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물원에서 집단 발생한 개 디스템퍼 감염증

        허권,배지선,최재훈,신남식,이기환,권수완,김대용,Hur, Kwon,Bae, Ji-Seon,Choi, Jae-Hoon,Shin, Nam-Sik,Lee, Ki-Whan,Kwon, Soo-Wahn,Kim, Dae-Yong 한국수의병리학회 1998 한국수의병리학회지 Vol.2 No.2

        A total of 5 animals including 3 raccoons, 1 badger, and 1 fennec fox kept in outdoor exhibits at the Everland Zoological Gardens showed depression, anorexia, dyspnea, serous oculonasal discharge, diarrhea, and convulsions. All the affected animals died within 10 days after the onset of clinical signs. This outbreak lasted about 4 months. On necropsy, major gross lesions were confined to the lungs. Red to grey sublobular to lobular consolidations with various sized tan to reddish spots were observed in the lungs. Histopathologically, the pulmonary lesions were characterized by acute to subacute bronchointerstitial pneumonia with secondary bacterial or adenoviral infections. Intracytoplasmic eosinophilic inclusion bodies compatible with canine distemper virus (CDV) were found in the lung, urinary bladder, kidney, intrahepatic bile duct, stomach, small and large intestines. Multifocal areas of severe demyelination and accumulation of gitter cells or nonsuppurative inflammation were seen in the brains of 2 raccoons. CDV -specific antigens were demonstrated in the lung sections on immunofluorescent assay. The present report describes an outbreak of CDV infection in a zoo and indicates the range of susceptible zoo animal spec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금낭화의 생육특성 및 자생지 식생조사

        허권,이채곤,장민영,조동하,유창연,Heo, Kwon,Lee, Chae-Gon,Jang, Min-Young,Cho, Dong-Ha,Yoo, Chang-Yeon 한국자원식물학회 2000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3 No.3

        금낭화의 적정 재배환경을 구명하기 위하여 금낭화의 자생지 식생 및 생육환경을 조사한 결과, 금낭화가 자생하고 있는 곳은 해발 630~690m의 북동사면 전석지 지역이었고, 경사도는 25$^{\circ}$~ 33$^{\circ}$ 범위이었다. 군락내 광도는 평균 14,0001ux 였으며, 생육초기에는 높았고 후기로 갈수록 광도는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방형구당 금낭화 개체수는 평균 30개체 였으며, 전체 방형구에서 출현한 종수는 52종이었다. 이들 중 목본식 물은 신갈나무, 생강나무, 난티 잎개암 나무, 층층나무, 초본식물은 산괴불주머니, 개별꽃, 맑은대쑥, 관중, 천남성, 대사초, 홀아비꽃대가 우점하였다. 금낭화 자생지의 평균 토양 수분은 약 32.6%이었고, 토양산도는 5.1~6.0 범위이었으며, 유기물 함량은 1.70~2.20%, 인산함량은 평균 14mg/kg이었다. 치환성 양이온 용량은 칼륨 0.55me/100g, 칼슘 15.2me/100g 그리고 마그네슘이 3.3me/100g이었고, 전기전도도는 0.50~0.76dS/m 범위였다. 생육기인 5월과 6월의 평균기온은 각각 14.2$^{\circ}C$와 19.4$^{\circ}C$이었다. 조사결과 금낭화는 차광조건이 요구되고, pH 5.5 정도의 수분이 충분히 유지 되는 토양조건과 평균 14$^{\circ}C$~19$^{\circ}C$ 정도의 기온에서 좋은 생육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optimum cultivation conditions of wild ornamental plant resources, Dicentra spectabilis L. The altitude of the habitat was ranged from 630m to 690m in Mt. Gujeol. Most of the habitat faced toward the northeast aspect and the gradient was ranged from 25 to 33 degrees. The light intensity of Dicentra community was 14,000lux on the average, and it was tendency to decrease by foliation of other woody plants. The appearance number of Dicentra per quadrat was 30 individuals on the average, and total appearance species in all quadrat surveyed was 52 taxa. Among them, Quercus mongolica, Lindera obtusiloba, Corylus heterophylla, Cornus controversa, woody plants, Corydalis speciosa,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Artemisia keiskeana, Dryopteris crassirhizoma, Arisaema amurense var. serratum, Carex siroumensis, and Chloranthus japonicus, herbaceous plants, were showed as dominant species. Soil acidity in the habitat was 5.15 to 5.96, and average content of soil moisture was 32.6%. The contents of average organic matter, $P_2O_5$, K, Ca, and Mg were 1.99%, 14mg/kg, 0.55me/100g, 15.2me/100g, and 3.3me/100g, respectively. Electron conductivity was ranged from 0.50 to 0.76dS/m. Also, the average air temperature of May and June was 14.2$^{\circ}C$ and 19.4$^{\circ}C$, respectively.

