응이 있다고 정의하였다. Kplan-Meier법을 이용한 누적 ALT 정상화율, HBV DNA 음전율(<357 IU/mL), HBeAg titer 2 $log_{10}$ IU/mL 감소율, HBeAg 소실율, HBeAg 혈청전환율을 치료 시작 12, 24, 36, 48개월에서 구하였다. 결 과: 아데포비어로 치료 시작 후 치료 반응은 16명 중 3명(18.8%)에서 보였고 Kaplan-Meier법에 의한 누적 ALT치 정상화율은 치료 시작 12, 24, 36, 48개월째에 각각 12.5%, 43.8%, 63.5%, 92.7%였다. 누적 HBV DNA 음전율은 12, 24, 36, 48개월째에 각각 6.7%, 30.0%, 45.6%, 78.2%였다. 누적 HBeAg titer 2 $log_{10}$ IU/mL 감소율은 12, 24, 36, 48개월째에 각각 12.5%, 43.8%, 56.3%, 86.9%였다. 누적 HBeAg 소실률과 HBeAg 혈청 전환율은 12, 24개월째에 각각 6.7%, 22.2%였다. 연구 기간 동안 아데포비어 내성은 관찰되지 않았고 1예에서 혈뇨가 있었으나 약제 중단 후 호전되었다. 결 론: 한국의 라미부딘 내성 소아 청소년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아데포비어의 치료는 HBeAg 혈청전환을 가속화시키며 혈청학적 간 기능을 보존하였으며 장기 사용에도 안정적이었다. Purpose: To estimate the long-term therapeutic efficacy and safety of adefovir dipivoxil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who have developed lamivudine resistance. Methods: Sixteen patients (12 boys and 4 girls; ages 4.3~20.9 years; mean age 14.2 years) with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resistant to lamivudine therapy received adefovir (0.3 mg/kg/day, maximal dose 10 mg) orally for at least 9 months between March 2004 and April 2008. Each patient was followed up for a mean period of 27 months (range 9~49 months) until April 2008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Therapeutic responses to adefovir were evaluated at 12, 24, 36, and 48 months from the initiation of therapy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Response measurements included ALT normalization, HBV DNA negativization, 2 $log_{10}$ IU/mL decrement of HBeAg titer, HBeAg loss, and HBeAg/Ab seroconversion rate. Results: Three (18.8%) of the 16 patients treated with adefovir showed HBeAg/Ab seroconversion. Kaplan-Meier estimates of cumulative ALT normalization were 12.5% (12 months), 43.8% (24 months), 63.5% (36 months), and 92.7% (48 months), respectively. Cumulative HBV DNA negativization was 6.7%, 30.0%, 45.6%, and 78.2% at 12, 24, 36, and 48 months, respectively. Cumulative 2 $log_{10}$ copies/mL decrement of HBeAg titer was 12.5%, 43.8%, 56.3%, and 86.9% at 12, 24, 36, and 48 months, respectively. Cumulative HBeAg loss and HBeAg/Ab seroconversion were 6.7% (12 months) and 22.2% (24 month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long-term therapeutic efficacy of adefovir dipivoxil was favorabl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who had developed lamivudine resistance. The long-term use of adefovir should be safe in children.

      • SCOPUSKCI등재

        기립성 단백뇨 환아에서 호두까기 증후군에 관한 연구

        황수경 ( Su Kyeong Hwang ),조민현 ( Min Hyun Cho ),고철우 ( Cheol Woo Ko ) 대한신장학회 2008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7 No.4

