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MZ 자연 생태계 보존을 위한 실효적 준비체계 구축 방안

        황성한,전성우,남궁승필,황현호,Joseph P. Henderson 한국환경정책학회 2019 環境政策 Vol.27 No.2

        The Demilitarized Zone (DMZ) of the Korean Peninsula has an excellent natural ecosystem that formed incidentally as a product of political and military decisions. The conservation of the DMZ’s natural ecosystem has been the center of active discussion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However, most of the discussions are at the conceptual level, emphasizing the needs of each research field, and have not yet reached the effective level of presenting an accurate future preservation framework.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early visualization of the expected DMZ’s final framework’ as a preliminary concept for effectively preserving the DMZ’s natural ecosystem. The detailed strategies for this are: 1) decision-making regarding DMZ characteristics and core values for conservation, 2) the early visualization of the DMZ’s final framework based on core values of conservation, 3) setting a master plan to reach the final framework, and 4) establishment of a control tower manag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verified the necessity of early visualization of the DMZ’s final framework, focusing on conservation of the natural ecosystem and a detailed implementation procedure. 한반도의 비무장지대(DMZ)는 정치・군사적 결정의 산물로서 기능해 오는 동안 우연히 형성된 우수한 자연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DMZ 자연 생태계 보존을 위한 논의가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논의가 각 연구 분야별로 그 필요성을 강조하는 개념적 수준에 그치면서 아직까지 DMZ의 정확한 미래 보존 형상을 제시하는 실효적 수준에 미치지 못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MZ 자연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한 실효적인 준비개념으로 ‘예상되는 DMZ 최종체계의 가능한한 조기 가시화’를 제시했다. 이를 위한 세부 추진전략으로 첫째, DMZ의 특성과 핵심 보존가치 판단, 둘째, DMZ의 핵심가치 보존을 중심으로 예상되는 통일 후 DMZ 최종체계 조기 가시화, 셋째, 가시화된 최종체계 도달을 위한 마스터 플랜 구비, 넷째, 환경부를 중심으로 하는 컨트롤 타워 기능 확립 등 4개 분야를설정했다. 본 연구는 자연 생태계 보존을 중심으로 하는 DMZ 최종체계 조기 가시화 필요성과 이를 위한세부 추진 절차를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주요 분단문화로서 민북마을에 대한 인식 및 보전 필요성 고찰

        황성한,장광열,남궁승필 한국지역지리학회 202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9 No.4

        민북마을은 민통선 이북 접경지역에서 분단 여건하에 인위적인 인간생활 공동체가 조성・유지되어온 특수한 지역이다. 선행 연구를 통해 이러한 특수성에 대한 부분적인 보전 방안 제시가 이루어져 왔으나 주요 분단문화로서의 인식은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민북마을이 지닌 주요 분단문화 유형을 1) 화석화된 냉전경관, 2) 냉전경관에서 진화중인 주민의 삶, 3) 냉전경관이 지닌 주요 상징적 역사로 분류하였다. 민북마을 분단문화의 보전 필요성을 주요 가치에 따른 보전의 중요성 및 위협요소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보전의 중요성은 ‘여러 이질적 요소의 동화・흡수・재생산 과정 간 형성된 문화적 특수성’, ‘분단으로 형성된 역사문화유산적 가치와 학문연구의 필요성’ 2개 분야이다. 주요 보전 위협요소로 ‘접경지역의 한시적・국지적 성격’, ‘남북관계의 부정적 영향’, ‘접경지역 활용 및 보전에 대한 인식의 차이’ 3개 분야를 제시했다. 본 논문을 기반으로 민북마을 분단문화 보전 위협요소 극복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Minbuk Village is a special area where a human community has been artificially created and maintained under the conditions of division in the border area north of the Civilian Control Line. Partial conservation measures for this uniqueness have been proposed through previous research, but recognition as a major division culture is insufficient. This study classified the main types of division culture of Minbuk Village as follows: 1) the fossilized Cold War landscape, 2) the lives of residents evolving in the Cold War landscape, and 3) the main symbolic history of the Cold War landscape. The necessity of conservation of the Minbuk Village division culture was presented by dividing it into the importance of conservation and threat factors according to the main values. The importance of conservation is two areas: ‘cultural specificity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assimilation, absorption, and reproduction of heterogeneous elements’, and ‘the value of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formed by division and the need for academic research’. The main threats to conservation are presented in three areas: ‘temporary and local nature of the border area’, ‘negative impact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use and conservation of the border area’. Based on this paper, advanced and detailed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to overcome threats to the conservation of Minbuk Village division culture.

