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16S와 23S rRNA에 결합하는 probe를 이용한 겨울철 소양호 세균 군집 구조의 분석

        홍선희,변명섭,안태석,Hong, Sun-Hee,Byeon, Myeong-Seop,Ahn, Tae-Seok 한국미생물학회 1997 미생물학회지 Vol.33 No.4

        겨울철 소양호에서 세균 군집 구조를 파악하고자 총세균수와 EUB338, ALF1b, BET4a, GAM42a와 CF probe 등 fluorescent rRNA targeted oligonucleotide probe 와 반응하는 세균 개체수를 수심별로 측정하였다. 총세균수는 $0.7{\times}10^6{\sim}1.1{\times}10^6cell{\cdot}ml^{-1}$이였으며, 5 m와 10 m 수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세균수에 대한 Eubacteria의 비율은 34~90%이였으며, 5 m와 10 m에서 낮게 나타났다. Proteobacteria ${\alpha}$-group은 Eubacteria의 10.8-28.7%, ${\beta}$-group은 4.5-53.5%, ${\gamma}$-group은 4.9-35.5%, 그리고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은 6.1-21.1%이였다. 0-5 m 수심에서는 ${\beta}$-group이 28.6-53.5%로 우점하고 있었으며, 10 m에서는 ${\gamma}$-group이 35.5%로 우점하였다. 30, 50 m 수심에서는 ${\alpha}$-group과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이 우점하였다. 세균 군집 구조로 보면 0-2 m, 5-10 m 그리고 30-50 m의 3개층은 각각 독특한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 방법으로 호수 생태계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To scrutinize the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of Lake Soyang in winter, bacterial numbers belonging to Eubacteria, Proteobacteria and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 were estimated by using 16S and 23S rRNA targeted oligonucleotide probes. Total bacterial numbers ranged from $0.7{\times}10^6$ to $1.1{\times}10^6cells{\cdot}ml^{-1}$, and vertical profile of total bacteria showed a peak at 5 m depth. The ratio of eubacteria to total bacteria were 34~90% and at 5 m and 10 m depths those were low exhibiting, 39 and 34%,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proteobacteria ${\alpha}$-group ranged 10.8~28.7%, ${\beta}$-group 4.5~53.5%, ${\gamma}$-group 4.9~35.5% and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 6.1~21.1%. The dominant groups were ${\beta}$-group at 0, 2 and 5 m, ${\gamma}$-group at 10 m, ${\alpha}$-group at 30 m and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 at 50 m depth. In winter season, Lake Soyang can be divided into three layer, 0~2 m, 5~10 m and 30~50 m, by the bacteria community composition. By this method, new informations about aquatic ecosystem were developed.

      • 초여름이 꽃피운 화과자-알싸한 꽃향기 가득한 초여름 선물

        홍선희,Hong, Seon-Hui 대한제과협회 2005 베이커리 Vol.6 No.-

        눈부신 햇살이 창가에 스며들고 싱그러운 이파리가 짙은 초록빛으로 물들어가는 초여름 오후, 각양각색의 꽃들이 탐스럽게 활짝 피어서 온 세상을 꽃향기로 가득 채운다. 꽃향기에 알싸하게 취하게 하는 화과자 스다레, 셋빼분홍장미, 나팔꽃, 봄정원의 풍경, 목단 등을 만들어 본다.

      • KCI등재

        Acrylic Resin에 혼합된 Polyphosphate가 미생물의 부착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홍선희,최영철,Hong, Sun-Hee,Choi, Yeong-Chul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1