        목적: 기립성 단백뇨는 소아청소년기에 가장 흔한 단백뇨의 원인이다. 기립성 단백뇨의 정확한 발병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최근 호두까기 증후군이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신정맥 조영술을 이용하여 소아청소년의 기립성 단백뇨에서 호두까기 증후군의 빈도를 확인하고 각종 임상적 자료와 검사실 성적을 비교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대상 환아는 2001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만 6년간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기립성 단백뇨로 진단 받은 23명으로 하였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12.4세였고, 남아가 9례, 여아가 14례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각종 혈액 및 요검사와 도플러신초음파검사 및 좌측 신정맥 조영술을 시행하였다. 각종 자료의 비교분석은 호두까기 증후군으로 진단된 군 (NCS group)과 호두까기 증후군이 아닌 군 (non-NCS group)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 23례 중에서 좌측 신정맥 조영술상에서 좌측신정맥과 하대정맥 사이의 압력차이가 4 mmHg 이상으로서 호두까기 증후군으로 확진된 경우가 12례로서 전체 대상 환아의 52%에 해당하였다. 대상 환아들의 정맥 조영술 결과를 살펴보면, NCS group에서는 하대정맥압 6.50±3.34 mmHg, 좌측 신정맥압 13.21±3.53 mmHg로 두 정맥압 차이가 6.71±2.54 mmHg였다. Non-NCS group은 하대정맥압이 6.27±2.80 mmHg, 좌측 신정맥 8.64±3.20 mmHg로 두 정맥압의 차이가 2.17±0.94 mmHg였다. 따라서 NCS group에서 하대정맥압은 non-NCS group에 비하여 비슷하였으나, 좌측 신정맥압과 두 정맥압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0.05). 대상 환아들의 24시간 요단백 배설량은 175.3 mg/m2/day이었고, 좌측 신정맥과 하대정맥압 사이의 압력 차이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신정맥 조영술에서 호두까기 증후군으로 확진된 환아 7례 중에서 2례만이 도플러 초음파검사에서 좌측 신정맥의 전후경 혹은 최대 혈류 속도의 비가 5 이상으로서 호두까기 증후군의 진단기준을 만족시켜서 진단율이 28.6%로 낮았다. 정맥조영술상에서 전체 환아 23례 중에서 4례 (33%)에서 우회 순환로가 확인되었다. 결론: 기립성 단백뇨를 보이는 환아의 반수 이상에서 호두까기 증후군이 있어서 기립성 단백뇨의 발생은 호두까기 현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추후 본 연구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좀 더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Orthostatic proteinuria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cases of proteinuria that present in childhood or adolesc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 the prevalence of Nutcracker syndrome (NCS) in children with orthostatic proteinuria using venography. Methods: Study patients consisted of 23 children with orthostatic proteinuria. The diagnosis of NCS was made by high pressure gradients (≥4 mmHg) between left renal vein (LRV) and inferior vena cava (IVC) in left renal venography and pressure tracing. Results: Of 23 study patients, the venography showed 12 cases (52%) of typical NCS. Their mean age was 11.5 years (9-14 years). Female predominance (Male:Female=2:10) was noted. In NCS group (n=12), venous pressures of IVC and LRV were 6.50±3.34 and 13.21±3.53 mmHg, respectively. This pressure gradient between two veins was 6.71±2.54 mmHg,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NCS group (n=11), 2.17±0.94 mmHg (p<0.05). No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urinary protein during 24 hour and pressure gradient (r=0.152, p=0.636). Conclusion: NCS may be an important cause of orthostatic proteinuria in children. The prevalence of NCS shown in this study was very similar to that in a doppler sonographic observation published previously. A larger-scale study is necessary to confirm the prevalence.

      • Neurological Outcome of Patients with Late-onset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

        장경미,황수경,Jang, Kyung Mi,Hwang, Su-Kyeong The Korea Society of Inherited Metabolic Disease 2022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22 No.1

        The most common urea cycle disorder is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 More than 80 percent of patients with symptomatic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 are late-onset, which can present various phenotypes from infancy to adulthood. With no regards to the severity of the disease, characteristic fluctuating courses due to hyperammonemia may develop unexpectedly, and can be precipitated by various metabolic stressors. Late-onset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 is not merely related to a type of genetic variation, but also to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result in hyperammonemia;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prevalence of neurological symptoms in late-onset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 Most common acute neurological manifestations include psychological changes, seizures, cerebral edema, and death; subacute neurological manifestations include developmental delays, learning disabilities, intellectual disabilities,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executive function deficits,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is review aims to increase awareness of late-onset ornithine transcarbamylase deficiency, allowing for an efficient use of biochemical and genetic tests available for diagnosis, ultimately leading to earlier treatment of patients.

