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시적 관점에서의 품사 통용 연구 2 - 역문법화 현상을 중심으로 -

        허원영,최대희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4 No.-

        This study is to interpret multi-part-of-speech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In previous study attempted to interpret multi-part-of-speech through grammaticalization as part of a diachronic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in this study, multi-part-of-speech is interpreted focusing on the degrammaticalization. In chapter 2, review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diachronic research on multi-part-of-speech. Heo, Won-young⋅Choi, Dae-hee(2022) attempted a diachronic study of multi-part-of-speech through grammaticalization. The main discussion is to classify part-of-speech according to the grammatical level, and explain the cause of multi-part-of-speech as “decategorialization of grammaticalized words.”. Of course, Heo, Won-young⋅Choi, Dae-hee(2022) also mentions that all cases of multi-part-of-speech can not be explained by grammaticalization. In addition, the three cases of ‘eon-je’ in ‘adverb-pronoun’, ‘ha-na’ in ‘numerals-noun’ and ‘bo-da’ in ‘postposition-adverb’ are considered to be due to degrammaticalization. These three cases prove degrammaticalization through three grounds: etymology, relationship to a series of words and time of appearance in the literature. In chapter 3, Describe the cases of multi-part-of-speech by degrammaticalization in detail. Examples of multi-part-of-speech by degrammaticalization include ‘eon-je’ in ‘adverb-pronoun’, ‘ha-na’ in ‘numerals-noun’ and ‘bo-da’ in ‘postposition-adverb’. First of all, It is confirmed that ‘eon-je’ in ‘adverb-pronoun’ is due to degrammaticalization through the etymology. ‘eon-je’ is the composition of ‘eoneu + jeok + -ui’ reduced to a single word. At this time, ‘-ui’ is an adverbial postposition, so it is natural to see the basic part-of-speech of ‘eon-je’ as an adverb. As a result, ‘eon-je’ of a pronoun is the degrammaticalization of an adverb. Also, it is confirmed that ‘ha-na’ in ‘numerals-noun’ is due to degrammaticalization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series of words. ‘ha-na’ has a continuous numerals relationship ‘ha-na, dul, set, net, …’. At this time, ‘dul, set, net, …’ are all used only as numerals. Considering their continuous relationship, It is reasonable to view the basic part-of-speech of ‘ha-na’ as a numerals. As a result, ‘ha-na’ of a noun is the degrammaticalization of a numerals. On the other hands, it is confirmed that ‘bo-da’ in ‘postposition-adverb’ is due to degrammaticalization through the time of its appearance in the literature. ‘bo-da’ began to be used as a postposition from the 18th century literature, but the use of the adverb was confirmed in the 20th century. This is the basis for considering the basic part-of-speech of ‘bo-da’ as a postposition. As a result, ‘bo-da’ of an adverb is the degrammaticalization of a postposition. 이 연구는 통시적 관점에서 품사 통용을 해석하려는 것이다. 이전 연구에서는 통시적 관점의 일환으로써 문법화 현상을 통한 품사 통용의 해석을 시도했다면, 여기서는 역문법화 현상을 중심으로 품사 통용을 해석한다. 2장에서는 품사 통용의 통시적 연구에 대한 성과와 한계를 조명한다. 허원영⋅최대희(2022)에서는 문법화를 통해 품사 통용의 통시적 해석을 시도했다. 그 주된 논의는 문법성의 정도에 따라 품사의 위계를 나누고, 품사 통용의 원인을 “문법화에 놓인 단어의 탈범주화”로 설명하는 것이다. 물론 허원영⋅최대희(2022)에서는 품사 통용의 모든 사례를 문법화로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도 언급한다. 아울러 ‘부사-대명사’ 통용어 ‘언제’, ‘수사-명사’ 통용어 ‘하나’, ‘조사-부사’ 통용어 ‘보다’를 역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의 사례로 보았다. 이들은 어원, 연속된 단어들과의 관계, 문헌에서의 등장 시기라는 세 가지 근거를 통해 역문법화가 증명된다. 3장에서는 역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의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역문법화에 의한 품사 통용의 사례로는 ‘부사-대명사’ 통용어 ‘언제’, ‘수사-명사’ 통용어 ‘하나’, ‘조사-부사’ 통용어 ‘보다’가 있다. 우선 ‘부사-대명사’ 통용어 ‘언제’는 그 어원을 따짐으로써 역문법화를 증명할 수 있다. ‘언제’는 ‘어느 + 적 + -의’의 구성이 한 단어로 준 것이다. 이때의 ‘-의’는 부사격조사이므로 ‘언제’의 기본 품사는 부사이다. 즉 대명사 ‘언제’는 부사 ‘언제’가 역문법화된 것이다. 또한 ‘수사-명사’ 통용어 ‘하나’는 연속된 단어들과의 관계 속에서 역문법화를 증명할 수 있다. ‘하나’의 경우 ‘하나, 둘, 셋, 넷, …’의 연속적인 양수사 관계를 갖는다. 이때 같은 양수사인 ‘둘, 셋, 넷, …’ 등은 모두 명사로 쓰이지 않는다. 이들의 연속적인 관계를 고려한다면, ‘하나’의 기본 품사는 ‘수사’로 봐야 한다. 즉 명사 ‘하나’는 수사 ‘하나’가 역문법화된 것이다. 한편 ‘조사-부사’ 통용어 ‘보다’는 문헌에서의 등장 시기로 역문법화를 증명할 수 있다. ‘보다’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조사로 쓰이기 시작하는데, 부사의 쓰임새는 20세기에 와서야 확인된다. 이는 ‘보다’의 기본 품사를 조사로 봐야 하는 근거이다. 즉 부사 ‘보다’는 조사 ‘보다’가 역문법화된 것이다.

