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상담자 발달 단계별 수퍼비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허난설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6

        Supervis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school counselor training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Differentiated supervision models for school counselors can help better understanding of comprehensive school counseling programs of the school counselor trainees, and consolidate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In addition, supervision opportunities for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can facilitate the networking process among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nd prevent their burnouts. In spite of the necessities and benefits mentioned above,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reported about the supervision models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supervision models which can apply into the Korea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educat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author divided the Korean school counselor development into the three phases - school counselor trainee level, novice school counselor level, and skilled school counselor level. Then, the purpose of the supervision,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supervision modalities and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for each developmental phase were provided. Lastly, suggestions for the policy and system changes which can increase the supervision opportunities for school counselors, and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학교상담자 훈련 및 전문성 발달 과정에서 수퍼비전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학교상담자들을 위해 차별화된 수퍼비전은 학교상담자를 희망하는 수련생들이 종합적인 학교상담자의 업무를 이해하고, 학교상담자로서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활동 중인 학교상담자들에게도 수퍼비전은 동료 간 네트워킹 및 소진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과 혜택에도 불구하고, 학교상담자 수퍼비전에 대한 학계의 논의는 매우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학교상담자 수퍼비전 문헌들을 분석하여, 한국 학교상담자 교육에 적용 가능한 수퍼비전 모델 및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학교상담자 발달 단계를 학교상담 수련생 단계, 입문기 학교상담자 단계, 숙련기 학교상담자 단계로 나누고, 각 발달 단계별로 수퍼비전의 목적과 발달단계의 특성, 수퍼비전의 형태, 적용 가능한 이론적․방법론적 접근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상담자를 위한 수퍼비전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해 제도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사항에 대한 제언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ADHD 하위 유형별 주의집중능력과 학습전략 비교

        허난설,이명경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ies and learning strategies among non-ADHD students and ADHD subtypes- the inattentive, the hyperactive-impulsive, the combined. A total of 433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Vanderbit teacher rating scale was used to identify ADHD children and differentiate the ADHD subtypes. The result showed that 42 participants (9.7%) were identified to have ADHD symptoms. With regard to ADHD subtypes, the combined type was 21(4.8%), the inattentive type was 14(3.2%), and the hyperactive–impulsive type was 7(1.6%).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test developed by Lee(2011) was used to measure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ies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 showed that only inattentive subtype differed significantly with regard to the level of the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profile compared to the non-ADHD and other ADHD subtype groups. Post-hoc test revealed that inattentive type performed poorer in the auditory memory task and continuous concentration task, and overall process speed of the inattentive type was slower than non-ADHD and other ADHD subtype groups. Regarding the learning strategi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its shape and level of the profiles among ADHD subtype and non-ADHD groups. Findings and i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집중능력 및 학습전략의 사용 면에서 일반 아동과 ADHD 아동이 어떤 다른 양상을 보이는 지를 규명하되, 특히 ADHD 아동을 주의력 결핍 우세형, 과잉행동-충동 우세형, 복합형으로 세분화하여 하위유형별 양상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433명이었으며, 반데르빌트 교사용 평정척도에 기반하여 ADHD 판별 및 하위 유형 분류를 하였다. 분석 결과 42명(9.7%)이 ADHD 아동으로 판별 되었고, 복합형 21명(4.8%), 주의력 결핍 우세형 14명(3.2%), 과잉행동-충동 우세형 7명(1.6%) 순으로 하위 유형이 나타났다. 주의집중능력은 이명경(2011)이 개발한 주의집중능력 검사로 세분화하여 측정 하였는데, 분석 결과 주의력 결핍 우세형 아동 집단만이 일반 아동, 과잉행동-충동 우세형, 복합형과 주의집중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 분석 결과, 주의력 결핍 우세형은 나머지 집단과 비교하여 청각집중력과 지속적 집중력, 즉 청각 자극 단기 기억 과제와 지속적 집중 과제에서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고, 전반적인 작업 처리 속도가 느리게 나타났다. 학습전략 사용 면에서는 일반 아동과 ADHD 하위 유형 집단들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점 등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창의적 체험 활동 및 학급운영을 활용한 초등학교 진로교육 방법