      • Whole Exome Sequencing of a Patient with Duchenne Muscular Dystrophy

        최봉석(Bong Seok Choi),황수경(Su-Kyeong Hw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14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2 No.1

        듀센형 근이영양증은 소아에서 가장 흔하고 치명적인 유전성 근육질환으로, 디스트로핀 유전자의 변이로 인해 발생한다. 디스트로핀 유전자의 결실이나 중복에 의해 생기는 경우가 많으므로 MLPA나 aCGH가 진단을 위해 많이 쓰인다. 그러나 환자의 1/3 에서는 변이가 발견되지 않는데, 이럴 경우 direct sequencing을 통해 MLPA나 aCGH에서 확인되지 않는 미세한 결실, 중복, 또는 point mutation이 있는지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DMD 유전자는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direct sequencing을 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엄청나게 소모되며 최종 결과도 확정적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우리는 MLPA에서 변이가 발견되지 않은 진행성 근이영양증 환자를 대상으로 whole exome sequencing을 시행하였는데, 디스트로핀 유전자의 frame shift mutation이 발견되었다. 환자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시행한 direct sequencing에서도 환자와 같은 변이가 발견되었다. Whole exome sequencing은 MLPA에서 변이가 발견되지 않는 듀센형 근이영양증 환자의 새로운 진단 도구로 훌륭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Duchenne muscular dystrophy (DMD) is the most common and lethal dystrophy in childhood, caused by mutations in the dystrophin (DMD) gene. Multiplex ligation dependent probe amplification (MLPA) or array comparative genome hybridization (aCGH) is widely used as an initial molecular diagnostic tool. If no deletions or duplications are found in MLPA or aCGH, the samples must be subjected to a second test of direct sequencing. Direct sequencing of the DMD gene, however, is timeconsuming, high-cost, and can be inconclusive. Here, we performed whole exome sequencing on a patient with progressive muscle weakness whose MLPA result was negative; the result revealed a rare frame shift mutation. Direct sequencing on the patient's mother showed the same mutation. Whole exome sequencing can be a new diagnostic routine for DMD patients with negative MLPA3

      • KCI등재

        디스크 전지를 삼킨 소아에서 내시경적 이물 제거술의 비교

        김정옥,홍은희,최병호,조민현,서혜은,임해리,추미애,황수경,박선민,홍석진,심예지,최병호,Kim, Jung-Ok,Hong, Eun-Hui,Choe, Byung-Ho,Cho, Min-Hyun,Seo, Hye-Eun,Lim, Hae-Ri,Chu, Mi-Ae,Hwang, Su-Kyeong,Park, Sun-Min,Hong, Suk-Jin,Shim, Ye-Jee,Ch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7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0 No.2

        목 적: 소아에서 디스크 전지를 삼키는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식도에 걸린 경우 식도 궤양, 천공, 누공, 종격동염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즉각 제거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스크 전지의 내시경적 제거에 있어서 기구에 따른 제거 속도의 차이와 안전성을 비교해 봄으로써 가장 빠르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7년 7월부터 2007년 6월까지 디스크 전지를 삼키고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내시경적 적출술을 시도한 24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1.5세였고 남아가 9명이었다. 내시경 보조기구로써 magnetic extractor와 풍선을 이용하거나 retrieval net을 사용한 경우를 별도로 비교하여 제거에 걸린 시간과 안전성에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였다. 결 과: 전지의 직경과 두께가 $20{\times}2$ mm (또는 2 mm) 인 것이 5건이었고 이 중 3예(60%)에서 식도에 걸려 식도 점막 괴사 또는 궤양을 초래하였다. 직경 20 mm 디스크 전지는 직경 10 mm 전지에 비해 식도에 걸려 손상을 초래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p<0.01). 내시경적 제거방법으로 retrieval net을 사용한 경우가 10명으로 평균 1.5분이 소요되었으며 magnetic extractor와 풍선(또는 condom)을 이용한 경우가 6명이었는데 평균 소요 시간이 3.3분 걸려 retrieval net을 사용할 경우 더욱 신속한 제거가 가능하였다(p<0.05). 결 론: 식도의 디스크 전지는 내시경적 응급 상황으로 즉시 내시경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저자 등의 경험에 의하면 retrieval net을 이용한 위장내 이물 제거가 더 효과적이었으나, 시술자의 숙련도와 선호도에 따라 magnetic extractor와 풍선을 이용한 방법 또는 retrieval net을 이용한 제거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Any battery impacted in the esophagus must be removed urgently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perforation, fistula, and mediastinitis. The use of endoscopic procedures was compared to find the most rapid, effective, and safe method to remove disk batteries. Methods: The cases of 24 children (9 males, mean age, 1.5 years) that had accidentally ingested disk batteries were reviewed. The patients had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1997 to June 2007 for the removal of disk batteries. Endoscopic removal was attempted using a retrieval net or a magnetic extractor with a balloon (condom). The procedure times for removing the ingested battery were compared. Results: Children that ingested batteries with a larger diameter (20 mm) had a greater chance to have esophageal impaction with serious injury, such as esophageal mucosal necrosis or ulcers, as compared to the ingestion of smaller diameter batteries (10 mm) (p<0.01). Endoscopic removal of disk batteries was attempted either using a retrieval net in 10 children or by using a magnetic extractor with a balloon in 6 children. Endoscopic removal using a retrieval net was more effective (mean procedure time: 1.5 min) as compared to using a magnetic extractor with a balloon (mean procedure time: 3.3 min) (p<0.05). Conclusion: Both procedures, either using a retrieval net or a magnetic extractor with a balloon were effective in removing ingested disk batteries. Based on our experience, an endoscopic procedure using a retrieval net was a more effective method for foreign body removal.