      • 한국 군사지리학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황성한(Hwang Sung-Han),김만규(Man Kyu Kim) 한국지역지리학회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4 No.12

        군사지리학은 지리적인 요소를 군사적 행위에 활용하는 것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이다. 연구의 범위는 군사적 상황을 중심으로 자연환경, 군부대와 제반 사물의 위치, 그리고 특성 및 분포가 가지는 영향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군사지리학은 응용지리학의 한 분야이며 군사학의 주요 교육과목에 포함되어 있다. 군사지리학 연구의 결과는 군대의 작전 및 용병술, 그리고 군사이론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한국의 군사지리학 연구는 1970년대~1980년대의 한정된 기간 동안에 군사적 업무수행 목적 하에 수행되어졌으나 현재는 전반적으로 침체되어 있는 상태이다. 반면에 영미권의 군사지리학 연구는 기존의 전쟁에 기여하는 관점의 연구가 초래한 부정적 인식을 극복하는 방향으로의 영역 확장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군사지리학의 중요성에 대해 시대별 용병술 형성 및 군사학과의 관계에 대한 고찰과 현재의 군사지리학 연구 및 교육 실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군사지리학 연구 및 교육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주요 내용은 군사지리학 연구의 활성화와 교육수준 향상을 위한 커리큘럼 개선, 관련 기관간의 협의체 구성, 지리학회 내의 군사지리학 관련 소분과 설치 등이다. Military Geography is a literature studying to apply geographical elements to military behaviour. The Category of study includes nature environment, location of military troops and overall objects, and the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centered in military situation. Therefore military geography is a part of applied geography and included as major education subject in military sciences. The study result of military geography conduct important role offering theoretical base to military operation and tactics and military theory. The study of korean military geography was conducted under the object of military practice perform during limited period from 1970s to 1980s, but now came downturn generally. Whereas, domain expansion effort have been deployed in anglo american military geography to overcome the negative recognition contributing to the war. So this study conducted discus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specific tactics formation and military science, and analysed present military geography study and education status. Based on the discussion result, this treatise proposes three plans to improve the study and education of korean military geography. The key contents of plan are comprised with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curriculum, the construction of council between relevant organism, and the installation of subdivision in relevant geographical society.

      • KCI등재

        응용지리학으로서의 군사지리학 역할 제고에 관한 연구

        황성한(Sung-Han Hwang),김만규(Man Kyu Kim) 대한지리학회 2015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1

        군사지리학은 지리과학 기술과 지식을 전쟁에 활용하는 관점에서 1960년대에 출현한 응용지리학의 한 분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폭력 행위를 수반하는 전쟁에 대한 기여는 학문 연구의 도덕적 측면에서 부정적 인식을 초래하였고, 이는 학문 연구의 침체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응용지리학으로서 군사지리학의 역할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군사지리학의 역할에 대한 본질적인 의미를 전쟁과 군사학과의 관계 속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군사지리학 연구가 기존의 전쟁 기여 위주의 시각에서 벗어나 인류의 발전에 기여하는 역할로 새로운 정립이 필요하다는 관점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군사지리학의 연구 기능은 연구 방향의 관점에 따라 전쟁에 기여하기도 하고 인류의 삶 증진에 기여할 수도 있는 이중적 속성을 대부분 가지고 있다. 군사지리학 연구가 지금까지는 전쟁기여에 필요한 활용성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나 향후에는 인류의 삶 증진에 기여하는 역할을 확대함으로써 도덕성 측면의 미흡성을 보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군사지리학이 전쟁과 평화 모두에 기여할 수 있는 완전한 학문으로의 역할 수행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Military geography has been recognized a part of applied geography appeared in 1960s by the viewpoint applying geographical science technology and knowledge for war. But the contribution for war accompanying violence caused negative recognition in moral viewpoint and led stagnation of military geography’s study. Therefore this paper has researched a method improving the role of military geography as a part of applied geography and considered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military geography’s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ar and military sciences. Based on this consideration, this paper proposed a research direction necessary for the role contributing human development beyond the viewpoint focusing contribution for war.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e characters of the military geography’s elements have two attributes contributing for war victory or improving human life quality. Military geography has laid emphasis for usability to war contribution until now and caused unsatisfactoriness of morality. But military geography can complement this unsatisfactoriness by the extension of the role contributing human life quality. This study could examine the possibility doing the role contributing for both war and peace as a intact science.