      • KCI등재

        해양 거버넌스와 한일 협력의 모색: 아세안을 포괄한 동아시아 해양 협력 네트워크

        허원영 한국아시아학회 2023 아시아연구 Vol.26 No.1

        탈냉전기 이후 한일관계에서는 '국내정치적 요인의 변화에 기대했다 실망하는' 패턴의 반복은, 한일관계에 뿌리내린 갈등의 근원이 더 근본적인 것에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하게 한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파악을 바탕으로 본고에서 시도한 것은 한일 간의 해양 안보와 관련된 협력 방안에 대한 시론적인 모색이다. 영토문제를 포괄한 해양안보 문제는 한일관계 중에서도 문제의 성격상 특히 이견을 좁히기가 극히 어렵고, 다른 분야에서의 갈등이 더 큰 충돌로 전환되기 쉬운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고는 한일 양국 간의 양자적 해결이 쉽게 진전되지 않는 이유와, 협력을 가능하게 할 우회적인 방안을 이론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한일 양국의 해양 안보 문제는 궁극적으로 두 나라 사이의 문제이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물론 한일 양국의 지속적이고 끈질긴 외교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새로운 방향에서 협력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이를 추진하는 일 또한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아세안을 포괄하여 동아시아 지역 전체를 시야에 넣은 관점이 요구된다. 기술의 발전과 교류의 확대로 인해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간의 거리가 좁혀지고 이전의 그 어느 때보다 한일 양국의 동남아시아와의 관계가 긴밀해지고 있는 오늘날, 두 나라가 아세안을 포괄하는 형태로 해양안보협력의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전략적 신뢰의 불균형‘을 보완할 수 있는 ’실무적 신뢰‘의 토대를 구축해 나갈 수 있다면, 이는 지향해야 할 긍정적인 방향일 것이다.