      • 소아 난치성 간질중첩증에서 토피라메이트와 리도케인 추가치료의 효능 및 내약성

        강봉화(Bong Hwa Kang),손영수(YoungSoo Sohn),김정은(Jung Eun Kim),황수경(Su Kyeong Hwang),권순학(Soonhak Kwon) 대한소아신경학회 2014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2 No.2

        목적: 소아의 난치성간질중첩증 환자에게서 미다졸람의 지속적 정맥주입 요법에 토피라메이트 추가 치료와 리도케인의 추가치료를 시행하여 경련 조절에 대한 효능 및 부작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난치성 간질중첩증으로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들 가운데 일차 항경련제 치료 후 에도 지속적으로 경련이 있어 미다졸람 지속적 정맥주입을 한 환자에서 토피라메이트 경구투여를 추가로 시행한 그룹을 MDZ/TPM 그룹(11명)으로, 리도케인을 추가로 투여한 그룹을 MDZ/LDC 그룹(7명)으로 나누어 두 그룹 간의 성별, 나이, 경련 지속시간, 경련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경련의 조절여부와 부작용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미다졸람의 주입용량은 MDZ/TPM 그룹에서 평균 10.8±6.8mcg/kg/min 였으며, seizure freedom은 24시간 이상경련이 없었던 경우로 11명 중 1명(9%) 이었으며, 경련이 50% 이상 감소한 경우는 11명 중 2명(18%) 에서 있었다. 반면 MDZ/LDC 그룹에서 미다졸람의 주입용량은 평균 11.3±5.2 mcg/kg/min 였으며, seizure freedom은 7명 중 2명(29%)이었으며, 경련이 50% 이상 감소한 경우는 7명 중 3명(43%) 이었다. 두 그룹간의 효능에 대한 평가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부작용은 일부의 경우 한 환자에게 중복적으로 발생하였으며, 결과적으로 MDZ/TPM 그룹에서 11명 중 5명(45%)에서 부작용이 발생 하였으며 호흡부전, 저혈압, 고체온 및 패혈증으로 사망이 1명에서 있었다. MDZ/LDC 그룹에서는 7명 중 3명(43%)에서 부작용이 있었으며, 호흡기 분비물 증가, 저혈압 및 한 환자에서는 소변량 감소로 인하여 급성 신부전으로 사망하였다. 결론: 소아의 난치성 간질중첩증에서 미다졸람의 지속적 주입에 토피라메이트 추가 치료 및 리도케인의 추가 치료가 비교적 효과적이고 심각한 부작용이 적은 선택적인 치료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용량 및 약제 사용 시기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and tolerability of topiramate add-on therapy versus lidocaine add-on therapy in children with refractory status epilepticu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children with refractory status epilepticus who were hospitalized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the period 2005 to 2012. We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Group A (midazolam, MDZ, and Topiramate, TPM:11 patients) and Group B (midazolam and lidocaine, LDC:7 patients). Furthermore, they were sub-categorized according to children's sex, age, seizure duration, and seizure type. To comepare the effectiveness and toler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we evaluated seizure freedom, >50% seizure reduction, adverse events and mortality rates, respectively. Results: In MDZ/TPM group, average dosage of midazolam infusion was 10.8±6.8 mcg/kg/min, seizure freedom was achieved in 1 out of 11 patients (9%) and >50% seizure reduction was in 2 out of 11 patients (18%). On the other hand, in MDC/ LDC group, average dosage of midazolam infusion is 11.3±5.2 mcg/kg/min, seizure freedom was achieved in 2 out of 7 patients (29%) and >50% seizure reduction was 3 out of 7 patients (43%). Aside from the promising effe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In children with refractory status epilepticus, topiramate or lidocaine add-on therapy seemed to be effective and fairly tolerated and showed no serious adverse effects. Therefore they can be an alternative treatment option. Howev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 KCI등재후보

