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틀 이동무선통신을 위한 위상일주파수 혼합 변조방식에 관한 연구

        홍현성,조성준,김원후 한국통신학회 198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11 No.2

        본 논문에서는 이동 무선 통신을 위한 새로운 변조 방식인 디지털 위상-주파수 혼합 변조 시스템(digital phase-frequency hybrid modulation system, PFSK)을 제안하고, 이 신호가 m~분포 페이딩 채널을 통과할 경우의 시스템의 오율 및 중단율에 관한 일반식을 구하였다. 특히 레일리 페이딩에 대해서는 다이버시트 수신 기법을 이용하였을 경우의 시스템의 오율 및 중단율에 관한 일반식을 유도하였다. 유오된 오율식에서 반송파 전력 대 잡음 전력비(CNR), 페이딩 지수, 다이버시티 branch의 수, branch사이의 상관 계수를 파라미터로 수치 계산을 하여, PFSK 시스탐과 같이 심볼 전송을 하는 QDPSK시스템의 성능을 오율 및 중단율의 측면에서 비교 평가하였다. 해석 결과, 강한 페이딩하에서는 PFSK시스템이 QDPSK 시스템에 비해 오율 특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다이버시티 기법을 사용하므로써 시스템의 성능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the new modulation system, the digital phase-frequency hybrid modulation system is proposed for mobile radio communications. The error rate and the outage equation of PFSK(Phase-Frequency Shift Keying)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ading channel has been derived considiering deversity techniques. The error rate and the outgae rate performances of PFSK system have been evaluated and shown in figures in terms of carrier-to-noise power ratio(CNR), fading figure, numbers of diversity branches,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the diversity branches. And the performance of PFSK system is superior to that of QDPSK system. And by using diversity techniques, system performances can be improved 13dB above in CNR.

      • KCI등재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옛한글 소설의 자료 현황 연구

        홍현성 동양고전학회 2022 東洋古典硏究 Vol.- No.89

        이 글은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옛한글 자료 가운데 2001~2011년 기탁 분을 개괄하고 옛한글 소설의 자료 현황과 특징적 작품을 살펴본 것이 다. 한국국학진흥원은 600,000점에 달하는 고문헌을 소장하고 있다. 소 장자료 대부분은 경북 소재(所在) 명문가에서 기탁받은 것이다. 이 가운 데 옛한글 고문헌은 7,000여 점에 달한다. 옛한글 고문헌은 기탁 문중에 서 생산 및 향유한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옛한 글 고문헌은 이용 및 향유 주체를 비교적 선명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옛한글 소설은 101종 153책이다. 한국국학진흥 원 소장 고문헌 가운데 아주 적은 수량이지만 자료적 가치는 작지 않다.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옛한글 소설은 조선시대 사족(士族) 집안의 소설 향유 양상에 접근할 첩경(捷徑)으로 삼을 수 있다. 이 글은 101종 옛한글 소설 가운데 아직 학계에서 논의되지 않은 근대소설 『문기화』와 고소설 『물산의』를 살폈다. 『문기화』는 필사본은 아 니지만, 소장자료의 다양성을 보여줬다. 『물산의』는 문화사적 의의가 큰 자료였다.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19세기 후반까지 경북 선비 집안 여성 사이에서 이어진 고소설 필사 전통을 보여줬다. 둘째, 옛한글 문헌이 가장(家藏) 문헌의 위상을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줬다. 셋째, 19세 기 후반 고전소설의 전변 과정을 보여줬다. This article would have summari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materials of old Korean novels stored in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and secured their cultural historical significance.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has a collection of 600,000 old documents. Most of the old documents were deposited by prestigious families in Gyeongsangbukdo. Among them, there are about 7,000 old Korean texts. Most of the old Korean literatures in the collection of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were produced and enjoyed by the family that deposited the relevant literatur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latively clearly grasp the subjects who enjoyed and used old Korean literature. There are 153 books of 101 types of old Korean novels in the collection of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This is a very small number among the old documents in the collection of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However, its material value is not small. As mentioned earlier, it is because the enjoyment layer can be identified relatively clearly. Therefore, by analyzing the old Korean novels owned by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it is possible to secure a shortcut to approach the novel enjoyment of noble families in the Joseon Dynasty. Among the 101 types, the work called ‘Mulsanui’ has great cultural significance. First, it shows the tradition of transcribing classic novels that continued among women from scholar families in Gyeongsangbuk-do until the late 19th century. Second, it shows the process by which old Korean literature acquires the status of literature to be kept and passed down in the family. Third,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classical novel in the late 19th century can be confirmed.

