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considering Environmental Informatisation in light of E-Governance

        허태욱(Taewook, Huh)(許兌旭),박용성(Yongsung, Park)(朴龍星) 한국지방정부학회 2012 지방정부연구 Vol.16 No.3

        이 논문은 환경정보화가 e-거버넌스(governance)를 통해서 어떻게 운영될 수 있으며, 이는 한국의 환경정책분야의 의사결정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살펴본다. 한국의 환경기술정보센터(KONETIC)및 관련 웹사이트 체계를 분석하고, 이들의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조사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상황에서 e-거버넌스를 통한 환경정보화의 필요성을 밝혀낸다. 전자정부(e-government) 발전단계에 비추어, KONETIC사례는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에게 환경관련 정보 제공에 초점을 맞추는 ‘정보관리모델’ 및 기업과 시민들에게 전자서비스를 제공하는 ‘3단계’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e-거버넌스를 통한 환경정보화가 다양한 사적 영역(기업) 및 자발적 영역(시민/시민단체)를 포괄하는 참여적이고 숙의적인 의사결정 기제의 단계로 발전해야 함을 주장한다. 이는 ‘e-정보 제공’에서부터 ‘e-상호적 참여’ 및 ‘e-통합적 소통(gate-making)’으로의 전환이라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환경정의론과 생태근대화론을 통한 한국의 녹색 ODA 논의의 고찰

        허태욱 ( Taewook Huh ) 한국정책학회 2013 韓國政策學會報 Vol.22 No.1

        이 논문의 목적은 현재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녹색 ODA 관련 담론적 차원의 개별적 논의들을 이론적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그 함의들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평가 및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발전 개념의 주요 특징을 설명하는 환경정의론과 생태근대화론을 이론적 분석틀로써 활용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녹색 ODA 관련 논의/활동이 환경정의의 실질적/분배적/절차적 정의의 특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규범적 의의를 시사하는 측면이 있음을 밝힌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환경정의에 모순되는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결국 녹색 ODA의 내용, 범위와 절차의 확대 및 재구성의 필요성이 대두됨을 보여준다. 또한, 생태근대화론의 각 발전단계의 특성을 통해 현재 논의되고 있는 녹색 ODA 개념적 유형들을 분류하고 그 구성요소 및 전략들의 특성들을 분석한 결과, 녹색 ODA 개념 유형들은 ``약한`` 생태근대화(사후적 환경정책: 환경기술발전 중심 처방)의 영역뿐만 아니라 ``강한`` 생태근대화(사전/예방적 환경정책: 사회·경제적 재구조화 추구) 부문까지도 포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개발 ODA의 통합적 녹색화`` 개념 유형 및 전략은 생태적 재구조화의 질적 전환(생태근대화 3단계→4단계)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질적 도약으로의 방향성을 담을 수 있는 중요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individual discourses and discussions on Green ODA recently carried out in South Korea through a comprehensive theoretical approach, to analyse the implications from them, and further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s. For this, it takes the theoretical analytic framework of environmental justice and ecological modernisation. In short, this study reveals that the discussions and activities on Green ODA include the features of substantial/distributive/procedural justice and the normative implications of environmental justice. However, it also shows some problems occurred, contradictory to environmental justice,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reconstruction of Green ODA in the end: contents, range, and procedure. In addition, categorising the conceptual types of Green ODA, based on each development level of ecological modernisation, and analysing their components and strategies, this paper identifies that the conceptual types of Green ODA include not only the sectors of 'weak' ecological modernisation(ex-post environmental policy: technology-led) but of 'strong' ecological modernisation (precautionary environmental policy: socio-economic reconstruction). Particularly, it proposes that the type of 'Integrated Greening of Development ODA' is characterised by the qualitative transition of ecological reconstruction (ecological modernisation level 3→level 4) and this fact has a potential to embrace the direction of qualitative leap.

      • KCI등재

        Tackling the Tension betwee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overnance through Self-organizing Governance with Blockchain

        허태욱(Taewook Huh) 한국NGO학회 2020 NGO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과 거버넌스 사이의 긴장을 해결하기 위해, 아정치(sub-politics)와 숙의민주주의의 규범적(이론적) 주장을 넘어서는 시도로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자기조직화 거버넌스를 통한 처방적 시사점을 모색한다. 우선, 지속가능발전의 목표와 거버넌스의 실천 사이의 상충적 관계를 해소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본 논문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새로운 거버넌스의 양식으로 아정치의 인식론적 근거를 구성하고 숙의민주주의의 방법론적 원칙을 고찰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자기조직화 거버넌스를 통해 아정치가 제안하는 바와 같이 시민들이 지속가능발전 문제와 관련된 주체적인 행위자로 실제적으로 재규정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더불어, 디지털 전환 시대에 ‘숙의 원장(deliberative ledgers)’의 이상적인 후보로서 ‘블록체인 거버넌스’ 가 지속가능발전 거버넌스 메커니즘을 위한 처방적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ssential implications of self-organizing governance based on the blockchain technology that are beyond the normative (theoretical) arguments of sub-politics and deliberative democracy to tackle the tension between sustainable development (SD) and governance. First, in order to tackle the conflic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ives of SD and the practices of governance, this paper looks at the epistemological grounds of sub-politics for the new form of governance for SD, and deliberative democracy in relation to applying methodological principles. In short, this study highlights that self-organizing governance based on the blockchain technology can re-define individual citizens as self-fulfilled subject concerned with SD issues as the sub-politics suggests. Moreover, this paper suggests that ‘blockchain governance’ as the ideal candidate for the ‘deliberative ledgers’ can be equipped with a prescription as a mechanism of governance for SD in the era of digital transition.