        뇌전증의 유전적 진단

        이윤정(Yun Jeong Lee),안주희(Ju Hee Ahn),권순학(Soon hak Kwon),황수경(Su Kyeong Hw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1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4 No.4

        최근 유전자 검사 기법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이전까지 특발성 뇌전증으로 분류되었던 환자들에서 많은 유전적 원인이 밝혀지게 되었고, 맞춤 치료로 연결되는 경우도 늘었다. 바이오헬스 산업이 정밀의료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서 차세대 유전자 검사와 관련된 법과 규제들도 많이 완화가 되었고 보험급여가 시행될 날이 머지않은 시점에 있다. 유전자검사는 유전적 원인을 가진 것으로 의심되는 뇌전증 환자 누구에게나 고려될 수 있지만, 항경련제에 잘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 환자들에게 시행하는 편이 적합하고 적용될 수 있는 검사 방법에 따라 (1) 단일 유전자 변이에 의한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2) 다른 신경/정신학적인 질환을 동반하거나 기형이 있는 경우, (3) 임상양상이 한정적이지 않고 관련될 수 있는 유전자가 여러 개인 경우로 환자를 분류할 수 있다. 적용할 수 있는 유전자 검사로는 Sanger sequencing, chromosome microarray, targeted gene panels, whole exome sequencing, whole genome sequencing이 있다. 단일 유전자 변이에 의한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는 Sanger sequencing, 다른 신경/정신학적인 질환을 동반하거나 기형이 있는 경우는 chromosome microarray, 임상양상이 한정적이지 않고 관련될 수 있는 유전자가 여러 개인 경우는 targeted gene panels을 우선 고려할 수 있으며, 검사 결과가 음성인 경우는 whole exome sequencing이나 whole genome sequencing에 이르기까지 순차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Targeted gene panels는 Sanger sequencing이나 whole exome sequencing 등에 비해 염기서열 당 분석 비용이 싼 편이며 진단율이 높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차세대 유전자 검사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넘어야 할 사회적, 윤리적, 경제적 장벽들이 있다. 본 종설에서는 최근 뇌전증 유전학의 변화와 임상 실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전자 검사 방법을 제시한다. Major advances in genetics allow us to uncover genetic causes of epilepsy and influence therapeutic decisions. As precision medicine becomes a focus for bio-health industry, laws related to next generation sequencing are improving and its application will continue to expand. Although genetic testing can be considered for anyone who is suspected to have a genetic cause, the most suitable indication is drug-resistant epilepsy. Epileptic patients who have genetic testing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1) patients with defined phenotypes suggesting monogenic epilepsy syndrome; (2) patients with neuropsychiatric comorbidities or dysmorphic features; and (3) patients with undefined phenotypes with multiple candidate genes. Applicable genetic testing methods for epilepsy are as follows: Sanger sequencing, chromosome microarray, targeted gene panels, whole exome sequencing, and whole genome sequencing. Sanger sequencing is indicated for patients with defined phenotypes by a single gene mutation. Chromosome microarray is recommended as part of the initial evaluation of unexplained epilepsy, particularly among patients with associated neuropsychiatric comorbidities or dysmorphic features. Next generation sequencing can be informative in patients with undefined phenotypes with multiple candidate genes. Targeted gene panels are a cost-effective alternative to both Sanger sequencing and whole exome sequencing for the genetic diagnosis of epilepsy. There are, however, social, ethical and even financial hurdles to overcome in the transition of next 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 into the clinic. This review focuses on recent transformation of epilepsy genetics and suggests a strategy for actual clinical practice.