      • KCI등재

        낙선재본 고전소설의 여성 한시 학습서 성격 연구 - 『명행정의록』을 중심으로 -

        홍현성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 장서각 Vol.- No.49

        This article examines the nature of Chinese poetry workbooks for women in classical novels of Nakseonjae. Among the Saga novels of Nakseonjae, Myeonghaengjeonguirok contains about 170 Chinese poems, unlike its previous work. The Chinese poems in Myeonghaengjeonguirok are read and translated, like those for women in the Joseon Dynasty. Most of the presented Chinese poems have sources and they were set as the main character of the Myeonghaengjeonguirok. The presented Chinese poetry was either from a famous poetry collection or the works of literary persons. Therefore, female readers could acquire refined poetic language through the masterpieces. In addition, the materials, themes and situations of Chinese poetry in the work are closely linked. Readers can enhance their discernment about the contents of the masterpieces by reading the originals, their translations and the scenes surrounding them. The Chinese poems in this novel show the following aspects of the cultural history of female Chinese poetry. First, they show that a considerable level of Chinese poetry was taught to women. Second, the purpose of teaching women poetry was to learn them poetic language and improve their discernment about poetry rather than the history of Chinese poetry. Third, poetry writing was treated as one of artistic means to promoting family harmony. Fourth, masterpiece novels of Nakseonjae were a useful tool to acquire knowledge. Among the great novels of Nakseonjae, Myeonghaengjeonguirok has great significance as a female reading material, which accurately reflects the cultural and historical change of the time, such as women’s increased passion for reading Chinese poetry and the culture of enjoying Chinese poetry in families. 이 글은 낙선재본 대장편소설의 여성 한시 학습서 성격을 살펴본 것이다. 낙선재본 대장편소설 가운데 『명행정의록』은 이전 작품과 달리, 170여 수의 한시를 제시했다. 『명행정의록』 속 한시는 조선시대 여성을 위한 한시 번역서처럼 원문 독음과 번역을 함께 제시했다. 제시된 한시 대부분은 출전이 있지만, 작중 주인공 소작으로 설정되었다. 제시된 한시는 시선집 소재 名篇이거나, 詩壇을 주도했던 문인 소작이었다. 또한 시의 소재, 주제와 작중 상황은 상호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독음과 번역문, 작중 장면을 조합해 명편의 내용을 깊이 있게 파악함으로써 독자는 정련된 시어를 습득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감식안 또한 증진할 수 있다. 『명행정의록』 속 한시는 다음과 같은 여성 한시 문화사의 단면을 보여주었다. 첫째, 여성에게 상당한 수준의 한시를 교육했다는 사실을 보여줬다. 둘째, 漢詩史보다는 시어 학습과 감식안 증진을 목적에 두었다는 사실을 보여줬다. 셋째, 詩作이 가족의 화목을 도모하는 小技의 하나로 취급되었던 사실을 보여주었다. 넷째, 여성독자가 한시를 포함해 다양한 지식을 갖추는 데 낙선재본 대장편소설이 유용한 도구가 되었던 사실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낙선재본 대장편소설 가운데 『명행정의록』은 여성 한시 학습서 성격을 지니며, 여성 한시문화와 관련하여 가문 내 한시 향유 문화 및 여성의 한시 수요라는 당대 문화사적 轉變을 적확히 드러내는 독서물로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보은기우록> 속 아버지 모습과 문제적 父性의 의미