      • KCI등재후보

        4차산업혁명시대 블록체인 거버넌스 시스템으로의 전환과 시민사회의 역할에 관한 서설적 연구

        허태욱(Taewook Huh) 한국NGO학회 2017 NGO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4차산업혁명시대의 디지털 거버넌스와 디지털크러시(Digitalcracy) 의 함의를 살펴보면서, 혁신적인 분산장부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을 통해 공공・보안 분야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의 사회혁신의 가능성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스위스와 핀란드의 ‘O2O(Online to Offline) 정치’ 실험의 사례와 에스토니아의 ‘e-Estonia’ 모델 사례 등으로 구현되고 있는 블록체인 거버넌스 시스템을 통한 디지털 사회혁신과, EU의 디지털 사회혁신 6대 분야의 특성과 대표사례를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블록체인 거버넌스를 기반으로 한 ‘O2O’ 정치사회시스템으로의 변화 속에서 한국사회 시민사회의 전환적인 역할이 크게 세가지로 요구됨을 제시한다. 첫째, 정책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정책시장에서의 주도적인 선도자 (Key-Actor) 역할, 둘째, 숙의직접민주제 시스템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융합적 연계자 (Integrated Bridge-maker) 역할, 셋째, 디지털 혁신(‘열린 민주주의,’ ‘열린 접근’ 등)의 다양한 현장에서 디지털 혁신가 (Digital Innovator) 역할이 수행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This study looks at the implication of digital governance and digitalcracy , and explains the potentials of the digital social innovation in various areas including the public and security sector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blockchain technology -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 In particular, it analyzes the digital social innovation through the blockchain governance, realized by the experiments of ‘O2O(Online to Offline) politics’ in Switzerland and Finland, and also examines the features and best cases of the six sectors of the EU digital social innova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e three requirements of the transitional roles of the Korean civil society in the progression of ‘O2O political social system based on the blockchain governance: first, the role of Key-actor in the policy market consisting of the policy networks; second, the role of Integrated Bridge-maker for working for the deliberative and direct democratic system; third, the role of Digital Innovator in the various fields of digital innovation including open democracy and open access .

      • KCI등재

        수원시 환경수도(저탄소녹색도시)로의 전환과 환경 거버넌스

        허태욱(Huh, Taewook)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2 亞細亞硏究 Vol.55 No.1

        This paper looks at environmental governance working in the transition process to Environmental Capital(low-carbon green city) in Suwon, Korea and explores the features, implications and tasks to be dealt with in the future. The environmental governance in Suwon is characterized by 3C; Cooperation - the deliberation and mutual cooperation between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t Committee on Environmental Capital; Collection - the opinion collection procee through open discussions with various stakeholders -, and Commitment - the devotion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led by the mayor. In terms of the conceptual type of environmental governance, the environmental governance in Suwon can be categorized as the approach of transforming a structure and process in a comprehensive way to achieve the goals of Sustainable Development. Meanwhile, there are two tasks embedded in the case of environmental governance in Suwon: first, the problems of internal structure of decision-making in relation to continuously implementing the environmental capital project, and of the representativeness of participants; second one is related to the authorities of the Expert Committee on Environmental Capital (governance body) to be given, which is resulted in the relationship problem between governance and representative democracy.

      • KCI등재

        포괄적 커뮤니티 주도권에 근거한 여성친화적 도시 프로젝트의 평가

        허태욱(Taewook Huh) 한국NGO학회 2015 NGO연구 Vol.10 No.2

        본 논문은 한국의 여성친화도시 사업에 대한 대안적인 평가틀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우선은 종합적 커뮤니티 이니셔티브(CCI)의 영향과 결과를 평가하는데 어려움과 한계들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의 바람직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종합적 커뮤니티 이니 셔티브로써의 여성친화도시 사업 사례 평가에 대한 적용 방안을 모색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이론 주도 평가법(변화 접근이론 등)에 기반하여 여성친화도시 사업 평가의 대안적인 평가틀을 제시한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alternative monitoring framework of the WFC (Women-Friendly City) project in S. Korea. It first tries to review the difficulties or obstacles when evaluate the impact or outcome of CCIs and also suggest the desirable approach to overcome these things, and then apply such tackling points to the case of Women-Friendly City(WFC) project as a CCIs. In the end, this paper, based on theory-driven evaluation including Theory of Change approach to evaluation, suggests an alternative for the evaluation framework of WFC project.

      • KCI등재후보
      • 전산 해석을 이용한 해양플랜트용 Flexible barrier 거동 분석

        배징도(Jingdo BAE),최주형(Joohyung CHOI),김정환(Junghwan KIM),허태욱(Taewook HUH),김동훈(Donghoon KIM) 대한기계학회 2015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5 No.11

        The flexible safety barrier is used to protect the important equipments and workers from crash when some objects are transferred by crane in offshore plants, such as the jack-up, drill ship, semi rig, FPSO. In this study, to verify the impact performance of the new developed aluminum flexible barrier with own technology, the impact scenarios are established and spring capacity is defined. The spring capacity is determined for satisfying criteria 14 degree of the rotation angle of the column for barri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