        자가중합형 아크릴릭 레진에 polyp를 혼합하지 않은 대조군, 그리고 레진 분말에 대한 polyP(사슬길이 13과 18의 혼합물인 Calgon)의 무게비를 1%로 혼합한 polyP 1%군, 2% 혼합한 polyP 2%군 및 3% 혼합한 polyP 3%군으로 분류하여 경화시킨 후, 경화된 각각의 레진과 실험균주 S. mutans GS5, S. sobrinus 6715, S. gordonii G9B및 Challis, 그리고 P. gingivalis 2561과 Candida albicans ATCC90027을 대상으로 레진표면에 대한 미생물들의 부착의 정도, 성장 억제효과 및 접촉각의 변화를 관찰하여 그 결과로 미루어 아크릴릭 레진에 포함된 polyP는 구강 미생물에 대해 직접적으로 강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되나 미생물의 부착 특히 우식원인균인 mutans streptococci의 부착을 방해하는 것으로 가늠되며, 이는 polyP의 첨가에 의한 아크릴릭 레진 표면에서 일어난 소수성의 변화가 일부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PolyP가 혼합된 아크릴릭 레진의 장착은 일반적인 아크릴릭 레진으로 제작된 가철성 장치를 장착한 후 나타날 수 있는 우식 이환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new way of self-curing acrylic resin,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polyphosphate, Calgon, which is known to be antimicrobial and safe. For the study, polyphosphate(polyP) was blended with acrylic powder and devided into four groups as follows: no polyP(control), 1% polyP, 2% polyP, and 3% polyP. For the experiment, Streptococcus mutans GS5, Streptococcus sobrinus 6715, Streptococcus gordonii G9B and Challis, Porphyromonas gingivalis 2561, and Candida albicans ATCC 90027 were used. Resin specimens in each group were tested in vitro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effect of polyP on the microbial attachment, growth and hydrophobicity of the resin surfa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olyP added to the acrylic resin decreased attachment of S. mutans GS5, S. sobrinus 6715, S. gordonii G9B. The greater binding inhibition was found in acrylic resin polymerized with polyP at higher concentrations. 2. The addition of polyP to acrylic resin failed to significantly affect the growth of the tested microorganisms. 3. The addition of polyP to acrylic resin seemed to reduce hydrophobicity of the acrylic resin. PolyP in acrylic resin does not seem to exert a direct antibacterial activity, but rather inhibit attachment of oral bacteria, especially mutans streptococci to saliva-coated acrylic resin. The acrylic resin reduces attachment of streptococci may be due to the decreased hydrophobicity caused by polyP added to the resin. PolyP may be included to acrylic resin to inhibit dental caries which often occurs when removable acrylic resin appliance is placed.

      • SCOPUSKCI등재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방법으로 분석한 소양호 세균 군집 구조의 계절적 변화

        홍선희,안태석,Hong, Sun-Hee,Ahn, Tae-Seok 한국미생물학회 1998 미생물학회지 Vol.34 No.3

        소양호에서 세균군집의 계절적, 수심별 변화를 파악하고자 총세균수와 EUB338, ALG1b, BET42a, GAM42a와 CF probe 등 fluorescent rRNA target oligonuvleotide probe와 반응하는 세균 개체수를 측정하였다. 총세균수는 $0.5{\sim}2.01{\times}10^6cells{\cdot}ml^{-1}$이였으며, 2 m와 5 m 수층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세균수에 대한 Eubacteria의 비율은 22~100%이였고, Proteobacteria ${\alpha}$-group은 Eubacteria의 2.6~66.7%, ${\beta}$-group은 4.5~53.5%, ${\gamma}$-group은 4.6~76.7%, 그리고 Cytophage-Flavobacterium group은 2.1~35.9%이였다. 또한 세균군집은 계절별, 수심별로 다양한 변화를 보여, 겨울철은 ${\beta}$-group이, 봄철과 초여름은 ${\gamma}$-group이, 여름철은 ${\alpha}$-group이 우점하였고, Cytophage-Flavobacterium group이 특정적으로 우점하는 시기는 없었다. 이러한 세균 군집 구조의 분포로 계절별, 수심별로 호수에 대한 독특한 특징을 알 수 있었다. To define the structure and diversity of bacterial communities in the aqutic ecosystem, Lake Soyang, the largest artificial reservoir in Korea, a new method,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was applied. This technique relies on the specific hybridization of the nucleic acid probes to the naturally amplified intracellular rRNA. By this method, the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 of Lake Soyang and bacterial numbers belong to eubacteria, proteobacteria and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 were estimated. Total bacterial numbers ranged from $0.3{\times}10^6{\sim}2.0{\times}10^6cells{\cdot}ml^{-1}$, and vertical profile of total bacteria showed the peak at 2 and 5 m depths. The ratio of eubacteria to total bacteria were 22~100% and varied with depth and season. The percentage of Proteobacteria ${\alpha}$-group ranged 2.6~66.7%, ${\beta}$-group 4.5~53.5%, ${\gamma}$-group 4.6~76.7% and Cytophaga-Flavobacterium group 2.1~35.9%. Also, bacteria] community had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The dominant groups were ${\beta}$-group in winter, ${\gamma}$-group in spring and early summer and ${\alpha}$-group in summer.