        홍현성 돈암어문학회 2017 돈암어문학 Vol.32 No.-

        This study examines Wi Jideok and Baek Yang in <Boeungiwoorok>. As a task for it, this author looks into the meaning of fatherhood. <Boeungiwoorok> takes father Wi and father Baek with no maternal instinct as its background. It talks about two fathers equipped with problematic fatherhood. Wi Jideok’s fatherhood is realized through violence. Wi Jideok beat his son, Wi Yeoncheong, severely almost to death. Baek Yang tried to teach his daughter, Baek Seungseol, about benevolence. He ordered the guard to treat the prisoner properly. The prisoner escaped from prison, and Baek Yang went into exile. After this incident, Baek Seungseol had to be in trouble. Although Wi Jideok and Baek Yang’s fatherhoods seem different, they are the same as a matter of fact as both are losing their balance. Wi Jideok’s fatherhood formed a cause of conflict as he lost his balance between loving his son and having to teach him. Baek Yang’s fatherhood lets us know the fatherhood Wi Yeoncheong is going to have later analogically. Baek Yang adhered to poor but honest living, and this was the same in Wi Yeoncheong’s life. Yet, Baek Yang’s daughter, Baek Seungseol, was prearranged as Wi Yeoncheong’s spouse. It means that the fatherhood Wi Yeoncheong is going to be equipped with will be in balance through Baek Seungseol unlike Baek Yang. Wi Jideok’s problematic fatherhood exhibited in the situation of having no spouse reveals the roles of a mother who tries to keep balance between the father and son. Baek Yang’s fatherhood shown where there is no spouse reveals the roles of a mother as a father’s adviser. <Boeungiwoorok>employs the absence of a mother and problematic fatherhood as devices to tell us the roles and importance of a mother. 이 글은 <보은기우록> 속 가부장 위지덕과 백양을 검토해 부성의 양상과 의미를 살폈다. <보은기우록>은 어머니가 不在하는 위부와 백부를 배경으로 삼아 각각 위지덕과 백양을 가부장으로 내세웠다. 위지덕이 지닌 부성은 폭력으로 구현되었다. 위지덕은 아들 위연청을 목숨이 위태로울 만큼 심하게 때렸다. 백양은 딸 백승설에게 慈愛를 가르치려고, 옥졸에게 죄수를 대우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로써 죄수는 모두 달아났고 백승설은 고난에 처했다. 두 아버지가 지닌 문제적 부성은 서로 다른 서사 기능을 지녔다. 위지덕이 지닌 부성은 父情과 父敎 사이 균형을 잃으며 갈등을 촉발하는 主因이 되었다. 백양이 지닌 부성은 위연청이 앞으로 지닐 부성을 類比했다. 백양은 淸貧主義, 善政主義를 고집했고 위연청도 같았다. 다만, 백승설이 배우자로 예정되어 위연청이 지닐 부성은 丈人 백양과 달리 균형을 갖출 것이란 사실을 예고했다. 어머니가 부재한 상황에 나타난 아버지 위지덕의 문제적 부성은 아버지와 아들 사이 균형을 맞추는 어머니 역할을 드러냈다. 역시 어머니가 부재한 상황에서 나타난 백양의 문제적 부성은 조언자로서 어머니 역할을 드러냈다. <보은기우록>은 어머니 역할과 그 중요성을 드러내기 위해 어머니 부재 상황과 문제적 부성, 이에 따른 자식의 고난을 설정했다.

