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업여성의 ‘자녀유무별 임금격차(Family gap)’에 관한 연구

        허수연(Su-Yeon Heo),유태임(Tae-Im Yoo)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1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자녀양육으로 인해 여성 근로자가 겪게 되는 노동시장 불평등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의 종단자료(2000년~2008년)를 활용하여 취업여성의 ‘자녀유 무별 임금격차(family gap) 을 분석하였다. 분석모형으로는 여성 근로자 개인의 측정되지 않는 속성(unobserved heterogeneity) 을 통제하기 위해 고정효과모형(fixed-effect model)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여성 근로자의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와 같은 인적 변수와 경력, 노동시간, 직업, 시간제 근로여부, 정규직 여부를 통제하였을 때에도 6세미만 자녀의 수와 6세이상 18세이하 자녀유무는 여성 근로자의 임금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낮추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 여성비정규직의 낮은 임금수준을 감안하여 시간제근로와 6세미만 자녀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한 결과 6세미만 자녀가 둘 이상 있는 시간제 근무 여성은 약 20.6%의 큰 임금손실을 경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녀가 있는 여성’의 노동시장 지위의 상승과 임금을 지원하기 위한 ‘일-가족 양립정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eek an explanation for the Family gap -the wage gap between mothers and non-mother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2000-2008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with fixed-effect models. Results show a wage penalty of 2.2 percent per child under age 6 and 3.3 percent for a child over age 6 to 18, with controlling women s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potential experience, job, working hours, part time job, employment type, and unobserved heterogeneit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art time job and the number of child(under 6) shows that when mothers with one or more children under age 6 work part time, they suffer more severe wage losses (7~21%). With these results, the authors suggest family policies to support mothers decent work and the reconciliation of work and family.

      • KCI등재

        맞벌이가구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허수연(Heo Su-Yeon) 한국여성학회 2008 한국여성학 Vol.24 No.3

        본 연구는 비공식적 영역인 가정에서 행해지는 무급 가사노동의 성평등한 분담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로서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 시간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자료를 통해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 ‘시간 가용성'이론, ‘상대적 자원’이론, ‘사회화된 성역할’이론에서 가사노동의 중요한 예측요인으로 제시하고 있는 변수로서 본인의 노동시간, 배우자의 노동시간, 본인의 소득, 배우자와의 소득 차(gap), 전통적 성역할에 대한 태도를 선정하여 가사노동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자료로는 통계청이 2004년 발간한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하였으며, 미취학 자녀가 있는 20~50대 맞벌이 가구 여성과 남성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검증결과 여성과 남성 모두 가사노동 시간사용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본인의 노동시간과 배우자의 노동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이외 여성의 경우 소득 수준이, 남성의 경우 전통적 성역할에 대한 태도가 각각 가사노동 시간사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맞벌이 가구 여성은 노동시간이 길수록, 배우자의 노동시간이 짧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더 적은 가사노동시간을 사용하였으며, 맞벌이 가구 남성은 노동시간이 짧을수록, 배우자의 노동시간이 길수록, 전통적 성역할에 대해 반대할수록 더 많은 가사노동시간을 사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discuss reconciliation of work and family policy to provide parental right and labor right of women and men, and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women's and men's time use for their houseworks. For empirical study, the research used time diary data and selected samples of married women and men of dual earner family with children under schoolage. To search for factors that affect time use for housework, the research used Muliple Regression Analysis and found some interesting results. For married women, respondents' age(negative), educational achievement (positive), time use for paid work(negative), and gender equality perspective(negativ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ime use for her housework. For married men, educational achievement (positive), time use for paid work(negative), and gender equality perspective (negativ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ime use for his housework. Of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respondent's time use for paid work affected dependent variable(time use for housework) most significantly. The results indicate that family-friendly working time policy, equal work and opportunity, and cultural change for gender role could help more gender equal division of housework and balance of work and family.

      • KCI등재

        정서 및 행동문제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 중재에 대한 고찰

        허수연 ( Su Yeon Heo ),강수 ( Su Yeon Kang ),정정은 ( Jung Eun Jung ),박지 ( Ji Yeon Park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정서 및 행동문제를 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적 기술 중재의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기술 교육의 적용 방안과 추후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10년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21편의 연구를 선정하고 연구 참여자, 연구 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연구결과, 사회적 타당도 등의 범주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기술 중재의 연구 동향 및 제한점을 논의하고, 사회적 기술 진단, 연구 설계, 중재 프로그램 개발 등의 측면과 관련하여 후속 연구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udies on social skill interven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in order to present implications for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A total of 21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10 were selected. The analyses were conducted in terms of intervention participants, research design,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s, research results, and social validity. Based on the results, trends and limitations of social skill intervention studies were discussed and consider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RFID/USN 기반의 센싱 데이터 수집을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김경옥,반경진,허수연,김응곤,Kim, Kyeong-Og,Ban, Kyeong-Jin,Heo, Su-Yeon,Kim, Eung-K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0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5 No.2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환경 및 사용자의 상황을 필요로 하는 곳에 센서 노드들을 부착하여 환경 정보를 자율적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관리 및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컴퓨팅환경에서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상황인식 처리를 위한 센싱 데이터 수집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RFID/USN센서를 응용해 출입자 인식에 대한 상황을 연출하고, 출입자의 신원적 상황을 RFID reader와 antenna통해 전달 받는다. 동시에 출입자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거리 센서를 장착한 센서 노드를 설치하여 센서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출입자의 신원적 상황을 연출하여 이 상황을 인식하고, 실제 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계 구현한다. Ubiquitous computing is technology that provides services appropriate for the user. At places where environmental and situational context are relevant in making the determination of what services are appropriate, there are sensor nodes installed, which automatically collect, manage and control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this computing environment, in order to meet the requirements of services provided to users, a context awareness system is needed for context awareness processing. In this thesis, using RFID/USN sensors, the context of a user entering and leaving an area was produced, and the user's identification information was received via the RFID reader and antenna. At the same time, to decide whether or not to allow access for the user, a distance sensor node was installed to collect context data. Based on this, a system that provides practical services needed in real life for users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context of a user entering an area was produced, which the system recognized and provided appropriate services for the user.