        허난설,김유미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9 초등상담연구 Vol.1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tegories of the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programs us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classroom management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olicymakers. For this purpose, the previous studies and administrative documents relating to the career education programs us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career experience programs were examined. As a result, researchers divided the career education methods us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classroom management into the five categories based on its implementation forms;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upper-level school-linked education, career club, career education through classroom management, and home-learning or parents partnership programs. Then, possible educational methodologies and considerations for each category were suggested. Lastly, researchers provided suggestions for increasing teachers’ awareness about community-based career education and changing policies for the developmentally-appropriate career experience programs. 본 연구는 창의적 체험 활동 및 학급운영 전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초등학교 진로교육 활동의 범주를 살펴보고, 범주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방법론 및 유의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창의적 체험 활동 활용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에 관한 선행 연구와 관련 정책 문서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 및 학급 운영을 활용한 진로교육 방법을 운영 형태에 따라, 진로체험 활동, 상급 학교 연계 교육, 진로동아리, 학급 운영을 통한 진로교육, 가정 연계 및 학부모 참여 진로교육으로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운영형태별 방법론 및 유의점 등을 선행 연구에 기반을 두어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연계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개선과 초등학교 발달단계에 적합한 진로체험 제공을 위한 제도적 개선점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근거 이론을 활용한 초등교사 소진 및 대처 과정에 대한 연구

        허난설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이 경험한 소진 및 대처 과정을 근거 이론적 접근을 통하여 이해하 고, 초등 교사 소진 예방을 위한 정책과 상담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 다. 이에 총 12명의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구두 면접 또는 전화 통화 등을 통한 심층 면접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소진의 인과적 조건으로는 총 4가지 주요한 원인군(과중한 업무, 통제 불가능한 아동들, 학부모나 학교 관리자의 관계적 폭력, 안전사고, 소송 등 사건 관련 트라우 마)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되었다고 인지한 기간 동안 참가자들은 인지적, 정서적, 신체 적 변화와 직무 수행에서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참가자들은 우울, 분노, 불안, 배신감, 억울함 등 강렬한 부정적 정서들을 경험했으며, 일부 교사들은 학교, 학생, 학부모에 대한 방어적, 회 의적 태도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소진 경험 당시 참가자들은 교사와 개인으로서의 자존감 저하와 함께 학생들을 돌볼 심리적, 시간적 여유가 부족해짐을 경험하였다. 참가자들은 문제 해결적 전략, 전문성 향상 노력, 긍정적 재해석, 거리두기, 사회적 자원 활용 등의 방법을 통해 소진에 대처하였으며, 교사 효능감의 회복과 교육 주체들과의 신뢰 관계 회복은 소진으로부터 벗어나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 교사 소진 예방을 위한 행 정 지원책과 상담 서비스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burnout and coping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and examine the needs for burnout prevention related policies and counseling servic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asual condi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burnout include four themes - excessive duties which is not related to teaching, unmanageable students, relational violence by parents or school administrators and trauma after a school accident or a lawsuit. Participants reported cognitive, emotional and physical changes in addition to the difficulties in performing teachers' duties while they perceived themselves as being burnout.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intensive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ger, anxiety, and sense of betrayal. Some participants also reported defensive and skeptical attitudes toward school, students, and parents, and drained psychological energy to care for students. Participants used problem solving strategie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orts, positive reconstruction, conformity, keeping distances from stressors and using social resources as coping strategies. Regaining self-efficacy as a teacher and rebuilding trust relations with stake-holders of school system were reported as helpful elements in the burnout recovery process. Lastly, suggestions for the policy and counseling services for the preven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rnout are provided.