      • KCI등재

        색 어휘 голубой, синий의 의미

        홍선희(Hong Seon-hui) 한국노어노문학회 2021 노어노문학 Vol.33 No.4

        색의 속성은 빛의 프리즘을 통한 물리적 현상으로서, 사람들은 시각적으로 동일하게 색을 지각하지만, 실제로 색은 매우 주관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색을 인지하고 어휘화하며 속성을 부여하는 측면에서 이러한 주관성은 두드러지는데, 그 예로 파란색과 하늘색을 들 수 있다. 영어를 비롯한 몇몇 유럽어에서 파란색과 하늘색의 어휘는 차별화되지 않는 반면, 러시아어는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파란색과 하늘색에 대한 상이한 어휘를 사용한다. 그렇다면 분명히 이 두 가지 색은 언중들에게도 상이한 지각적 특성과 그에 따른 주관적 평가를 지님에 분명하다. 본 논문은 어두운 파란색의 색 표지인 синий와 밝은 파란색의 색 표지인 голубой의 의미적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 두 색은 시각적으로는 비슷하지만, 전이적 의미에서는 다른 평가를 가진다. голубой는 밝음, 고귀함, 바람직함 등의 긍정적인 뉘앙스를 가지지만, синий는 부정적인 의미의 관용구에서 사용되거나, 구어에서는 ‘술에 취한’의 의미로 사용된다. 이러한 차이는 이 두 색상에서의 빛의 유무와 관련이 된다. синий는 빛이 없는 어두운 색을 지시하는 반면 голубой는 빛이 있는 하늘색을 의미하기 때문에, 빛이 가지는 긍정적 속성을 의미에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색 의미의 차이는 그 색이 대표적으로 지시하는 자연대상과의 연관성에서 비롯한다. синий는 물을 그 원형적 지시대상으로 삼고 있는 반면 голубой는 하늘의 색을 우선적으로 지시한다. 따라서 물과 하늘이 지니는 속성이 어휘의 의미에 그대로 반영되면서, 은유적, 환유적 작용에 의해 새로운 의미로 전이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의미적 차이는 번역에서, 특히 관용구를 차용할 때 러시아어 어휘를 선택하는 기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러시아어 색채어의 전이적 의미

        홍선희(Hong Seon-hui) 한국노어노문학회 2020 노어노문학 Vol.32 No.4

        본 논문은 색채어의 전이적 의미와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가치평가적인 측면을 살펴보았다. 색채어는 색의 스펙트럼과 관련된 물리현상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그 외의 다른 의미로 확장되어 사용되기도 하며, 이와 연관된 평가적인 의미도 내포하게 된다. 이는 객관적인 물리현상인 색 속성, 그리고 색이 지시하는 원형에 대해 인간의 감정적, 연상적 측면이 개입하기 때문이다. 이때 색채어는 일정한 가치평가적 의미로 확장될 수도 있고, 혹은 그 색의 원형에서 비롯한 새로운 속성만을 나타내기도 한다. 예컨대 белый, красный의 ‘좋은’이라는 전이적 의미와 чёрный의 ‘나쁜’의 전이적 의미는 이미 가치평가적인 의미를 획득한 것으로 보이고, зелёный가 ‘미성숙한’, ‘친환경적인’이라는 의미로, серый가 ‘흔한, 재능 없는’의 의미, голубой가 ‘빛나는’, ‘비현실적인’의 의미로 쓰이는 경우는 아직 일정한 가치평가는 없지만, 이 색의 원형적인 지시체에 대한 일정한 감정적 평가가 내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색채어의 전이적 의미는 현재 은어에서도 계속 새롭게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белый는 긍정적 가치에서 비롯한 ‘질 좋은’을 의미하고, 부사형태 фиолетово는 ‘관심 없다’는 의미를 지닌다. 새롭게 등장한 이러한 의미 역시 색의 원형적 지시체에 대한 인간의 주관적 평가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색채어가 일차적인 색 속성의 의미뿐만 아니라, 색에 대한 일정한 주관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하여 가치평가적인 의미로 전이되고 있고, 이러한 과정은 은어에서 여전히 진행되고 있음을 예시를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 KCI등재

