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관련 변인들간의 관계 구조분석

        홍희주 ( Hee Ju Hong ),정정희 ( Chung Hee Ch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교사 자신의 수학교수능력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고 있는 수학교수효능감이 유치원교사의 수학관련 개인경험(경력, 연수경험, 교수횟수), 수학에 대한 태도, 수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어떠한 인과적 관련성을 가지면서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자 하였다. 대구·경북에 소재한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42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4개의 측정모델과 1개의 구조모델이 존재하는 구조회귀모델을 통계적 검증 모델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수학에 대한 태도는 유치원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는 수학교수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수학관련 개인경험(경력, 연수참여, 교수횟수)은 수학교과교육학지식을 매개로 수학교수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Using structural analysis this study explores the kinds of influence that a kindergarten teacher`s individual experience, pedagogical, mathematics content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s have on his/her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26 in-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randomly selected from kindergartens located in Dague-city and Kyung book. The AMOS 18.0. was used to analyzed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reveal that 1) kindergarte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and their attitude toward mathematics has a direct effect upon their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2) kindergarten teachers` attitudes concerning mathematics are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their math teaching efficacy mediated by their pedagogical mathematics content knowledge; 3) kindergarten teachers` individual experiences are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again, this is mediated by pedagogical mathematics content knowledge.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홍희주(Hee-Ju Hong),구혜현(Hye-Hyun Koo)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재학생 354명을 대상으로 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교육에 대한 교육목표, 교육내용, 지도방법 및 지도내용 관련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된 결과에 따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교육의 교육목표 5개 세부 항목 중 「자신에 대한 이해와 존중감을 높인다」에 대한 중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세계평화, 통일, 다문화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사회문화적 가치를 이해한다」에 대한 중요성을 가장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교육의 교육내용 24개 세부 항목 중 「배려」,「기초예절」,「질서」,「책임감」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반면, 「생산성」,「시장과 가격」에 대한 중요성을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교육을 위한 지도방법 12개 세부 항목에 대한 인식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비유아교사는 지속가능발전 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교육을 위한 지원내용 4개 세부항목 중 「교사를 위한 지도서 및 활동자료집」에 대한 중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대학교육과정에 공존교육 관련 과목 개설」에 대한 중요성은 가장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의 공존지향적 유아교육의 확산적 실천을 위해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사회문화적 가치, 환경적 가치, 경제적 가치의 내용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교육과 다양한 지도방법의 활용 등 교육적 지원체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wareness of educational goals, contents of education, guidance method and guidance contents of coexistence orien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for 354 studen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o raise their understanding and esteem of oneself among the five items of educational goals. But they have the lowest perception of understanding various socio-cultural values with an interest in world peace, unification, and multiculturalism among the five items of educational goals. Second,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are , basic mammers , order , and responsibility among the 24 items of education content. But they have the lowest perception of productivity , market and price among the 24 items of education. Third, regarding teaching methods,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12 instructional methods for pre-service teachers. Fourth,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Guidebooks and Activity Books for Teachers among the four details of the contents of coexistence orien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But they have the lowest preception of Opening coexistence courses in college courses . This study suggests. In order to spread coexistence - orien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pre - 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recognize the contents of socio - cultur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values and to utilize various teaching methods.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홍희주(Hong, Hee-Ju),정정희(Chung, Chung-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구성하고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거처 타당화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1?2차 내용타당도, 1?2차 예비연구를 거쳐 377명의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본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도구는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 수학교과내용에 대한 지식, 수학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 학습자에 대한 지식, 전문성개발에 대한 지식의 5개 영역 4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0.955로 매우 높았으며, 각 요인 및 문항에 있어 내적 일관성이 있는 것을 나타났다. 또한 구성타당도, 공인타당도, 재검사 신뢰도 등을 통해 측정도구로서 매우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교사 스스로 자신의 수학교수행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유치원 교사의 수학교수에 관한 총체적 이해를 묻는 도구로 활용되어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research is aimed at searching for the essence and factors, as well as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assessment tools for kindergarte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in mathematics teaching. The assessment tools of kindergarte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will allow the kindergarten teacher to accurately evaluate what area of, and wha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they need to acquire to develop their appropriate mathematics teaching capacit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nd discussions. First, the assessment tools of kindergarte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in mathematics teaching was categorized by five factors; a teacher"s knowledge of curriculum, a teacher"s knowledge of students, a teacher"s knowledge of instructions, a teacher"s knowledge of content, and a teacher"s knowledge of professional self-development. 46 items in these factors were developed. Second, the assessment tool for kindergarte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in mathematics teaching went through general and standardized verification process, and its validity as a tool has been verified. It is hence expected that the assessment tools developed by the research could be used as a cornerstone of initiating further findings of important variables in kindergarten mathematics teaching and also more research in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for appropriate mathematics teach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적립이 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홍희주(Hong, Hee-ju),노정희(Noh, Jung-hee) 한국회계정보학회 2021 회계정보연구 Vol.39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확정급여형 퇴직급여제도를 채택한 기업을 대상으로 퇴직급여적립수준이 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05년부터 2018년까지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국내 상장사 (KOSPI와 KOSDAQ)를 대상으로 퇴직급여채무 대비 사외적립자산의 적립수준과 자본비용 간의 관계를 고정효과 패널분석을 통해 확인한다. 또한 내생성통제를 위하여 2SLS와 연립방정식(3SLS) 방법론을 사용한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당기에 퇴직급여 적립수준이 낮은 기업일수록 차기에 자본비용이 높은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내생성을 통제한 후에도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소 적립 집단일수록, 재무적 제약이 높을수록, 정보비대칭성이 높을수록, IFRS 도입 이후 퇴직연금적립수준이 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강해짐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의 결과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를 운영하는 기업에 대한 가치평가 및 투자의사결정 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defined benefit (DB) pension funding level on the cost of capital. [Methodology] Using financial data of Korean listed companies (KOSPI and KOSDAQ) with DB pension plans from 2005 to 2018, w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nsion funding level and the cost of capital using fixed-effect panel regression analysis. We also employ 2SLS (Two stage least squares) and simultaneous equations (Three-stage Least Squares, 3SLS) methodologies for controlling endogeneity problem. [Findings] Our results show that firms with lower DB funding level tend to have higher cost of capital, and this result is the same even after controlling for endogeneity problem. In addition, we find that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DB funding level and the cost of capital is stronger in firms with lower funding level, higher financial constraint, higher information asymmetry and after the adoption of K-IFRS. [Implications] This study has a contribution to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o investors and market participants when making investment decisions for companies with DB pension plans.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에 따른 수학 교수효능감 차이

