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언론을 통해 본 ‘한류’ 경향에 관한 연구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분석을 활용한 언론기사 분석, 2000~2019-

        황서이(SeoI Hw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0 No.5

        본 연구는 국내 언론에 나타난 ‘한류’ 관련 이슈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의제설정이론을 적용하여, 언론기사를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은 빅데이터 분석기법인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분석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9년까지의 ‘한류’ 관련 이슈에 대해 다룬 54개 언론 미디어 기사 197,992건의 제목, 부제, 본문을 수집하여 토픽과 토픽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언론에 나타난 ‘한류’는 한류 관련 지역, 문화, 경제 등과 관련된 단어들이 주요하게 나타났다. 둘째, 한류 관련 이슈는 총 9개의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방송한류’, ‘한류 수출’, ‘국내외정세’, ‘한류 교육’, ‘뷰티・패션 한류’, ‘음악・공연 한류’, ‘관광한류’, ‘미디어(플랫폼)’, ‘권역 및 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류는 주로 문화적 차원과 경제적 차원에서 의미화되었고, ‘문화한류’, ‘경제한류’, ‘교육’, ‘환경’, ‘지리’와 같이 5개의 특성으로 클러스터링 되었다. This study conducted a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korean wave’ and its meaning in Korean society from 2000 to 2019 by applying an agenda setting theory.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97,992 newspaper articles which reported ‘korean wave’ issues were analyzed by applying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 word ‘korean wave’ mainly appeared in korean-related regions in the korean press. culture and economy. second, a total of 9 topics related to korean wave issues appeared. This was followed by ‘broadcast’, ‘export’, ‘domestic and foreign affairs", ‘education", ‘beauty and fashion", ‘music and performance", ‘tourism", ‘media(platform)", and ‘region". Lastly, korean wave was mainly discussed at the cultural and economic ares. In addition, it was clustered into five characteristics: ‘cultural hallyu’, ‘business hallyu’, ‘education’, ‘environment’, and ‘geography’.

      • KCI등재
      • KCI등재

        ‘한류’경향에 관한 국내 언론 기사 빅데이터 분석 연구

        황서이(Seo-I Hwang),박정배(Jeong-Bae Park)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5

        This study conducted a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korean wave’ and its meaning in Korean society from 2000 to 2019 by applying an agenda setting theory.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97,992 newspaper articles which reported ‘korean wave’ issues were analyzed by applying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 word ‘korean wave’ mainly appeared in korean-related regions in the korean press. culture and economy. second, a total of 9 topics related to korean wave issues appeared. This was followed by ‘broadcast’, ‘export’, ‘domestic and foreign affairs’, ‘education’, ‘beauty and fashion’, ‘music and performance’, ‘tourism’, ‘media(platform)’, and ‘region’. Lastly, korean wave was mainly discussed at the cultural and economic ares. In addition, it was clustered into five characteristics: ‘cultural hallyu’, ‘business hallyu’, ‘education’, ‘environment’, and ‘geography’.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광고 모델로서의 ‘가상 인플루언서’ 인식변화 분석 : 언론미디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황서이(Hwang, SeoI),이명천(Lee, Myoung Chun) 한국광고홍보학회 2021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3 No.4