      • KCI등재

        영재아의 정서안정을 위한 통합적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허난설,김유미 한국교육개발원 2009 한국교육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integrativ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emotional stability of gifted children and investigate the program's effectiveness on the emotional stability of gifted children according to the systematic counseling program developing model. Need analysis was conducted with 30 children of the gifted class and the program guide was developed based on task and target population analysis. I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15 gifted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le the other 15 children were placed in a control group. The gifted children's emotion index (Cronbach's α=0.72) was developed for this program's evaluation based on preliminary testing of 98 children of a gifted children's education center.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4 sessions of the integrativ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emotional stability of gifted children over the course of 7 weeks.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12.0,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sub-factors of the gifted children's emotional index: positive and negative self-recognition, a pro-social attitude,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functional perfectionism.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아의 정서 안정을 위한 통합적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먼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체제적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영재 학급 학생 30명에게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과제 및 대상 분석을 하여 이를 근거로 설계 준거를 설정하였다. 이어서 통합적 상담 접근에 따른 프로그램 지침서를 구성하고 예비 실험을 실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서는 영재 학급이나 센터 참가 학생 30명 중 15명을 실험 집단에 15명은 통제 집단에 배정한 후, 실험 집단에만 7주 동안 14회기의 영재아 정서 안정을 위한 통합적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사용된 검사 도구는 본 연구를 위해 개발한 영재아 정서 척도이다. 효과검증을 위한 다변량 공분산 분석 결과,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은 영재아 정서 사후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통합적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영재아의 정서안정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위(Wee)클래스 전문상담교사의 직무패턴 유형 분석

        허난설,이지향,하규영,고혜연,나고은,이상민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work patterns of Korea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based on the amount of time spent for each job category and examine its relationships with their work satisfaction. The open survey with 19 school counselors working in Kyung-gi province and two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0 school counselors recruited from each school level were conducted. 10 job categories (individual counseling & psychological assessment, group counseling, consultation for parents & teachers, preventive & psychological education, case management for crisis students, planning and managing work of Wee Class, supportive work for school-wide projects, professional development, non-counseling related administrative or supportive work, and supervising or managing student work) were derived. And 396 Wee Class school counselors working in the Kyung-gi a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A k-means cluster analysis yielded a five-cluster solution, and each cluster was provided a relevant pattern: (a) job proportion dispersion type; (b) Wee Class management salient type; (c) preventive education salient type; (d) collaborative school service salient type; and (e) individual counseling salient type. Chi-squar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preventive education salient type was more frequent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and Wee Class management salient type was more frequent among the school counselors with less working experience. Also, school counselors belong to the 'preventive education salient' and 'collaborative school service salient' typ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job satisfaction than school counselors of the rest of the types. Lastly, based on the study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job patterns, roles and scope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policies were provided.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직무별 할애시간을 기준으로 현재의 직무패턴을 파악하고 이러한 직무패턴과 직무만족도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에서 근무하는 전문상담교사 1급 자격연수자 19인을 대상으로 주요 직무와 역할 및 업무범위 등을 개방형 설문지를 통하여 파악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초중고 학교급별 전문상담교사 10인을 대상으로 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종 10개의 직무(개인상담 및 심리검사, 집단상담, 학부모 및 교사 자문, 예방 및 심리교육, 위기학생 사례관리 관련 업무, 위(Wee)클래스 운영 및 행정, 위(Wee)클래스가 협조하는 사업, 전문성 향상 활동, 위(Wee)클래스/상담 이외의 사업 운영 및 행정, 생활관리 및 감독) 영역을 도출해 내었다. 다음으로 경기도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396명의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직무별 할애시간을 군집 분석한 결과, 직무비율분산유형, 운영행정 현저유형, 심리교육 현저유형, 협조사업 현저유형, 개인상담 현저유형의 총 5개의 직무패턴 군집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학교급별, 경력 집단별 직무패턴 군집 분포를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급에서 심리교육 현저유형이 더 많이 분포하고, 저경력 집단에서 운영행정 현저유형이 더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패턴 군집별 직무만족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심리교육 현저유형과 협조사업 현저유형의 직무만족도 수준이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문상담교사의 직무패턴과 역할 및 업무범위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과제를 논의를 하였다.