        홍희주 ( Hee Ju Ho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의 수준에 따른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대구·경북지역에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32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수학 교과교육학지식은 차이를 보였으며, 학력과 경력이 높은 교사일수록 수학 교과교육학지식의 수준이 높았다.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의 수준에 따라 수학 교수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학 교과교육학지식이 높은 집단의 교사들이 낮은 집단의 교사들보다 수학 교수효능감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수학 교과교육학지식은 수학 교수효능감을 설명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indergarte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lated to the teacher` degree and their number of years of teaching, and to compare the kindergarten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with the lev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results show tha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s affected by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the teacher` degree. Finally, the kindergarte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ffect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의 메타경로분석

        홍희주 ( Hong Hee-ju ),윤미승 ( Yun Mi-se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6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resilience, which has been mentioned as a major variable influencing the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using meta-path analysis. For this purpose, 89 research articles on teaching efficacy-related topic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and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from 2010 to July 2022 were meta-analyzed. The meta-analyzed correlation matrix was used to verify the model of this study, and path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and resilience had a direct effect on teaching efficacy, and job stress indirectly affected teaching efficacy by mediating resilience. This study analyzed the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job stress through a meta-path analysis. Consequently, this meta-analysis is meaningful as it synthes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a path analysis based 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 KCI등재

        군집분석을 통한 보육교사의 컴퓨터 활용유형 분석

        정정희 ( Chung Hee Chung ),허경아 ( Kyung A Heo ),홍희주 ( Hee Ju Ho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K지역 및 D도시의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목적별 컴퓨터 활용 정도와 수준별 과업에 대한 자신감 변인을 투입하여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세 개의 군집이 도출되었고 세 개의 군집은 고활용/고자신감 집단(군집1), 고활용/저자신감 집단(군집2), 저활용/저자신감 집단 (군집3)으로 구분되었다. 세 군집의 유형별로 보육교사의 연령, 경력, 시설유형, 정보화 환경 및 컴 퓨터 사용시간 등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본 결과, 경력을 제외한 학력, 연령, 컴퓨터 사용시간, 블로그 운영 여부 등의 항목에서 군집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컴퓨 터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강구해보는데 기초자료를 제공 하며 컴퓨터를 보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각적인 교사 교육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K-mean cluster analysis of child educators in the Daegu-Gyeongbuk province with the following factors : the degree of computer usage depending on the aims and self-confidence on the level-differentiated tasks. As a result, three groups emerged : the high-usage/high-confidence group(group 1), high-usage/ low-confidence group(group 2) and low-usage/low-confidence group(group 3). After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in age, work experience, facility types, computer usage hours and the level of informationalization of the groups, differences in age, education level, computer usage hours, and blog usage, excluding work experience, emerged between the groups. Child educators who had especially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or higher, below 30 years of age, using computers more than 2~3 times a week, and who ran their blogs, were found to have high degrees of computer usage and high measures of self-confidence.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aid in form a successful measure to enhance the affinity of child educators with regards to computer usage, and to help in the formation of multilateral teacher education programs allowing for the usage of computers in educational settings.