      • KCI등재

        雁鴨池 출토 14면체 목제 주사위 놀이 방식 연구

        홍현성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4 한국문화 Vol.66 No.-

        This article examines 14-face dice play rules found from Anapji. They played with a 14-face dice at the banquet during the Silla Period, and it had the following rules: first, they appointed a host for it. And the appointed host selected the play that the guests could enjoy together and emceed the game. At this time, the person who could not follow the drinking rules of the game at the party properly had to throw a 14-face dice. 14 instructions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procedures. First, as they literally meant, the instructions in the group had to be completed immediately. And the instructions are JunginjeongbiㆍYangjanjeukbangㆍSamjanilgeoㆍYubeomgonggwa. Second, this group highly depends on Noksa’s judgment. And those instructions are GongyeongsigwaㆍJachangjaeumㆍJachanggoeraemanㆍWolgyeongilgokㆍGokbijeukjinㆍChumulmakbang. When one of these six instructions was gained, Noksa intervened with it actively and evaluated what the dice thrower had done. If the dice thrower could not fulfill the penalty properly, Noksa added penalty throwing. Third, this group relies on the audience’s responses, and they include Eumjindaeso, Imuicheongga, Geumseongjakmu, and Nongmyeongonggwa. When one of these four instructions was gained, Noksa judged whether it had been completed or not considering the audience’s responses.

      • KCI등재

        <詞場白戰誌> 硏究

        홍현성 한국고소설학회 2008 古小說 硏究 Vol.25 No.-

        <Sajangbackjunji> which is intended to deal in this study is allegorical novel of lockjeo Juchun Lee(1662~1711). <Sajangbackjunji> was reported to academic world by Yunsu Kim as a work which haven’t discussed until now. <Sajangbackjunji> is making progress fabricated narration through character that was really existed and show feature of novel equipped with various literary style and detail description about event. With this together, literary theory of author through narration equipped with feature of allegory by allegoriz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aning and feature of allegory novel of <Sajangbackjunji>. This manuscript made a progress the following discussion with having a critical mind. First of all, look into feature of confrontation of character and nation. As previously stated, confrontation between character and nation was a process selecting the most upright literature to represent actual literature genre. And then meaning of confrontation was discussed based on character of the country of the emperor. If confrontation regarded as sort of phase for the appearance of the emperor, the nation which wins a victory can be the most reasonable literature. After that, look into method making fiction. <Sajangbackjunji> is allegory but application of episode contained in the image of character can be discussed separately with feature of allegory. Image of character is under the history, but some part has changed for narration development, and also episode of history remained basic feature but changed according to function within the narration. This is result and feature of novel considering fun of description. For the last, this discussed characteristic of literary style. Many Chinese poem and property and manifesto were used in <Sajangbackjunji>. There is a possibility of seeing with one of the writing method delivering theme effectively by combining allegory and novel feature. 17세기 한문소설은 제한된 향유층에도 불구하고 전대 서사 양식을 발전적으로 계승하는 한편 다양한 창작 방법론을 모색해 이후 소설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본고에서 다루려는 <詞場白戰誌>는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를 산 洛渚 李柱天(1662~1711)의 한문 우언소설이다. 김윤수에 의해 학계에 보고됐으나 현재까지 본격적으로 논의되지 않고 있다. <詞場白戰誌>의 가장 큰 특징은 우언 소설이란 점이다. 제명에서도 우언의 형식을 갖춘 소설임을 알 수 있다. ‘詞場’ㆍ‘白戰’은 작품 내 갈등을 文壇의 그것으로 독해하게 하며, ‘白戰’의 기록으로서 ‘誌’는 당대에 유행한 소설 ‘三國誌’ㆍ‘水滸誌’의 양식을 상기시킨다. 본고는 <詞場白戰誌>의 이러한 복합적 면모와 작품의 특성을 다각도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詞場白戰誌>의 寓言은 삽화에 그치지 않고 창작 원리로서 작품의 기본성격을 규정한다. 더불어 허구의 면모라 할 수 있는 인물의 형상과 대결의 전개는 문예론의 우의보다는 다분히 흥미본위로 점철된 면이 강하다. 인물의 담화를 통해 작자의 의론을 짐작할 수 있지만, 도술과 비방이 난무하는 전투의 양상은 정치한 문예론과 일정한 거리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다음의 순서로 논의했다. 첫째, 인물ㆍ국가의 대결 양상을 살폈다. <詞場白戰誌>에는 대결과 승패가 거듭 나타나므로 그 양상을 분석해 우언의 면모를 설명했다. 둘째, 覇者국의 성격을 중심으로 대결과 승패 의미에 대해 논의했다. 대결의 구도는 覇者의 등장을 위한 포석이다. 覇者國은 동중서의 나라로 이는 이주천이 생각한 가장 이상적 문장이라 하겠다. 셋째, 허구화의 양상을 살폈다. 인물의 형상은 역사의 음영 아래 있으면서도 서사 전개를 위해 일정 부분 윤색됐다. 또 전고 역시 기본 골격은 유지되나 서사 내의 기능에 따라 변개됐다. 이는 흥미를 염두에 둔 결과다. 넷째, 글쓰기 전략을 논의했다. <詞場白戰誌>에는 다수의 삽입문예문과 擬作 그리고 다양한 문체가 사용됐다. 이는 작가가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려 한 의도며, 독서물로서 <詞場白戰誌>의 독특한 면모를 보여준다.

