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림프부종 환자에서 복합적인 림프 치료법을 통한 치료 효과

        현혜연,이혜리,염창환 대한가정의학회 2002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3 No.5

        The Treatment Effect of the Complex LymphaticTherapy for LymphedemaHye Youn Hyun, M.D., Change Hwan Yeom, M.D.*, and Hye Ree Lee, M.D. 연구배경: 림프부종은 유방암과 자궁암 환자의 50% 이상에서 발생하는 흔한 질병이지만 아직까지 우리 나라에서는 과거 치료 방법인 공기용 펌프만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1980년대 독일의 미셀 폴디 박사의 복합적인 림프 치료법을 개발하여 치료를 실시한 후 많은 효과를 보았다. 이에 저자 등은 우리 나라 림프부종 환자에서도 복합적인 림프 치료법이 실제적으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 2000년 8월 1일부터 2001년 9월 30일까지 모병원 가정의학과에서 림프부종으로 진단 받고 치료받은 2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인구 통계학적인 특징의 빈도를 보았고, 치료 효과는 복합적인 림프 치료법 전후의 임상증상 호전 여부를 independent samples T-test를 가지고 조사하였고, 부종 감소 여부를 paired samples T-test를 통해 알아보았다(P-value<0.05).결과: 22명 중 남자가 1명이고, 여자가 21명이며, 평균 연령은 49.9 9.3세이었다. 암의 종류는 자궁암과 유방암이 전체 86.4%를 차지하였다. 암 환자 21명 모두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 후에 생겼으며, 부종 시기는 2∼3기가 전체 중 81.8%를 차지하였다. 암 치료 후 부종이 발생한 시기는 1년 이내가 7명(33.3%), 1∼3년이 5명(23.8%), 3년 이후가 9명(42.9%)이었다. 그리고 부종이 발현된 후 림프부종 전문 병원에 찾아온 시기는 2.9 3.9년이었다. 복합적인 림프 치료법 전후의 부종 감소 여부를 보면 치료 전에 부종 정도는 968.4 545.3 ml이었던 것이 치료 후에는 337.3 325.8 ml로 65.0 33.2%만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33).

      • 운동부하 검사의 보험의학적 이해와 의의

        현혜연,Hyun, Hyeyun 한국생명보험의학회 2013 保險醫學會誌 Vol.32 No.1

        The exercise ECG test is a well-established, inexpensive, and non-invasive procedure for answering important clinical questions related to heart problems. The heart disease is directly led to mortality and serious issue to insurance medicine. Here is some evidence for interpretation of exercise ECG test results can determine prognosis of the heart disease.

      • KCI등재

        생애전환기 신중년 세대를 위한 사진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와 프로그램 개발

        현혜연 현대사진영상학회 2020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Vol.23 No.1

        In Korea, the New Year refers to adults aged 50 to 64, especially those with similar historical and social experiences as baby boomers. They need social support and support for their well-being in old age. The more satisfactory the transition is made, the more likely it is to have a healthy old age. Cultural art is very useful in such a life-changing task in that it provides a process of reflection to look back on one’s own life and dreams of the direction of community life. In order to achieve the task of life-changing healthily, this paper tries to clarify why photography is useful, and suggest photo education programs. We would like to consider that photography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transition of middle-aged life.

      • KCI등재

        어린이의 전시 관람 과정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

        현혜연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4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9 No.2