      • KCI등재

        문학과 통합한 미술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창의성과 미술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정희 ( Chung Hee Chung ),이창호 ( Chang Ho Lee ),홍희주 ( Hee Ju Ho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1

        본 연구는 문학과 통합한 미술 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창의성과 미술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에 거주하는 저소득층 아동 58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각각 29명씩 무선배치하였다. 실험집단 아동들은 문학과 통합한 미술활동을 수행하였고 비교집단 아동들은 전통적 표현중심 미술활동을 수행하였다. 아동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Torrance(2002)가 개발한 창의성 검사(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TTCT) 도형 A형과 도형 B형을 사용하였으며, 미술표상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지성애(2001)의 미술표상능력척도를 사용하였다. 측정결과는 다변인공변량분석(MANC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험집단의 창의성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특히, 창의성 하위영역인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 제목의 추상성에 대해 실험집단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미술표상능력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형태, 주제관련 표상정도, 그림의 완성, 표상과 언어의 연계성 등의 하위영역에서 실험집단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를 통해 문학과 통합한 미술 활동은 저소득층 아동의 창의성과 미술표상능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grated literature and art lesson on creativity and art representation skills of th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8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29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and 29 children of control group randomly assigned), who lived in D city. The integrated literature and art lessons were perform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performed the art activities focused on expression. To evaluate the creativity of children, TTCT(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Picture Form A and B developed by Torrance(2002) were used. To measure children`s art representation skill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Evaluation Scale(Chi, Sung Ae, 2001) was used. The data was analyzed by M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sub-factors of creativity such as fluency, originality, elaboration and abstractness of title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art representation skills, especially sub-factors such as various shapes, representation related to theme, completion of drawing, and linking between representation and language. In conclusion, the integrated literature and art lesson showed positive effects on creativity and art representation skills of th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 KCI등재후보

        국내 소아의 표준 식도 길이; 내시경으로 측정한 식도 길이와 신장의 상관관계

        조강호,류일,홍희주,손동우,차한,Cho, Kang Ho,Ryoo, Eeell,Hong, Hee Ju,Son, Dong Woo,Tchah, Ha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5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8 No.2

        목 적: 소아에서 식도의 길이를 예측하는 방법은 많지 않으며 연령을 기준으로 한 이전의 공식은 같은 나이라도 신장과 체중이 다양하여 식도 길이를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저자들은 소아에서 식도의 길이를 예측할 수 있는 기준치를 찾고자 하였다. 방 법: 2001년 3월부터 2005년 5월까지 가천의대 길병원에서 내시경 검사로 내절치부터 위식도 점막 이행부까지의 길이와 신장, 체중을 측정했던 환아 중 식도 열공탈장, 발육 부전, 골격계의 이상, 선천적 기형, 수술을 시행했던 환아를 제외한 262명을 결 과: 1) 전체 262명 소아의 평균 연령은 $9.0{\pm}3.6$세로 생후 2일부터 16세까지였으며, 남아는 130명, 여아는 132명이었다. 2) 대상 소아의 평균 신장은 $132.89{\pm}23.49cm$였고, 내절치부터 위식도 점막 이행부까지의 길이는 평균 $33.34{\pm}5.42cm$였다. 위식도 점막 이행부까지의 길이와 연령, 신장, 체중과의 상관관계 중 신장이 가장 상관관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Pearson correlation=0.944). 3) 이를 바탕으로 식도 길이의 예측 공식으로 [식도 길이=4.419+($0.218{\times}$신장)]을 산출하였다(p=0.000, $R^2=0.891$). 결 론: 소아에서 식도의 길이는 신장과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예측치가 가장 정확한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ere have been a few data about esophageal length in children and previous data are improper for application to various procedures. Because of the variability in height and weight of each the individuals especially in children, measurable external parameters are needed. Methods: We measured distance from upper incisor to esophago-gastric junction using a flexible endoscope and compared these data with age, height and weight in 262 children who underwent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Results: The mean age was $9.0{\pm}3.6year$ (from 2 days to 16 year of age), mean height was $132.89{\pm}23.49cm$ and mean length from upper incisor to esophago-gastric junction was $33.34{\pm}5.42cm$. Correlation between distance from upper incisor to esophago-gastric junction and height was the mostly predictable indicator of the esophageal length (Pearson correlation=0.944). We propose a formula [Esophageal length=4.419+($0.218{\times}height$)] as a indicator of the esophageal length (p=0.000, $R^2=0.891$). Conclusion: The esophageal length in children and for application to various procedures can be reliably predicted by using the he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