      • KCI등재

        <取勝樓> 국적 연구

        홍현성 한국고소설학회 2014 古小說 硏究 Vol.38 No.-

        Nationality of <Chuiseongru> was suggested as Joseon(Korea) or China from the impression for 70 years since 1940. This thesis clarified the fact that <Chuiseongru> is a creation novel of Joseon based on the contents. The grounds identified by this thesis are as follows. <Chuiseongru> imitated the expression, setting and illustration of our novel. Target works of imitation are <Guwunmong> <Janghwa Hongryeon jeon> <Sukhyangjeon>. Among them, <Guwunmong> had lots of influence on many parts of <Chuiseongru>. In addition, <Chuiseongru> utilized <Yuijeon> <Samgukji> <Suhojeon>. The writer of <Chuiseongru> seemed to utilize the novels of Joseon and China. In the mean time, <Chuiseongru> reflected the status of Josen and inherited the narration tendency of epic novel. “Younggotaphoeguiseol(寧古塔回歸說)” “Hostility to Buddhist Nun” and “Myeonshinrye” reflected the status of Joseon. In addition, “Myeonshinrye” “Training of Seondo(仙道) of Women’ corresponded to the narration tendency of epic novel. Accordingly, <Chuiseongru> must be the creation novel of Joseon. 본고는 <取勝樓>가 조선 창작소설이란 사실을 밝혔다. <취승루>는 1940년부터 국적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본고는 우리 작품의 모방, 조선 실태의 반영, 대장편소설 서사 경향의 계승을 근거로 들어 <취승루> 국적을 조선으로 비정했다. <취승루>는 <구운몽> <숙향전> <장화홍련전>을 모방했다. 우리 인기작의 표현과 삽화를 모방했다는 사실은 <취승루>를 조선 창작소설로 볼 근거였다. <취승루>는 <구운몽>을 베끼는 데 그치지 않고 ‘다시 읽기’를 통해 제시했다. 이 과정에 <구운몽> 삽화는 인물의 엄중한 성격을 드러내거나 龍女의 수절을 돕는 내용으로 윤색되었다. 또 <취승루>는 조선 실태를 반영했다. ‘영고탑회귀설’로 볼 발언이 나오는가 하면, 여승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나타났다. 여타 대장편소설과 마찬가지로 면신례로써 인물 성격을 부각했다. 따라서 <취승루>는 기존 우리 고전소설을 모방하면서 작품 곳곳에 조선 실태를 반영한 조선 창작소설이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