        This study researches goals and objectives, choosing process, experience contents ofchildren's viewing exhibitions and experiencing art. This anthropological study analyzes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xperience of art and the cultural industry throughparticipatory observation, interview, policy and literature review, internet search, etc. Children's experience of art has been the focus of national educational discoursesand policies, which emphasize on creativity and culture for cultivating young talents. However, children fail to independently experience art. Their experience significantlydepends on educational system, cultural industry, and art market. Especially, theirexperiences of commercial exhibitions are often chosen by their parents or schools thatare strongly influenced by sponsors' advertisements and marketing strategies. Thereforechildren are easily exposed to the contents produced by the commercial mechanism,and their experience can be reduced to a part of the cultural industry pursuing profit. In addition, the goals, contents, and effects of children's experience of art are closelyrelated to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mainstream culture. Therefore most of theseexperiences are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educational system. Art has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experience. The experience of art should be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o the services of the cultural industry, which is increasinglyprovocative and violent only pursuing profit. 이연구는 어린이들의 전시 관람을 통한 문화예술의 경험을 관람의 목적과 목표, 선택의과정, 경험이 갖는 의미를 중심으로 조사, 분석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설문, 참여관찰과 인터뷰, 인터넷 행태, 정책과 문헌에 대한 자료조사를 통해 인류학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예술경험과 문화산업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미래 인재 양성의 방향을 창의성과 문화 분야로 상정하고 있는 한국의 교육적 담론과 정책속에서 어린이의 예술 경험은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그 경험의 주체는 어린이가 아니며, 경험의 과정은 제도 교육과 문화산업, 예술 시장이 만드는 산업의 맥락에 위치한다. 특히 상업화된전시의 경험 과정이 주최측의 광고와 마케팅의 영향 속에서 부모와 학교에 의해 선택된다는점, 상업적 매커니즘에 의해 만들어진 콘텐츠에 노출된다는 점은 어린이들이 이윤을 목적으로하는 문화산업에 편입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전시 관람의 목적과 효과, 내용에 대한 방향이 교과 교육에 대한 도움과 주류사회의 문화 체험에 있다는 점은 기존 제도 교육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한계를 보여 준다. 예술이 갖는 긍정적인 영향력과 효과는 어린이에게 중요한 경험이다. 따라서 날로 광폭해져 가는 문화산업의 폐해에 맞서는 대안이 되기 위해 전시 관람과 예술 경험의 과정을 재고해야 한다.

      • KCI등재

        참여자의 창의성을 발현하는 예술 감상교육 연구 : 뇌과학 연구와의 학제적 접근

        현혜연 ( Hyun Hyeyeon ),조은별 ( Cho Eunbyul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3

        그동안 문화예술교육은 지속적인 확장을 통해 누구나 자신의 삶에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문화예술교육이 다양한 활동영역 중에서도 주로 체험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대적으로 감상교육에 대한 논의와 실천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근의 뇌과학 연구들은 예술 감상이 단순한 지식과 시각정보 습득이 아니라, 창의적 과정임을 증명하고 있다. 감상은 관람자의 지각, 감정이 참여하는 과정이고, 개인적 방식으로 재창조하는 것임이 규명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감상교육에 대한 관점의 전환이 필요하며, 논의와 실천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뇌과학 논의에 기반하여 감상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참여자가 주도하고, 참여자의 창의성이 발현되는 감상교육의 모색을 목표로, 감상경험의 정의, 속성, 뇌 처리 과정, 뇌과학의 모형들과 이들이 주는 통찰과 함의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참여자의 창의성 발현을 위한 감상교육 방향과 교육프로그램에서 적용할 요소들을 고찰하였다. 뇌과학 연구 결과들은, 감상경험의 참여자들이 자신의 기존 경험을 포함한 개인 특성과 맥락적 특성들을 복합적으로 반영하여 시각적 정보를 뇌의 전 영역에서 처리하며, 그 결과로 자신만의 고유한 정서 반응과 미적 평가를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감상교육 모형은 참여자의 감상경험과 이를 촉진하는 교육 지원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참여자의 감상경험은 감상교육이 감상 준비-감상 중-감상 마무리라는 일련의 인지적 정보처리 과정을 포괄한다. 따라서 각 과정마다 적절한 참여자 경험과 이를 촉진하는 교육 지원이 요구되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Creativity is an important capability not only for future talent but also for everyone living their daily lives. Until now,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s played a role in helping anyone exercise creativity in their lives through continuous expansion. However, as art education was centered on process and experience, art-appreciation education was relatively lacking in discussion and practice. Recent neuroscience studies prove that appreciation of art is not just a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visual information, but a creative process. Art-appreciation is a process in which viewers' perception and emotions participate, and it is being re-created in a personal way. In this regard, a shift of perspective on appreciation education is need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efinition, necessity, process of art-appreciation education and to practice it in educational way. The study aims to seek art-appreciation education led by participants and expressed by participants' creativity. To that end, describes the definitions, attributes, brain processing, models of neuroscience, and the insights and implications they give.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art-appreciation education and the factors to be applied in the education program were considered. Neuroscience studies report that participants in the art-appreciation experience deal with visual information in all areas of the brain by combining personal and contextu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ir own existing experiences, resulting in their own unique emotional responses and aesthetic evaluations. The model of art-appreciation education is divided into participants' appreciation experience and education support that promotes it. Participants' appreciation experience encompasses a series of cognitive processing processes, such as preparation for appreciation, appreciation, and completion of appreciation. Therefore, we would like to propose that each course should require appropriate participant experience and educational support to facilitate it.