        이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썸트렌드를 활용해 언급량 분석, 연관어 분석, 감성분석을 시도하여 언론미디어와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가상 인플루언서와 관련한 이슈의 미디어별, 시기별 사회적 인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광고 모델로서의 가상 인플루언서 인식변화를 분석하고, 가상 인플루언서 활용에 대한 마케팅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시기적 범위는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8월 15일까지이며, 시기 구분은 가상 인플루언서 로지가 출현한 광고가 처음 출범한 2021년 7월 1일을 그 기준으로 삼았다. 분석결과, 로지의 등장 전에는 가상 인플루언서 관련 기사, 피드, 콘텐츠 정보들이 IT 및 기술, 제품 관점으로 표현되었고, 긍정적인 이미지로 나타났다. 로지의 등장 후, 가상 인플루언서 관련 이슈에 관심이 급증하였고, 관련 기사, 피드, 콘텐츠 정보들이 광고 모델 관점으로 변화하였다. 광고 모델 측면에서 가상 인플루언서에 관한 사회적 인식은 ‘가짜’라는 부정적 이미지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가상 인플루언서 관련 피드나 콘텐츠 정보 등에서 긍정적인 경향이 감소하고, 중립적인 경향이 다소 높아졌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nge in value as an advertising model by attempting text mining related to ‘Virtual Influencers’ as seen in the press and social medi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ometrend developed by Vaiv Company (formerly known as Daum Soft), a Big Data analysis platform with the largest social media data at home, and real-time social media data were analyzed through mentions, relevant keywords, and emotion analysis. Th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synonyms of ‘Virtual influencer’ and ‘Virtual Human’ on Sometrend, and the time range dated from January 1, 2021, when CES 2021, from which the concept of virtual influencer emerged, was first gaining traction, to August 15, 2021, when the virtual influencer ‘Rozy’ was first launched as an advertising message on July 1.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re were many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appearance of the virtual influencer Rozy. Most importantly, there was a spike in the number of mentions of social virtual influencers in the press and social media in July, aligned with the timing of Rozy’s initial public debut. Prior to the appearance of Rozy, virtual influencers had been mentioned in the press and social media in the context of highlighting info tech and related products. However, after Rozy’s first appearance, virtual influencers were increasingly mentioned in the context of brand and advertising models. Lastly, virtual influencers who appeared in the press and social media generally had a positive image. After Rozy’s appearance, however, the positive image of virtual influencers in the press began to wane, and there was a slight increase in their negative or neutral image.

      • KCI우수등재

        인문콘텐츠분야 연구의 경향 분석 :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황서이(Hwang Se-oI),박정배(Park Jeong-Bae),김문기(Kim, Mun-Ki) 인문콘텐츠학회 2020 인문콘텐츠 Vol.0 No.56

        본 연구는 인문콘텐츠분야에 대한 연구경향을 파악하고자 빅데이터 분석방법인 토픽모델링과 의미연결망분석을 활용하였다. 국내 인문콘텐츠분야의 대표적 학술지인 ‘인문콘텐츠’에 수록된 2003년부터 2018년까지 총 622편의 논문명, 주제어, 초록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학계에 나타난 연구토픽들과 토픽 간의 관계, 그리고 토픽의 추세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오픈 소프트웨어인 R과 표준 통계 소프트웨어 SPSS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콘텐츠분야 연구는 ‘문화’, ‘콘텐츠’가 최상위 빈도로 나타났고, ‘문화콘텐츠’, ‘의미’, ‘산업’, ‘개발’, ‘영상’, ‘미디어’, ‘사회’, ‘디지털’ 등의 주요단어가 뒤를 이었다. 둘째, 토픽모델링 분석결과, ‘문화일반’, ‘문화콘텐츠교육’, ‘지역문화’, ‘디지털콘텐츠’, ‘문화교류’, ‘축제/이벤트’, ‘전시/박물관’, ‘게임’ 순으로 총 8개의 연구토픽이 도출되었다. 그 중 인문콘텐츠분야 연구에서 점차 활발히 실시되는 토픽은 ‘지역문화’ 와 ‘문화일반’ 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의미연결망 분석결과, 인문콘텐츠분야 연구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디지털’, ‘문화’, ‘기술’, ‘공간’ 등의 주제어들이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였으며, 6개의 하위구조로 군집화 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및 융합연구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opic modeling based on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humanities contents. This study analyzed ‘Humanities Contents’ which is the representative academic paper in domestic humanities contents field.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the title, thesis and abstract of the humanities contents. For the temporal scope, a total of 622 papers were analyzed from 2003 to 2018. The analysis used open software R program and standard statistical software SP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eld of humanities content, "culture" and "content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Second, Topic modeling analysis revealed eight topics. Finally,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results, key words such as "digital", "culture", "technology", and "space" centered on "contents". And the semantic network structure is clustered into six sub-structur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for convergence research is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