      • KCI등재후보

        Hyperornithinemia-hyperammonemia-homocitrullinuria 증후군을 유발하는 SLC25A15 유전자의 새로운 변이

        장경미(Kyung Mi Jang),현명철(Myung Chul Hyun),황수경(Su-Kyeong Hw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17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5 No.3

        Hyperornithinemia-hyperammonemia-homocitrullinuria syndrome (HHH syndrome) is a neurometabolic disorder with highly variable clinical severity ranging from mild learning disability to severe encephalopathy. Diagnosis of HHH syndrome can easily be delayed or misdiagnosed due to insidious symptoms and incomplete biochemical findings, in that case, genetic testing should be considered to confirm the diagnosis. HHH syndrome is caused by biallelic mutations of SLC25A15, which is involved in the urea cycle and the ornithine transport into mitochondria. Here we report a boy with spastic paraplegia and asymptomatic younger sister who have compound heterozygous mutations of c.535C>T (p.R179*) and c.116C>A (p.T39K) in the SLC25A15 gene. We identified that p.T39K mutation is a novel pathogenic mutation causing HHH syndrome and that p.R179*, which is prevalent in Japanese and Middle Eastern heritage, is also found in the Korean population.

      • KCI등재

        제1형 신경섬유종증 환자들에서 관찰된 망막미세혈관이상 소견

        최형준(Hyung Jun Choi),윤정현(Jung Hyun Yoon),손병재(Byeong Jae Son),황수경(Su Kyeong Hwang),전보영(Bo Young Chu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2

        목적: 제1형 신경섬유종증 환자에서 관찰되는 망막미세혈관이상의 양상과 빈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제1형 신경섬유종증 환자 61명과 전신질환 및 안과적 이상이 없는 대조군 61명의 안저촬영사진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단순혈관굴곡, 나선상의 망막혈관, 모야모야형 패턴 양상으로 나타나는 망막미세혈관이상 유무를 확인하였고, 제1형 신경섬유종증에 대한 진단민감도, 진단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및 진단정확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군 중 19.7% (12명)에서 망막미세혈관이상이 있었으며, 대조군에서는 해당되는 경우가 없어서, 환자군과 대조군 간 망막미세혈관이상 유무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p=0.0003). 망막미세혈관이상을 보이는 환자 12명 중 11명은 단순혈관굴곡 양상이, 1명은 나선상의 망막혈관 양상이 관찰되었으며 1명은 2가지 소견 모두 나타내었다. 제1형 신경섬유종증에 대한 망막미세혈관이상의 진단민감도는 23.53%, 진단특이도는 100%, 양성예측도는 100%, 음성예측도는 61%였다. 진단정확도는 65.18%로, 리쉬결절의 진단정확도인 79.5%보다 다소 낮았으나, 신경섬유종의 진단정확도인 68.03%와 필적하는 진단정확도를 보였다. 결론: 제1형 신경섬유종증 환자군의 19.7%에서 망막미세혈관이상이 관찰되었으며 이 중 단순혈관굴곡 양상이 가장 많았다. 망막미세혈관이상이 대조군에서는 전혀 없었고, 진단정확도가 65.18%임을 고려하면 이는 제1형 신경섬유종증의 새로운 안과적 임상양상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findings and frequencies of retinal microvascular abnormalities observed in patients with type 1 neurofibromatosis. Methods: Fundus photographs of 61 patients with type 1 neurofibromatosis and 61 controls without systemic disease or ophthalmic abnormalities were retrospectively compared and analyzed.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tinal microvascular abnormalities in the form of simple vascular tortuosity, corkscrew retinal vessels, and moyamoya-like patterns was confirmed, and the diagnostic sensitivity, diagnostic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diagnostic accuracy for type 1 neurofibromatosis were analyzed. Results: Retinal microvascular abnormalities were found in 19.7% (12 patients) of the patient group, There was no cases in the control group, thu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ti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 (p = 0.0003). Of the 12 patients with abnormalities, 10 exhibited simple vascular tortuosity, one had corkscrew retinal vessels, and one exhibited both findings. The diagnostic sensitivity of retinal microvascular abnormalities for type 1 neurofibromatosis was 23.53%, the diagnostic specificity was 100%,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100%, and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was 61%. The diagnostic accuracy was 65.18%, which was slightly lower than the 79.5% diagnostic accuracy for the Lisch nodule, but the diagnostic accuracy was comparable to that of neurofibroma (68.03%). Conclusion: Retinal microvascular abnormalities were observed in 19.7% of type 1 neurofibromatosis patients, of which simple vascular tortuosity was the most common. Considering that retinal microvascular abnormalities were not observed at all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agnostic accuracy was 65.18%, this type of abnormality could be included as a new ophthalmic clinical feature of type 1 neurofibromatosis.