      • KCI등재

        통합 문화예술교육 유형과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현혜연 ( Hye-yeon Hyun ) 현대사진영상학회 2023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Vol.26 No.2

        문화와 예술 교육은 삶의 문제들을 적극적으로 다루면서 통합과 융합이 문화와 예술 교육의 중요한 주제와 방법으로 부각되었습니다. 하지만 통합된 문화와 예술 교육의 정의, 개념, 유형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습니다. 본 연구는 통합된 문화와 예술 교육의 정의와 개념을 검토하고,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범주로 다양한 유형의 통합을 개념화하였습니다: 예술 장르 간의 통합, 예술과 기술의 융합, 다른 전문분야와의 통합, 사회 문제 중심의 통합, 예술과 교과목 통합, 그리고 참여자 통합. 이러한 분류와 범주화는 현대 문화와 예술 교육의 변화하는 상황을 반영합니다. 또한, 통합된 문화와 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방법과 발전 요소들이 고려되었으며,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이 제시되었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다양한 정의로 정리되지 않았던 통합된 문화와 예술 교육의 개념이 확립되고, 실제 현장에서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 가능한 방안들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As culture and arts education actively dealt with life problems, integration and convergence became important topics and method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definition, concept, and type of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conceptualized various types of integration into six categories: integration between art genres, integration of art and technology, integration with other specialties, social issue-oriented integration, art and subject integration, and participant integration. This classification and categorization reflects the changing conditions of current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addition, methods and development factors for developing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were considered, and specific measures for developing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were considered by presenting example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concept of integra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which has not been organized into different definitions, can be established and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for program development in the actual field can be presented.