      • KCI등재

        성인의 치과 방사선 촬영에 대한 불안감에 관한 연구

        이경희,김은아,백지현,허수연,정은서,Lee, Kyeong-Hee,Kim, Eun-A,Baek, Ji-Hyeon,Heo, Su-Yeon,Jung, Eun-Seo 한국치위생학회 2017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7 No.5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reduce the anxiety about dental radiation exposures of people and to provide a way to instill proper awareness of dental radiation. Methods: To fulfill the research aim,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330 subjects who are 20 years old or over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during the month of December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mong others.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nxiety of dental radiography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showed that the knowledge of radiation knowledge and the need for radiography (r=0.186, p<0.01), thinking about shooting (r=0.137, p<0.05), and the effectiveness of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r=0.120, p<0.01),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anxiety of dental radiography among adults, high awareness of the need for dental radiography (p<0.01), the more the idea of dental anxiety in dental radiography is radiography showed higher (p<0.01). Conclusions: It seems proper that adequate dental radiography requires adequate explanation about it to patients, wearing of protective equipment, and appropriate dental radiation safety education.

      • KCI등재

        결혼 이주 여성들의 행위자성과 평생교육의 지향점 모색

        나윤경(Nah, Yoon kyeong),강미(Kang, Mi Youn),장인자(Jang, In Ja),허수연(Heo, Su Yeo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8 평생교육학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결혼 이주’여성들에게 월경(月境)에 대한 욕망을 형성하는 세계화 맥락과, 필리핀의 경제구조 및 이민정책으로 인한 욕망 추동의 지형, 그리고 결혼생활의 경험을 통해 발현되는 결혼 이주에서의 행위자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행위자성에 대한 강조는 결혼 이주 여성들을 위해 실시되는 다양한 평생교육적 기획이 지금까지 매스컴이나 문헌들이 드러낸 것처럼 그들을 수동적인 소수자로 인식함으로써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할지만을 고민하고 있는 것에대해 성찰적 지점을 모색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진다. 평생교육은 그녀들의 잠재 능력을 함양하는 것은 물론 그녀들의 존재로 인하여 한국 사회가 어떤 방식의 발전과 성장을 ‘변화’라는 이름으로 이루게 될 것인가, 그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그녀들과 그녀들의 한국 가족들을 위해 어떠한 교육적 개입이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한국으로 결혼 형태로 이주해 들어온 여성들의 행위자성을 드러내면서 그녀들을 위한 평생교육적 기획이 목표로 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를 모색한다. This study reveals the ‘agentship’ of Philippine women who immigrated to Korea through marriage to Korean men. These women’s agentship has been exercising in the process of planning, practicing, and experiencing ‘crossing over the nation boards’ and their marriage to foreign men. Revealing theses women’s agentship is intended to reflect on existing educational projects targeted on them, which recognize these women just as ‘passive minorities’, make an effort to enlighten them, and help them adopt to Korean society. However, authors insist that lifelong education needs to work on marriage-immigrant women with a framework which takes in their ability to bring about ‘changes’ to Korean society. At a micro-level, inter-adaptation should be taking place between these women and her Korean family members, and marriage-immigrant women and Korean society at a macro level as well. Lifelong education is required to intervene with this process and help Korean society re-born into a space where people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can lead ‘fair‘ lives among themselves, Philippine wom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interviewees provide lifelong educators with insights on how to and what to do with people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with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중심축 반응 훈련 중재의 메타분석 -단일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김미영 ( Mi Young Kim ),이소현 ( So Hyun Lee ),허수연 ( Su Yeon Heo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중심축 반응 훈련의 효과를 파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관련 국내외 단일대상 연구 문헌을 조사하여 22편의 분석대상 문헌을 선정하여 검토하였고, 비중복 비율(PND) 기법을 이용하여 중재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심축 반응 훈련 관련 연구는 1987년부터 2011년까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22편의 연구 중에서 18편이 국외 연구 이고, 4편이 국내 연구였다. 선정된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수는 총 77명으로 그 중 남아가 55명, 여아가 11명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심축반응훈련 중재의 전반적인 효과크기는 중재와 일반화 단계 모두 중간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변인에 따라 효과크기가 다르게 나타난 것도 있었다. 중재효과크기는, 연구자가 중재를 실행하였을 때, 종속변인이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와, 부모의 중심축 반응 훈련 실행도 이었을 때, 중재가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중심축반응훈련 중재의 향후 연구 방향과 교육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T (pivotal response treatments) interventions for th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22 articles that had been selected in the single subject research literature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and we analyzed the effect size of intervention by using the PND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poi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T interventions had been published in 1987 to 2011 and there are 22 articles on them in which 18 articles were researches abroad and 4 articles were domestic researches.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77 people, of whom 55 people were boys and 11 people were girls. Second, PRT interventions generally showed effective treatment on intervention phase and general phase. Third, resul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variables. PRT intervention effect size was very effective when intervention was made by the researchers and dependent variavles were reduction of disruptive behavior on children and parents accuracy in using the PRT procedure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 for education of PRT for the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as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