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온도・습도가 돈분뇨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에 미치는 영향

        허혜원,이은영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대량의 유기물을 함유하는 가축 분뇨는 최근 대규모화된 가축 사육에 의하여 그 발생량이 늘어나고 있다. 가축 분뇨를 자원화하거나 에너지화하는 연구가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악취문제는 쉽게 해결이 되지 않아 주변 민가와의 분쟁이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가축분뇨의 발생량 중 40%를 차지하는 돼지의 분뇨는 수분함 유량이 90%나 되어 미부숙된 분뇨로 퇴비화할 경우 대기 중으로 휘산되기 쉬어 악취 발생에 취약하다. 돼지분뇨 악취의 대표 물질 중의 하나인 암모니아는 배출 규제 농도로 저감되어도 실제 주변 민가는 악취로 인한 고통을 호소한다. 돼지분뇨의 악취는 온도와 습도에 상당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돼지 분뇨의 악취를 효율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온도와 습도를 제어하여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Lab-Scale 실험을 위해 항온항습기(HB-105SG, 500×500×600(W×D×H)mm)를 제작하여 돈분뇨 슬러리 시료 25ml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악취를 발생시켰다. 샘플링은 다양한 온도와 다양한 습도에서 발생되는 가스시료를 진공감압박스와 흡인펌프를 이용하여 1분에 3L의 유량으로 1L Tedlar bag에 포집하였고, 포집된 가스는 현장에서 암모니아 검지관(Kitagawa/Japan)을 이용하여 즉석에서 악취를 측정하였다. 검지관의 측정농도 범위는 0.2-20ppm과 1-200ppm으로 100ml의 가스시료를 채취하여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사육 시설 내 겨울철의 평균 기온으로 가정하여 온도는 10℃-20℃, 습도는 50%-80%의 온·습도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10℃의 온도에서 습도가 50%일 때 암모니아 농도가 4.8ppm이였는데 습도 80%로 증가 시 7.5ppm으로 56.3% 증가하였고, 20℃의 온도에서는 습도가 50%일 때 11.15ppm에서 80%일 때 13.7ppm으로 22.9% 증가하였다. 습도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에, 습도 50%에서 온도가 10℃에서 20℃로 상승할 때 4.8ppm에서 11.15ppm으로 132% 증가하였다. 10℃에서 20℃영역에서는 습도의 증가가 암모니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동일한 습도조건에서 온도의 상승에 의한 발생보다 더 큰 발생요인으로 보여 진다.

      • 임상 해부학 교육 활용 도구로서의 페이스페인팅

        허혜원,이지현,배형규,최유진,박형수,허경석,김희진 대한체질인류학회 2021 대한체질인류학회 학술대회 연제 초록 Vol.64 No.-

        인체 해부학을 위한 교육 커리큘럼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일러스트를 사용한 교재, 카데바 해부 실습 등은 매우 고전적인 형태로 이어져 왔으며, 현재에는 3D컴퓨터 프로그램의 발달로 인해 앱, 초음파, VR/AR을 이용한 시뮬레이션까지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 커리큘럼은 문화, 환경 등 복합적인 상황에 따라 학습자가 쉽게 접근하거나 선택하여 사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모델의 얼굴표면에 해부학적 구조물을 직접 페인팅을 하고, 그 과정을 소개함으로써 해부학적 지식을 탐구하는 전문의와 학습자에게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인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한다. Chinese-Korean 남성 지원자 1명의 얼굴에 페인팅을 진행하였다. 페인팅 도구는 피부에 무해하고 제거하기 쉬운 화장용품을 사용하였다. 정중시상선을 기준으로 오른쪽은 얕은 층의 얼굴표정근육과 깨물근을 표현하고, 왼쪽은 얼굴표정근육의 얕은 층을 일부 제거하여 상대적으로 깊은 층 구조를 표현하였다. 스케치를 시작하기 전 실제 모델의 얼굴을 촉진하여 스케치에 기반이 되는 뼈표지점을 찾았다. 촉진을 통해 알 수 있는 뼈표지점은 위관자선, 전체적인 눈 확, 광대 활 광대뼈이마돌기, 아래턱의 턱뼈각과 턱뼈 결절이며, 이에 근거하여 총 15개의 근육의 위치를 파악하여 스케치하고 채색을 완료하였다. 또한 얼굴에 분포하는 동맥과 귀밑샘, 볼지방체 등의 조직도 함께 표현하였다. 1차 페인팅을 완성하여 사진 및 영상으로 기록물을 남기고 왼쪽 페인팅을 리무버로 일부 제거한 후, 다시 얕은 층지방의 구획을 표현하였다. 모델 얼굴의 정면, 양쪽 반측면과 측면사진과 영상을 기록하였으며, 결과물에서는 얼굴에 존재하는 근육 중 총 15개의 근육의 형태와 혈관의 주행이 층별로 나타난다. 이러한 일련의 페인팅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들에게 얼굴의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더불어 얼굴을 지나는 동맥의 표현은 임상에서 부작용을 피할 수 있는 혈관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1차-2차로 나눈 단계별 스케치는 얼굴의 층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모델이 표정을 지어 움직일 때 해부학적 구조들의 위치변화를 생생하게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해부학을 공부하는 학습자들에게 페이스페인팅을 활용한 표면 해부학적 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얼굴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임상수술에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온도·습도가 돈분뇨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에 미치는 영향