      • 반도체 In₂O₃촉매의 결함 조절에 의한 일산화탄소의 산화반응

        허권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4 원우론집 Vol.12 No.1

        순수한 In2O3, 환원시킨 In2O3 그리고 NiO-doped In2O3를 촉매로 하여 CO의 산화반응을 433-513K 온도영역에서 실험하였다. 초기반응단계에서는 Roginsky-Zeldovich 속도식에 잘 일치하며 활성화에너지는 37.2kJmol-1이고, 촉매활성이 일정하게 나타나는 반응단계에서는 413-473 K 온도영역에서 전반응차수가 1차이며 활성화에너지는 27.2kJㆍmol-1로서 CO2에 의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493K 이상에 서는 반응물이 촉매에 대한 기공확산이나 촉매 내부의 확산이 일어날 수 있음을 보였다. 433-473K 영역의 초기반음 단계에서 산화반응은 반응기체 압력에 의존하지 않는 0차반응을 나타내며 촉매활성이 일정한 영역에서 산화반응은 근사적으로 1차형 속도식을 나타내었고 CO2 trap을 사용한 결과전반응 차수는 1.5차로서 CO에 대해 1차 O2에 대해 0.5차의 의존성을 보였다. 결정내의 산소결함 농도가 반응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CO의 흡착자리는 격자산소(OO2-)이고 O2의 흡착자리는 촉매의 처리과정과 제조과정에 의해 형성된 산소공위(VOX)로서 밝혀졌다. 반응속도론적 데이타와 전기전도도 측정데이타를 결부시켜 산화반응 메카니즘을 제안하였으며 산소공위가 반응속도에 미치는 효과 및 산소공위에 O2가 흡착하는 과정이 속도결정 단계임을 설명하였다. A kinetic study of CO oxidation on pure, reduced, and NiO-doped Indium sesquioxide systems was carried out in the temperature range of 433-513 K. Catalytic oxidation showed two step regions. First initial step of fresh sample followed the Roginsky-Zeldvich kinetics with the apparent activation energy was 91.2 KJ mal-1. The second step which showed a constant activity was found to be the approximate first oxder kinetics with the apparent activation energy was 27.2KJ.mal-1 and then the inhibition by produced CO2 was observed. By use of CO2 trap, however the oxidation kinetics was found to be the first order with respect to CO and the one-half order to O2. The rate determining step was considered as the adsorption process of oxygen on the surface of catalyst. The site for CO adsorption was the lattice oxygen (OO2-) and the site for O2 adsorption was the oxygen vacancy formed by vaccum activation, hydrogen reduction, and NiO doping. It was belived tht the oxygen vacancy was responsible for the catalytic activity for Co oxidation.

      • 실시간 통신에서 가변 지연을 만족하기 위한 Multiple Rotating Priority Queue Scheduler

        허권,김명준,Hur, Kwon,Kim, Myung-J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 정보처리논문지 Vol.7 No.8

        실시간 스케줄러는 대역폭, 필요 버퍼량 등과 같은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한정된 통신 지연(bounded delay)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제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많은 스케줄링 방법론이 제시되었다. 그중 EDF 스케줄링 방법론이 최적의 성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EDF 스케줄링 방법론은 “sort”나“search”와 같은 연산 작업을 수행함으로서, 과다한 오버헤드를 발생시킨다. Rotating Priority Queues(PRQ) 스케줄러는 EDF 연산 작업 없이 EDF 스케줄러에 근접한 성능을 갖는 스케줄러이다. 그러나 RPQ 스케줄러는 과다한 버퍼량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Multiple Rotating Priority Queues(MRPQ) 스케줄러를 제시한다. MRPQ 스케줄러는 “block queue”라는 새로운 개념을 이용하여 회전 우선 순위 queue를 다중 계층으로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MRPQ 스케줄러 RQP스케줄러에서 필요한 버퍼량의 반 정도의 버퍼량만을 사용하여, RPQ 스케줄러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MRPQ 스케줄러는 RPQ 스케줄러와 동일한 최대 지연시간을 제공한다. Packet schedulers for real-time communication must provide bounded delay and efficient use of network resources such as bandwidth, buffers and so on. In order to satisfy them, a large number of packet scheduling methods have been proposed. Among packet scheduling methods, an EDF (Earliest Deadline First) scheduling is the optimal one for a bounded delay service. A disadvantage of EDF scheduling is that queued packets must be sorted according to their deadlines, requiring a search operation whenever a new packet arrives at the scheduler. Although an RPQ (Rotating Priority Queue) scheduler, requiring large size of buffers, does not use such operation, it can closely approximate the schedulability of an EDF scheduler. To overcome the buffer size problem of an RPQ scheduler, this paper proposes a new scheduler named MRPQ (Multiple Rotating Priority Queue). In a MRPQ scheduler, there are several layers with a set of Queues. In a layer, Queues are configured by using a new strategy named block Queue. A MRPQ scheduler needs nearly half of buffer size required in an RPQ scheduler and produces schedulability as good as an RPQ schedul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