      • KCI등재

        학교상담 직무환경 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허난설(許蘭雪),김희선(金熙宣),이지향(李智?)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아시아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학교상담자들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인적, 문화적 자원의 총체로서 학교상담 직무환경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상담 직무환경에 대한 기존 문헌 조사 및 전문가 협의, 학교상담자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89개의 예비문항을 작성하였고, 상담전문가 및 학교상담자들이 내용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선정된 33개의 예비문항에 대하여 1차 데이터 수집은 경기 지역에서 근무하는 전문상담교사 396명을 대상으로 구인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졌으며, 2차 데이터 수집은 전국에서 근무하는 136명의 전문상담교사와 전문상담사를 대상으로 공인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졌다. 준거타당도 검증에는 환경 평가 도구와 직무적응도 도구가 사용되었다. 요인분석과 상관계수 분석 결과, 학교상담 직무환경 평가 도구는 행정책임자 요인, 동료교사 요인, 지역교육청 요인의 3요인 구조를 이루었고,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최종 결정된 도구의 내적일관성계수(Cronbach"s α)는 행정책임자 요인(7문항)=.93, 동료교사 요인(4문항)=.85, 지역교육청 요인(4문항)=.86, 전체(15문항)=.91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교상담 직무환경 평가 도구는 교육청이나 단위 학교에서 학교상담자가 근무하기 적합한 직무환경이 갖추어졌는지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태학적 관점에서 학교상담자의 직무 적응 및 만족도, 소진, 학교상담의 효과 등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new questionnaire of evaluating school counseling job-environment, embracing physical, human, and cultural resources. For this purpose, through literature review, experts discussion, focus-group interview with school counselors, a pool of 89 items were yield, and then experts of counseling and school counselors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content validity; as a result, a total of 33 items were produced for a preliminary version of SCJEQ. Next, construct validity was studied from a total of 396 school counselors working in Gyeong-gi province, then, concurrent validity was yield with the collected data from a total of 136 school counselors national-wide in Korea, based on scales of job-environment in a general setting, the satisfaction of job-environment, and job-adaptation.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the SCJEQ consists of 3 domains and 15 questions. The 3 domains and their coefficient of internal consistency are administrator-related(7 items)=.93; coworker-related(4 items)=.85; local office of education-related(4 items)=.86; and total(15 items)=.91. It is expected that the SCJEQ might be used to evaluate the job-environment of school counselors at the level of a school, as well as a local Ministry of Education. Furthermore,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SCJEQ can be utilized to study the level of job-adaptation and job-satisfaction, burnout of school counselors, and the effectiveness of school counseling.

      • KCI등재

        초등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직업 정체성의 조절 효과

        허난설(Heo, Nanseol)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초등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직업 정체성의 역할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으로는 전국에 분포한 초등학교에서 재직 중인 148명의 교사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 스트레스는 소진의 세 가지 양상 중 정서적 소진과 비인간화와는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으나, 개인적 성취감의 감소와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업 정체성의 경우, 소진의 세 가지 양상 모두와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있었다. 위계적 회귀 분석 결과 직업 정체성은 직무 스트레스와 정서적 고갈과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β=.172, t=2.632, p<.01). 사후 분석 실시 결과, 직업 정체성이 높은 집단은 직무 스트레스가 낮은 상황에서는 직업 정체성이 보통인 집단에 비해 정서적 고갈 수준이 낮지만,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에서는 직업 정체성이 중간인 집단보다 정서적 고갈 수준이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직업 정체성이 낮은 집단은 직무 스트레스가 낮거나 높은 상황 모두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수준의 정서적 고갈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 교사들에게 높은 직업 정체성은 직무 스트레스가 낮은 경우에는 직업 소진을 완화하는 데 유의미한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직무 스트레스가 어느 수준 이상 높아진 상황에서는 더 이상 유의미한 역할을 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초등 교사 소진 예방을 위한 정책 및 상담 서비스에 대한 제언점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rofessional identity, job stress and burnout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nts were 148 teachers working in the elementary schools across South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motional exhaustion and depersonalization of the three sub-factors of the burnout, while job stress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Professional identity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l three sub-factors of the burnout. The result of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h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β=.172, t=2.632, p<.01). As a result of the post hoc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motional exhaustion level of the group having higher professional identity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groups having moderate professional identity under that lower job stress situation. However, as the job stress increased, the emotional exhaustion level of the group having higher professional identity was higher than the groups having moderate professional identity. The group having lower professional identity showed higher level of the emotional exhaustion than other groups regardless of the job stress level. Findings of this study implies that high level of professional identity has a buffering effect on burnout under the lower job stress situ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ile it tends to be diminished as job stress increases. Suggestions for the policy and counseling services for the preven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urnout a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