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주부 참여가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홍민희,남태우,Hong, Min-Hui,Nam, Tae-Woo 한국비블리아학회 200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문화프로그램에 주부들이 참여함으로써 가족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참여 주부들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주부 참여가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23개의 설문항목을 통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이것을 기반으로 공공도서관의 주부대상 문화프로그램의 활성화 및 더 유용한 문화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삼고자 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how the housewives' participations of a cultural program that has carried out in a public library influence on their families. So I investigated and analyzed that influences through the research questionnaires to those housewives in Seoul, Kyoung-Ki and In-Cheon as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I adjusted the focus to make the basic data for the better development and activation of that cultural programs.

      • KCI등재

        IT 남성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구강 자각증상의 관련성: 구강건조감 증상 중심

        홍민희,이정민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9

        본 연구목적은 IT 남성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와 구강 증상의 관계에서 구강건조감의 매개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조사는 2022년 9월 1일 ~ 12월 31일까지 수도권 지역 IT 계열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직무스트레스, 구강건조감, 구강 자각증상을 조사하였으며, 총 479명을 대상으로 IBM SPSS statistics 25.0 Ver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다. 1) 직무스트레스의 직업 불안정에서 위험 수준이 53.2%로 높게 나타났다. 2)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인 물리 환경, 직무 요구, 직업 불안정, 조직 불공정성, 보상부적절, 일-삶의 불균형의 위험군에서 구강건조감과 구강 자각증상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직무스트레스, 구강건조감과 구강 자각증상은 정적상관성을 나타냈으며, 직무스트레스와 구강 자각증상의 관계에서 구강건조감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비추어볼 때, IT 종사자들의 장시간 근무와 과도한 업무량 속에서 지속적인 직무스트레스는 다양한 구강 증상을 야기하며, 특히 구강건조감은 직무스트레스와 구강 증상의 관계에서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IT 분야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증진과 건강한 근로활동을 위한 구강건강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Real-World Analysis of the Efficacy of Rebiopsy and EGFR Mutation Test of Tissue and Plasma Samples in Drug-Resistant Non-Small Cell Lung Cancer

        홍민희,김혜련,안병철,허수진,김지형,조병철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9 Yonsei medical journal Vol.60 No.6

        Purpose: Standard treatment for cases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exhibiting acquired drug resistance includes tumorrebiopsy,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mutation testing (e.g., for T790M mutations), and the subsequent administrationof third-generation EGFR-tyrosine kinase inhibitors (EGFR-TKIs). However, rebiopsies are typically invasive, costly, and occasionallynot feasibl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assess rebiopsy procedures by analyzing real-world data collectedby the ASTRIS study of patients with resistant NSCLC. Materials and Methods: The present study used statistical models to evaluate data collected by the ASTRIS trial (NCT02474355)conducted at Yonsei Cancer Center, including the rebiopsy success rate, incidence of T790M mutations in collected tissue andplasma samples, and association of administered osimertinib treatment efficacy. Results: In a total of 188 screened patients, 112 underwent rebiopsy. An adequate tumor specimen was obtained in 95 of thesepatients, the greatest majority of whom (43.8%) were subjected to bronchoscopy. T790M mutations were detected in 53.3% of successfullyEGFR-tested rebiopsy samples. A total of 88 patients received osimertinib treatment, and the objective response rate andmedian progression-free survival time was 44.3% and 32.7 weeks, respectively, among the treated patients overall, but 57.8% and45.0 weeks, and 35.2% and 20.4 weeks among patients who exhibited T790M-positive tissue (n=45) and plasma (n=54) samples, respectively. Conclusion: Approximately 60% of patients in the analyzed real-world cohort were eligible for tissue rebiopsy upon NSCLC progression. Osimertinib activity was higher in patients in whom T790M mutations were detected in tissues rather than in plasmasamples.