      • KCI등재

        한국 군사지리학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황성한(Hwang, Sung Han),김만규(Kim, Man Kyu)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1

        군사지리학은 지리적인 요소를 군사적 행위에 활용하는 것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학문이다. 지형 등을 포함하는 군사지리학 요소는 군대의 용병술과 군사이론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삼국시대 이후 한반도에서 활용된 용병 술은 지형적 특징을 반영한 일관된 흐름을 유지하면서 발전해왔다. 이처럼 역사적으로 이어온 용병술 형성과 군사지리학 요소의 밀접한 관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군사지리학 연구는 침체된 가운데 학문적 담론은 미흡한 상태이다. 반면에 영미권의 군사지리학 연구에서는 군대의 평화유지·인도주의 활동과 관련한 군사지리학 연구를 통한 연구 활성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영미권의 연구경향과 한국의 기존 연구에 대한 실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 군사지리학의 연구 및 교육에 대한 발전방안을 세 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주요 내용은 군사지리학 연구의 활성화와 교육수준 향상을 위한 커리큘럼 개선, 관련 기관간의 협의체 구성, 지리학회 내의 군사지리학 관련 소분과 설치 등이다. 한국의 군사지리학이 전쟁기여 면의 용병술 분야와 함께 군대의 평화유지·인도주의 활동으로 연구 범위를 확대함으로써 학문으로서의 정체성을 보다 더 구체화할 수 있는 가능성은 커질 수 있을 것이다. Military Geography is a literature studying the application of geographical elements to military behaviour. The elements of military geography including topography greatly influences on building military art and theory. The military art applied on korean pennisula from the period of ancient three countries(Koguryeo, Shilla, Paekche) has been developed maintaining consistent stream reflecting topographic features. Despit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building of military art and military geography"s elements, the study for korean military geography has been depressed and the discourses of literature has been insufficient. But, in the western study of military geography, the study vitalization efforts studying military peace keeping and humanitarism activity are ongoing. Based on the current trend of western study and the analysis of existing korean study, this treatise proposes three plans to improve the study and education of korean military geography. The key contents of plans are comprised with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curriculum, the construction of council between relevant organism, and the installation of subdivision in relevant geographical society. The possibility shaping up the identity of korean military geography as a common literature can be increased by enhancing the study toward peace and humanitarism and specifying the method for development as noted on this study.

      • KCI우수등재

        한국의 DMZ일원에 대한 체계적인 개발 및 보존을 위한 마스터 플랜의 필요성과 기본 개념

        황성한(Sung-Han Hwang),남궁승필(Seung-Pil Namkung) 대한지리학회 2017 대한지리학회지 Vol.52 No.2

        한반도의 비무장지대는 한국전쟁의 산물로서 60여 년 이상의 기간에 걸쳐 형성된 안보적 유산으로서의 가치와 생태계의 보존 중요성에 대한 연구 관심이 매우 높은 지역이다. 또한 이러한 논리를 반영한 DMZ의 개발과 보존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다. 그동안 수행된 연구는 남·북한 간 공동개발 및 이용에 관한 내용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반면에 통일 후의 최종 모습에 일관성 있게 도달하기 위한 체계적인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활동은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MZ일원의 개발에 관한 컨트롤 타워로서 기본 원칙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마스터 플랜의 구비 필요성에 대한 논리와 기본개념을 제시했다. 「DMZ개발 및 보존에 관한 마스터 플랜」의 기본 개념으로는 첫째, 계획의 일관성 유지, 둘째, 남·북 종심 상 일체성 구비, 셋째, 남·북 물류 흐름 보장성 구비, 넷째, 생태자원 보존 및 관광기능 구비 등 4개 요소를 포함했다. 본 연구를 통해 통일에 대비한 DMZ의 최종모습을 구현하기 위한 일관성 있는 계획의 구비와 이에 필요한 마스터 플랜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demilitarized zone(DMZ) of the Korean peninsula is a product of the Korean War and is an important research area in terms of a security legacy formed over the course of 60 years or so and importance of its ecosystem. Also, discussions on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the DMZ reflecting such logic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Research thus far largely has focused on the joi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research activities concerning measures for systematic development aimed at its final appearance after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are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the logic and basic concepts on the need for a master plan providing the basic principles as a control tower for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DMZ region. The basic concepts of the master plan are: 1) maintaining consistency of the plan, 2) obtaining the north-south deep area unity, 3) securing the north-south logistics flow security, and 4) fulfilling ecological resource preservation and tourist function. This study verified the importance of consistent plans and a master plan necessary for such plans at embodying the final appearance of the DMZ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