        허혜원 ( Hye-won Heo ),이은영 ( Eun-young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대량의 유기물을 함유하는 가축 분뇨는 최근 대규모화된 가축 사육에 의하여 그 발생량이 늘어나고 있다. 가축 분뇨를 자원화하거나 에너지화하는 연구가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악취문제는 쉽게 해결이 되지 않아 주변 민가와의 분쟁이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가축분뇨의 발생량 중 40%를 차지하는 돼지의 분뇨는 수분함 유량이 90%나 되어 미부숙된 분뇨로 퇴비화할 경우 대기 중으로 휘산되기 쉬어 악취 발생에 취약하다. 돼지분뇨 악취의 대표 물질 중의 하나인 암모니아는 배출 규제 농도로 저감되어도 실제 주변 민가는 악취로 인한 고통을 호소한다. 돼지분뇨의 악취는 온도와 습도에 상당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돼지 분뇨의 악취를 효율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온도와 습도를 제어하여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Lab-Scale 실험을 위해 항온항습기(HB-105SG, 500×500×600(W×D×H)mm)를 제작하여 돈분뇨 슬러리 시료 25ml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악취를 발생시켰다. 샘플링은 다양한 온도와 다양한 습도에서 발생되는 가스시료를 진공감압박스와 흡인펌프를 이용하여 1분에 3L의 유량으로 1L Tedlar bag에 포집하였고, 포집된 가스는 현장에서 암모니아 검지관(Kitagawa/Japan)을 이용하여 즉석에서 악취를 측정하였다. 검지관의 측정농도 범위는 0.2-20ppm과 1-200ppm으로 100ml의 가스시료를 채취하여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사육 시설 내 겨울철의 평균 기온으로 가정하여 온도는 10℃-20℃, 습도는 50%-80%의 온·습도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10℃의 온도에서 습도가 50%일 때 암모니아 농도가 4.8ppm이였는데 습도 80%로 증가 시 7.5ppm으로 56.3% 증가하였고, 20℃의 온도에서는 습도가 50%일 때 11.15ppm에서 80%일 때 13.7ppm으로 22.9% 증가하였다. 습도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에, 습도 50%에서 온도가 10℃에서 20℃로 상승할 때 4.8ppm에서 11.15ppm으로 132% 증가하였다. 10℃에서 20℃영역에서는 습도의 증가가 암모니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동일한 습도조건에서 온도의 상승에 의한 발생보다 더 큰 발생요인으로 보여 진다.

      • KCI등재

        돈분뇨와 음폐수를 이용한 혐기성 소화조 운영의 공정별 악취배출 특성평가

        오민환,심준규,허혜원,윤태한,이은영 한국냄새환경학회 2014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13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odorous compounds and dilution ratio values at each part of the anaerobic digester process with composting facilities using swine manure and food waste. Complex odors, ammonia, volatile fatty acids and sulfur compounds were measured at each part of the process. Complex odors measured during swine manure storage, food waste storage and in the digested liquid tank, were 35,312 Odor Unit(OU), 39,086 OU and 17,733 OU, respectively. The odor contribution index was calculated by the concentration of odorous compounds during each process divided by the threshold limit. As a result, the major odorous compound that appeared during swine manure storage, food waste storage and in the digested liquid tank was hydrogen sulfide. On the other hand, the major odorous compound in the other processes was ammonia. The overall average concentrations of ammonia were highest in the digested liquid tank(337 ppm) and the separated liquid tank(131 ppm). Wastewater treatment process(10.9 ppm) and deodorization process(11.6 ppm) revealed the lowest concentration of ammonia. The overall average concentration of total volatile fatty acids(TVFAs) was 102.8 ppb during food waste storage and among the TVFAs, the main element was propionic acid(66.1 ppb). Sulfur compounds were only detected during swine manure storage, food waste storage and in the digested liquid tank. The dominant sulfur compound was hydrogen sulfide during swine manure storage(96.3 ppm) and methyl mercaptan during food waste storage(17.7 ppm) and dimethyl sulfide during food waste storage(34.5 pp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