        러시아어에서 남성어/여성어의 변별적 특성

        홍선희(Hong, Seon Hui) 한국노어노문학회 2014 노어노문학 Vol.26 No.1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남성/여성의 직업, 취미, 생활습관, 사회경제 제도 등을 바탕으로 한 일정한 성 스테레오타입이 만들어졌다. 이러한 성 스테레오타입은 우리의 의식에도, 또한 언어에도 자연스럽게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과거의 남성중심주의 사회에서 비롯된 성 스테레오타입에 의하면. 남성은 지배적, 능동적인 긍정적 특성을, 여성은 수동적, 감정적인 부정적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묘사된다. 언어가 세계를 규정한다는 측면에서 이러한 비대칭적인 성 스테레오타입은 언어에서도 자연스럽게 표현된다. 비록 현대사회에서 여성들의 입지가 강화되고 페미니즘 운동의 영향으로 많은 성적 비대칭이 사라지고 있지만, 그래도 여전히 언어에서는 부정적 여성상이 남아있다. 본 논문은 새로운 현상이 가장 빨리 반영되면서 동시에 규범성도 어느 정도 유지되는 대중매체 언어에서 이러한 성 스테레오타입의 표현을 살펴보았다. 여성은 약하고 수다스럽고 지적 능력이 떨어지는 반면, 남성은 논리적이고 사회활동을 잘 한다는 스테레오타입은 동물을 통한 비유적 언어수단에서, 그리고 баба로 대표되는 여성의 비유적 표현에서도 여전히 나타난다. 게다가 문법적 여성형 명사가 지니는 부정적 뉘앙스는 여성형 명사의 사용이 비규범적인 것으로 여겨지게 했다. 이러한 특성은 직업 명칭의 사용에서도 나타난다. 러시아가 자본주의 체제로 전환하면서 새로운 직업이 생겨나게 되었고, 이에 따른 새로운 직업의 명칭은 외국어에서 차용됨과 동시에, 이 남성형 명사에서 여성형 명사도 자연스럽게 파생되었다. 그러나 남성형 직업명칭 명사가 규범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신조어 직업명칭에서 여성형 명사는 그 능력보다는 외모, 떨어지는 지력 등을 나타내는 형용사와 함께 쓰여 여전히 여성형에 대한 부정적 뉘앙스를 지닌다. 남성/여성의 발화에서도 이러한 스테레오타입은 여전히 발화 전략으로 기능한다. 본 논문에서는 발화동사와 직접화법의 사용정도, 논쟁성을 지니는 소사 же의 사용정도를 살펴보고, 상대방의 이해를 구하는 여성의 발화전략, 남성의 우위 선점적 발화전략을 연결시켜 보았다. 그러나 소통에서는 성뿐만 아니라 나이, 직업, 교육 등의 변수에 따라, 그리고 해당 문맥에 따라 그에 알맞은 수단이 선택된다. 따라서 이러한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차후 필요할 것이다. The study investigates the gender specific uses based on gender stereotypes in the material of Russian mass media texts. Previous studies shedded light on the gender-stereotypes, according that, men are more active and dominant whereas women are more passive and dependent on men. Although in the last years the positions of women are uprising in society and economics, such negative stereotypes about women are still remains in language. This paper attempts to describe the gender asymmetric expressions and to correlate them with the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pragmatic communitive strategy. Firstly, this paper presents the metaphoric use of the word БАБА meaning "women" and the word ЛИСА implying "slyness" and finds out the gender asymmetric use of language. БАБА designates a week, passive male, and ЛИСА implies slyness only for male, whereas for female, it presents the similarity between female"s and fox"s appearance. Secondly, it is known that the morphological feminine forms have the negative meaning nuances. The study describes the use of the feminine grammatical words meaning the professions and their negative nuances. Finally, it presents the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communitive strategy, examining the frequency of speech verb ГОВОРИТЬ and the particle же. The paper attests these communitive strategy: Men prefers to be the upper position rather than women, while women assure their speech by using the evidential means like direct speech and speech ver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