      • KCI등재

        호텔 종사자의 근로손실, 스트레스, 신체화 증상과 주관적 구강 증상의 관련성

        홍민희,이정민 한국구강보건과학회 2022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Vol.10 No.3

        Objectives: To examine the stress levels and somatic symptoms of hotel workers and the risk factors affecting their perceived oral symptoms. Methods: A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November 1 and December 31, 2021 among 600 hotel worker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survey items related to perceived stress, somatic symptoms, oral health stress and perceived oral symptoms. The research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Version 21.0. Results: After controlling for exogenous variables, work loss, stress, somatic symptoms, and oral health stress al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oral symptoms, with somatic symptoms showing the greatest influence. Conclusions: It is recommended that hotel workers' physical and oral health should be promoted by programs that take into account their various working environments and job characteristics. This would improve the welfare of the hotel workers and prevent labor loss. Furthermore, existing manuals should be expanded.

      • KCI등재

        한국 성인의 우울, 주관적 건강 상태, 저작불편 간의 관계에서 구강건강 인식의 매개효과: 2020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 활용

        홍민희 한국구강보건과학회 2022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Vol.10 No.4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erceived health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on chewing difficulty, using the 2020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al health. Methods: An electronic survey was conducted by trained investigators between August 16 and October 31, 2020, among adults aged 19 years or older. The research tool investigated depression, perceived health, perceived oral health, and chewing difficulty. Results: 1. Depression (β = 0.20, p < 0.001)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chewing difficulty, while perceived oral health (β = 0.54, p < 0.001) showe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chewing difficulty. 2. Perceived health (β = 0.19, p < 0.001)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chewing difficul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and chewing difficulty, perceived oral health (β = 0.54, p < 0.001) was shown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expand oral health policy to improve the masticatory function of adults and to expand oral health education to prevent the decrease in masticating function in advance.

      • KCI등재

        시설관리공단 근로자들의 감정노동과 구강건강의 관계에서 신체 증상 매개효과

        홍민희,이정민,장기원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matic symptom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he oral health of facility management corporation workers. The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5 to October 30, 2021, targeting 200 workers in a facility management company in Seoul. The survey included questions related to emotional labor, physical symptoms, and oral symptoms. The responses were evaluated and analyzed using the IBM SPSS/WIN 25.0 software.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labor (p<.001), somatic symptoms (r=.50, p<.001), and oral health (r=.29, p<.001) al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emotional labor was found to affect oral health (β=.37, p<.001),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omatic symptoms (β=.21, p<.001)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oral health (Z=4.76, p<.001) was observed. In conclusion, a program that can manage and mediate the emotional labor of facility management workers is necessary to help them maintain physical health and continue oral health management. 본 연구 목적은 시설관리공단 근로자의 감정노동과 구강건강의 관계에서 신체 증상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1년 9월 15일부터 10월 30일까지 서울지역 일부 시설관리공단에 종사하는 근로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 도구는 감정노동, 신체 증상, 구강 증상 관련 문항을 조사하였으며, IBM SPSS/WIN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감정노동은 신체 증상(r=.50, p<.001)과 정적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구강건강(r=.29, p<.001)과도 정적 상관성을 나타냈다. 둘째, 감정노동이 구강건강(β=.37, p<.001)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노동이 구강 건강에 미치는 관계에 대한 신체 증상(β=.21, p<.001)의 부분 매개 효과(Z=4.76, p<.001)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시설관리공단 근로자들의 감정노동을 관리 및 중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신체 건강을 유지하고, 계속 구강건강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구강건강 프로그램 구축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유․아동 감성지능 발달을 위한 숲 프로그램의 미술지도에 관한 연구