      • KCI등재후보

        소아 길랑-바레 증후군 진단에서 척추 MRI로의 패러다임 변화

        김정은(Jung Eun, Kim),백희선(Heesun Baek),안지영(Ji Young Ahn),황수경(Su Kyeong Hwang),김용선(Yong Sun Kim),서혜은(Hyeeun Seo),권순학(Soonhak Kwon) 대한소아신경학회 201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3 No.3

        목적: 길랑-바레 증후군은 소아의 급성 이완성 마비의 가장 흔한 원인 가운데 하나이다. 길랑-바레 증후군은 신경전도 검사와 뇌척수 액 검사로 진단하는데 다른 원인과의 감별을 위해 조영증강 척추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기도 한다. 길랑-바레 증후군에서는 자기공명영 상에서 신경근의 조영증강 소견을 보여 자기공명영상 검사가 진단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아의 길랑-바레 증후군의 진단에 있어 뇌척수액검사와 신경전도검사를 이용한 진단과 비교하여 자기공명영상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6월부터 2014년 6월까지 길랑-바레 증후군으로 경북대학교병원에 입원한 17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면역글로불린의 치료 전에 뇌척수액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급성기동안 신경전도검사를 시행하였다. 모든 환아에서 조영증강 척추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운동증상 발생 후 뇌척수액검사는 증상 발생 후 평균 3일에 시행하였으며 2명(11%)만이 단백세포해리를 보였으며 신경전도검사는 증상 발생 후 평균 7일에 시행하였으며 12명(71%)에서 양성을 나타냈다. 조영증강 척추 자기공명영상 검사는 증상 발생 후 평균 4일에 시행하였으며 12명(71%)의 환아가 신경근의 조영증강을 보였다. 길랑-바레 증후군에서는 전근에서 조영증강이 특이소견인데 이 환아 들은 전근의 조영증강 우세를 동반하여 전근과 후근 모두에서 조영증강 소견을 보였다. 뇌척수액검사와 신경전도검사와 비교할 때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 검사는 뇌척수액검사에 비해 더 높은 양성률을 보여 길랑-바레 증후군의 진단에 있어 더 유용한 방법임을 보여주었으며 ( P =0.0013) 증상 정도에 따라 척수 전근에서 조영증강의 차이를 보였 으나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 P =1.0). 검사의 양성확률 또한 운동 증상의 심한 정도와 관계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 =0.29). 결론: 본 연구에서 길랑-바레 증후군의 진단시에 뇌척수액검사와 비교하여 조영증강 척추 자기공명영상 검사가 양성 확률이 더 높으며 자기공명영상에서 조영증강을 나타낸 경우 증상의 심한 정도에 따라 조영의 차이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 따라서 길랑-바레 증후군의 조기진단에 있어 조영증강 척추 자기공명영상 검사는 유용한 검사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value of gadolinium-enhanced spi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the diagnosis of Guillain-Barré syndrome (GBS) by comparing it with cerebrospinal fluid (CSF) and nerve conduction studies (NCS) in children. Method: A single center, retrospective analysis of clinical investigations undertaken in children with GBS over a 5-year period was performed. The patients’ respective medical records, including spinal MRIs and nerve conduction studies, were reviewed. Results: A total of seventeen children (mean age 5.3±3.6 years; males, 12, females, 5) were enrolled in the study. Twelve out of 17 children (71%) showed gadolinium nerve root enhancement, mostly anterior along with posterior roots (10/12, 83%) at 4.1 days of illness, compared to CSF (2/11, 11%) at 2.5 days and NCS (11/17, 64%) at 7.4 days of illness (P0.05). Conclusion: In conclusion, NCS are a standard diagnostic tool for GBS. This study supports the gadolinium-enhanced spinal MRI as a valuable investigating technique in the early diagnosis of GBS, although it is not necessarily superior.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lucidate the mechanisms and to strengthen th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