      • KCI등재

        이진탕(二陳湯)이 STZ 유발(誘發) 당뇨병(糖尿病) 흰쥐의 위(胃) 운동성(運動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허원영,윤상협,Hur, Won-Young,Yoon, Sang-Hyub 대한한방내과학회 2008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9 No.1

        Backgrounds & Objectives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observe how morphology was changed and whether gastric motility was impaired in streptozotocin(STZ)-induced diabetic rats(DR), and whether Yijin-tang(YJT) was able to restore their impaired gastric motility.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body weight, feed intake and blood glucose between normal rats (NR) and DR for 12 weeks after induction of diabetes. At the time of 12 weeks after induction of diabetes, gastric surface area, gastric slow wave and gastric emptying rate were measured. Results : Decreased body weight, increased feed intake and increased gastric surface area were observed in DR, compared with NR. The percentage of normogastria decreased but that of bradygastria increased in DR, compared with NR. YJT 90mg/kg had no effect on the correction of gastric slow wave. YJT 90mg/kg and 270mg/k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of gastric emptying, more than normal saline (NS) in both NR and DR but the gastric emptying rate of D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R when YJT 90mg/kg and YJT 270mg/kg were administered. Conclusions : We can expect that administration of YJT would be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gastric emptying and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as a juvantia.

      • KCI등재

        논시안 금도금층의 조직과 경도에 미치는 Tl+ 과 Pd2+ 이온첨가의 영향

        허원영,손인준 한국표면공학회 2022 한국표면공학회지 Vol.55 No.6

        Due to its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low contact resistance, good weldability and high corrosion resi-stance, gold is widely used in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Gold ion salts currently used in gold plating are largely cyan-based salts and non-cyanic salts. The cya-nide bath can be used for both high and low hardness, but the non-cyanide bath can be used for low hardness plating. Potassium gold cyanide (KAu(CN)₂) as a cyanide type and sodium gold sulfite (Na₃[Au(SO)₃]₂) salt as a non-cyanide type are most widely used. Although the cyan bath has excellent performance in plating, potassium gold cyanide (KAu(CN)₂) used in the cyan bath is classified as a poison and a toxic substance and has strong toxicity, which tends to damage the positive photoresist film and make it difficult to form a straight side-wall. There is a need to supplement this. Therefore, it is intended to supplement this with an eco-friendly process using sodium sulfite sodium salt that does not contain cyan. Therefore, the main goal is to form a gold plating layer with a controllable hardness using a non-cyanide gold plating solution. In this study, the composition of a non-cyanide gold plating solution that maintains hardness even after annealing is generated through gold-palladium alloying by adding thallium, a crystal regulator among electrolysis factors affecting the structure and hardness, and changes in plating layer structure and crystallinity before and after annealing the correlation with the hardness.

      • KCI등재

        일본의 인식 변화와 해양정책의 전환

        허원영 한일군사문화학회 2014 한일군사문화연구 Vol.17 No.-

        센카쿠(尖閣)제도의 영유권 및 해양 경계획정 문제를 둘러싸고 일중 양국의 관계가 악화와 개선을 반복해왔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이 문제를 둘러싼 국가의 인식과 정책의 전환에 대해 크게 주목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본고는 2004년부터 2008년까지 동중국해 대륙붕을 놓고 벌어진 중일 간의 대립과 일본의 해양정책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일견 갑작스럽게 분출하는 듯이 보이는 양국 간 분쟁의 구조를 보다 깊이 이해하기 위해, 양국이 관계를 개선해가는 동안 일본 국내에서 어떠한 인식의 변화와 정책 전환이 일어났는가를 분석하였다. 사례의 분석틀로는 일본의 ‘인식’과 ‘대응’ 사이의 연결고리를 분명히 하기위해 비판지정학을 원용하였다. 지정학적 담론과 현실 지정학 사이의 관계를 고찰한 비판지정학의 방법론을 통해 ‘분쟁-인식-정책’의 흐름 중 기존 연구가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인식’의 형성과 그것의 정책에 대한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의 결과 일중 양국은 협상을 통해 공동개발 합의에 이르렀으나, 일본 국내에서는 ‘확장된 영토’의 인식과 함께 이것을 빼앗길지도 모른다는 위협인식이 확대되면서 종합적 해양정책이 필요하다는 담론으로 옮겨가게 된다. 본고가 제시한 분석틀로 보면 먼저 언론 및 지식인의 문제제기와 위협인식 확대가 발생하였고, 이를 정치가·관료 및 민간 싱크탱크가 받아들이면서 정책 담론이 형성되었다. 정부는 이 과정에서 ‘담론적 대응’과 함께 법률적·제도적 정비를 추진하였다. 결국 2000년대 초반 동중국해를 둘러싸고 벌어진 분쟁으로 인해 일본의 관심이 기존의 센카쿠제도 분쟁에서 대륙붕, 배타적경제수역 등 보다 넓은 범위의 ‘해양영토’로 옮겨갔다고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해양정책 정비의 필요성까지도 인식하는 과정이 된 것이다. 따라서 중국의 해양진출에 대해 일본이 대응하는 과정에서 해양영토 담론 또는 해양정책에 대한 담론이 형성·발전하였으며 일본의 정책에까지 영향을 주는 구조가 탄생하게 되었다고 할 수있다.