        홍민희 한국아동미술학회 2017 아동미술교육 Vol.16 No.-

        본 연구는 미술을 통한 숲 놀이활동이 유ㆍ아동의 감성지능의 발달에 얼마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효과를 밝혀보고자 한 논문이다. 이에 가능한 유ㆍ아동들이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흥미로운 프로그램 구성을 모색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이 프로그램이 감성지능 발달을 위하여 실질적인가를 가늠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이제까지의 연구를 통해 숲 미술 교육이 지닌 유ㆍ아동들의 감정 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자연 환경은 감각으로부터 어린 아이들의 몸, 마음, 영혼을 강화시켜주고, 자연과 유기적 관계라는 점을 자연스럽게 내면화시킨다는 점에서 유ㆍ아동들에게 최고의 효과적인 교육경험을 제공해준다. 이러한 점에서 숲 미술 활동은 유ㆍ아동들에게 감정 지능 발달시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양하고 풍부한 감정들을 경험하게 하며 조형적 미적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을 통한 숲 놀이 활동은 교실 예술 활동을 넘어선 유ㆍ아동들의 감성적, 미적 경험을 효과적으로 가능하게 한다는 가설을 중심으로 실제적으로 현장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그 효과와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가상공간에서 사물의 밀도가 현실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민희,윤하영,김태균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23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18 No.6

        In this study, the virtual reality display Head Mounted Display (HMD) is used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density of surrounding objects on the change in height based on the subject's point of view in virtual space to find out the degree of reality of the subject. An HMD was worn and tested to see how changes in the density and height of objects placed around the virtual space affect the sense of reality. First, as a way to maximize reality in virtual space, we focused on changes in the surrounding density and building height of the building. To this end, virtual space content was built with Autodesk 3dsMax (3D program). Secon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by presenting virtual space content to subjects with HMD's Oculus Rift VR (Oculus Rift), which can be represented by a virtual reality display. Third, SPSS was used to interpret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post-test and in-depth interviews of simple main effects and simple interactions of ANOVA were conducted. In addition, a sub-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each factor.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differences between conditions were all significant in terms of (low density, medium density, and high density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mbient density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average score was higher than the basic conditions according to the change in heigh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virtual reality as well as metaverse environments can be constructed graphically and used to express a maximized sense of reality when providing an experience environment to users.

      • KCI등재

        IT 서비스 종사자의 정신건강과 구강건조 증상의 관련성: 우울 매개효과 중심

        홍민희,이정민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1

        본 연구는 IT 서비스 종사자들의 정신건강 수준을 살펴보고 구강건조 증상과의 관계에서 우울 증상의 매개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조사는 2022년 10월 1일 ~ 2023년 1월 31일까지 구글 폼을 이용하여 IT 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불안, 불면, 신체화 증상, 우울, 구강건조 증상을 조사하였으며, 총 519명을 대상으로 IBM SPSS statistics 27.0 Ver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1) 직장 내 괴롭힘, 갈등, 모욕, 프리젠티즘 경험이 있는 근로자에서 우울, 불안, 불면, 신체화 증상, 구강건조 증상이 부정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 불안, 불면, 신체화 증상, 우울 수준이 심각할수록 구강건조 증상이 높게 나타났으며, 변수 간 양적 상관성을 나타냈다. 3) 불안, 불면 신체화 증상과 구강건조 증상의 관계에서 우울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IT 서비스 종사자들의 정신건강 문제는 구강건조 증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우울 증상이 증가할수록 구강건조 증상은 더욱 부정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우울 증상은 구강건조 증상에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IT 서비스 종사자들의 구강건강 예방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건강프로그램 구축과 근로자의 직업 구강건강 가이드라인 지침서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IT 서비스 종사자의 통합적인 건강관리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ntal health level of IT service worke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oral dryness. For this study, responses to a Google Form survey aimed at IT support personnel were gathered from October 1, 2022 to January 31, 2023. Anxiety, insomnia, somatic symptoms, depression, and oral dryness were investigated as research tools, and a total of 519 people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7.0 Vers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1) Workers who experienced workplace bullying, conflict, insults, and presenteeism showed negative symptoms of depression, anxiety, insomnia, somatic symptoms, and oral dryness. 2) The more severe the level of anxiety, insomnia, somatic symptoms, and depression, the higher the oral dryness appeared, and a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observed. 3) Depress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insomnia, somatic symptoms, and oral dryness. IT service workers' mental health problems had a direct impact on oral dryness, and as depression symptoms increase, oral dryness also increased more negatively. Depression had a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oral drynes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health program to prevent oral health and support mental health of IT service workers and to develop occupational oral health guidelines for workers.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health management program for IT service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