      • KCI등재

        팬데믹 시대 온라인 비대면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꿈다락토요문화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현혜연 ( Hyun Hye-yeo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2020년 코로나 19라는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환경변화 속에서 이루어진 비대면 온라인 교육이 문화예술교육의 주요 가치인 소통과 관계맺음을 가능하게 할 것인지를 경험적이고 실증적인 방법으로 탐구하고, 비대면 온라인 문화예술교육의 가능성과 과제를 숙고하고자 하였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 2020년 9월부터 10월까지 5차시에 걸쳐 온라인으로 진행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인 꿈다락토요문화학교 주말예술캠퍼스 사업 ‘크크키키 스핀오프, 나의 마을에 놀러와요’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사례는 인근 5, 6학년 초등학생 50명이 참여하였고, 당초 대면교육으로 기획되었으나,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으로 전환하여 운영되었다. 논문은 올해 팬데믹과 문화예술,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이루어진 사회적 논의들을 고찰하고, 프로그램 사례의 교육과정과 온라인 비대면 수업 방법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 등을 통해 얻어진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고, 실증적 과정에서 얻은 함의와 온라인 비대면 프로그램 설계시 고려할 사항을 정리하였다. 그에 따라 프로그램 설계시 플랫폼의 다각화, 시뮬레이션의 세밀화, 자기 주도적 학습의 기회와 구조 제시, 피드백의 중요, 인력의 역할에 대한 인식 전환과 인력 간 원활한 소통과 협력을 고려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온오프 블렌디드 학습의 확대, 사회적 지원의 필요, 권리와 안전한 활동 장의 보장을 비대면 교육의 과제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of online-untact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an empirical and empirical way whether it will enabl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which is the main valu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2020 due to the Pandemics of Corona 19. To that e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Keke kiki Spin-off, Come to My Village,' a weekend art campus project of K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a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conducted online for five period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0. This case was participated by 5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nearby, and was originally planned for face-to-face education, but was operated by switching to non-face-to-face due to Corona 19. This year, the paper considered the social discussions made on fendemics,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presented the curriculum of the program case and online-untact teaching methods. Nex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btained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and the implications obtained during the empirical process and considerations for designing the online non-face-to-face program were summarized. Accordingly, it was suggested that in the design of the program, the diversification of the platform, the detail of simulation, the presentation of opportunities and structures for self-directed learning, the importance of feedback, the role of human resources, and the smoot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human resources should be considered. Finally, the conclusion presented the tasks of non-face-to-face education to expand on-off blend learning, the need for social support, and the guarantee of rights and safe field of activity.

      • KCI등재후보

        어린이의 전시 관람 과정에 관한 인류학적 연구

        현혜연(Hyun, Hye Yeon)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4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어린이들의 전시 관람을 통한 문화예술의 경험을 관람의 목적과 목표, 선택의 과정, 경험이 갖는 의미를 중심으로 조사, 분석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설문, 참여관찰과 인터뷰, 인터넷 행태, 정책과 문헌에 대한 자료조사를 통해 인류학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예술경험과 문화산업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미래 인재 양성의 방향을 창의성과 문화 분야로 상정하고 있는 한국의 교육적 담론과 정책속에서 어린이의 예술 경험은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그 경험의 주체는 어린이가 아니며, 경험의 과정은 제도 교육과 문화산업, 예술 시장이 만드는 산업의 맥락에 위치한다. 특히 상업화된 전시의 경험 과정이 주최측의 광고와 마케팅의 영향 속에서 부모와 학교에 의해 선택된다는 점, 상업적 매커니즘에 의해 만들어진 콘텐츠에 노출된다는 점은 어린이들이 이윤을 목적으로하는 문화산업에 편입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전시 관람의 목적과 효과, 내용에 대한 방향이 교과 교육에 대한 도움과 주류사회의 문화 체험에 있다는 점은 기존 제도 교육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한계를 보여 준다. 예술이 갖는 긍정적인 영향력과 효과는 어린이에게 중요한 경험이다. 따라서 날로 광폭해져 가는 문화산업의 폐해에 맞서는 대안이 되기 위해 전시 관람과 예술 경험의 과정을 재고해야 한다. This study researches goals and objectives, choosing process, experience contents of children s viewing exhibitions and experiencing art. This anthropological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s experience of art and the cultural industry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interview, policy and literature review, internet search, etc. Children s experience of art has been the focus of national educational discourses and policies, which emphasize on creativity and culture for cultivating young talents. However, children fail to independently experience art. Their experience significantly depends on educational system, cultural industry, and art market. Especially, their experiences of commercial exhibitions are often chosen by their parents or schools that are strongly influenced by sponsors advertisements and marketing strategies. Therefore children are easily exposed to the contents produced by the commercial mechanism, and their experience can be reduced to a part of the cultural industry pursuing profit. In addition, the goals, contents, and effects of children s experience of art are closely related to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mainstream culture. Therefore most of these experiences are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educational system. Art has positive effects on children s experience. The experience of art should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o the services of the cultural industry, which is increasingly provocative and violent only pursuing prof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