      • KCI등재

        PVDF 필름을 이용한 효과적인 에너지 하베스팅에 관한 연구

        허원영,이태용,이경천,황현석,송준태,Hur, Won-Young,Lee, Tae-Yong,Lee, Kyung-Chun,Hwang, Hyun-Suk,Song, Joon-Tae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1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4 No.5

        Piezoelectric materials can be used to convert mechan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harvesting from mechanical vibration force using a high efficient piezoelectric material-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system consists of rectifier, filter capacitor, resistance.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impacting force to PVDF film with the thickness of 1 ${\mu}m$. The output power was measured with change in the load resistance value from 100 ${\Omega}$ to 2.2 $M{\Omega}$. The highest power was obtained under optimization by selection of suitable resistive load and capacitance. A power of 0.3082 ${\mu}W/mm^2$ was generated at the external vibration force of 5 N (10 Hz) across a 1 $M{\Omega}$ optimal resistor. Also, the maximum power of 0.345 ${\mu}W/mm^2$ was generated at 22 ${\mu}F$ and 1 $M{\Omega}$. The developed system was expected at a solution to overcome the critical problem of making up small size energy harvester.

      • KCI등재

        조선후기 晋州 麻津 載寧李氏 磨湖堂의 노비경영

        허원영 경제사학회 2023 經濟史學 Vol.47 No.2

        This study is about Nobi management of Mahodang, which has been living in Jinju since the mid-17th century. The main analysis data are the family register document and Nobi trade document that handed down from Mahodang. Mahodang's Nobi management went through its peak in the middle and late 18th century with about 160 people, and then fluctuated throughout the 19th century with a trend of 30-50 people. Mahodang secured the foundation for Nobi management through equal inheritance in the late 17th century. Since then, Nobi management has been rapidly expanded through the purchase of family units, including their children, centering on the childbearing period equipped with labor force. In the 19th century, as runaways of Nobi were actively developed, the influence on Nobi living outside was lost. Nevertheless, Mahodang had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Nobi. Mahodang's Nobi management generally shared the general aspects of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there are also characteristic features such as the strategy of acquiring Nobi and the size of Nobi ownership in the 19th century. 이 글은 17세기 중엽부터 진주에 세거해 온 재령이씨 磨湖堂의 호구문서와 노비매매문기를 통하여 마호당의 노비경영을 검토하였다. 마호당의 노비경영은 18세기 중·후반 160구 내외의 절정기를 거친 후, 19세기 내내 30-50구의 추이를 보이며 등락하였다. 17세기 후반의 균분상속을 통하여 토대를 확보한 이래, 노동력을 갖춘 가임기 비를 중심으로 그 자녀를 함께 매득하는 가족 단위의 매득을 통하여 노비경영을 급격히 확대해 갔다. 19세기가 되면 노비의 도망이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외방노비에 대한 영향력을 상실해 갔다. 그러나 19세기에도 상대적으로 많은 노비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주가 인근에도 다수의 노비호가 거주하였다. 마호당의 노비경영은 대체로 조선후기의 보편적인 양상을 공유하고 있었지만, 노비 매득 전략과 19세기의 노비 보유 규모 등 특징적인 모습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