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고객의 무례한 행동이 조직 구성원의 서비스 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준구 글로벌경영학회 2018 글로벌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2

        서비스 조직의 구성원들은 다양한 고객을 응대한다. 이 과정에서 때로는 고객으로부터 여러 형태의 비인격적 대우를 받기도 한다. 다양한 비인격적 대우 중, 특히 공격의도가 모호하지만 언어적 혹은 비언어적으로 무시하고 모욕감을 주는 고객의 무례한 행동(customer incivility)으로 인해 구성원들은 직장에서 정신적 및 육체적으로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점에서 조직은 고객의 무례한 행동이라는 비인격적 대우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제도적인 대책과 지원을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지속적인 서비스 몰입을 높이고 이직의도를 낮추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객의 무례한 행동이 스트레스를 통해 서비스 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메커니증에 초점을 두었다. 특히, 고객의 무례한 행동이 구성원들에게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보다 엄격하게 확인하기 위해, 조직 내부에서 경험할 수 있는 직속상사의 비인격적 감독(abusive supervision)을 통 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고객서비스가 중요한 금융, 헬스케어, 교육서비스 기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205개의 자료를 기반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의 무례한 행동은 구성원들의 일과 삶에서 핵심인 서비스 몰입 및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내부 직속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의 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유의하여, 고객의 무례한 행동이 서비스 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고유하다는 점이 확인 되었다. 둘째, 스트레스가 고객의 무례한 행동으로 인한 서비스 몰입과 이직의도의 유의미한 매개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심리적 주인의식이 발언행동과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준구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1

        조직은 구성원들이 ‘주인의식’을 가지기를 원하고 있다. 국내 ‘100대 기업의 인재상’을 분석한 보고서에따르면, ‘주인의식’은 44개 회사가 인재상에 포함하고 있어, 전체 5번째 순서를 기록하였다. 이처럼 조직에서구성원의 ‘주인의식’을 강조하면서 조직행동 분야에서도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심리적 주인의식을 높이는 요인과 심리적 주인의식의 결과를 찾고자 하는 노력에도불구하고, 기존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한계가 존재한다. 먼저 심리적 주인의식과 역할 외 행동(예: 조직시민행동 등)의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존재하지만, 심리적 주인의식이 발언행동과 도움행동에 어떠한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의 효과는 상황에의하여 촉진되거나 제한되기 때문에 조직 상황적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러한관점의 연구를 쉽게 찾아보기가 어렵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주인의식이 조직구성원의 발언행동과 도움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고, 조직 상황적 요소로서 갈등과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조직 구성원이 인식하는 갈등을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으로 구분하여, 각각의차별적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국내 4개 조직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118개의 자료를 기반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주인의식이 조직 구성원의 역할 외 행동인 발언행동과 도움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주인의식과 발언행동간의 관계에서는 과업갈등이, 심리적 주인의식과 도움행동간의 관계에서는관계갈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과업갈등을 낮게 지각하는 집단에서는 심리적 주인의식의 증가에 따라 발언행동도 증가하였으나, 과업갈등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집단에서는 심리적주인의식이 높아질 때 발언행동이 조금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관계갈등의 조절효과도 확인할수 있었는데, 이는 가설과는 다른 방향으로 유의함을 보였다. 즉, 관계갈등을 낮게 인식하고 있는 집단은 심리적주인의식의 증가와 관계없이 높은 수준의 도움행동을 유지하였으나, 관계갈등을 높이 인식하고 있는 집단은심리적 주인의식이 증가할수록 도움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에서 구성원들의주인의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동시에, 상황적 요소인 갈등을 잘 관리해야 함을 시사하는 결과라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한계와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organization is rapidly changing, such as globalization, prog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demarcation of each field. Organizations therefore emphasize innovation for change and survival, and require members to quickly adapt to the environment through flexible thinking. In particular, organizations are demanding that their members have 'ownership'. According to a report analyzing the talents of the top 100 companies in Korea, 'ownership' was included in the talent list by 44 companies. The organization emphasizes the 'ownership' of the members, and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the organization members is actively studied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ere are two main trends in psychological ownership. First, to find the antecedent factors to increase or decrease the psychological ownership. The second research trend related to psychological ownership is related to the result or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Despite efforts to find antecedents an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ownership, there are two limitations of the existing research.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extra-role behaviors(e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how psychological ownership affects voice and helping behavior. Secondly, although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ownership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are facilitated or restricted by the situation,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research of this viewpoint even though the organizational situation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This study aim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sychological ownership of organizational members. First, I examin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 on the voice and helping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Second, I tried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 with conflict as organizational context factor.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 surveyed the members of four domestic organizations. A total of 150 subjects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and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inally,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118 data. The questionnaire was paired with the boss and the organization members. First, organizational members responded to psychological ownership, task conflict, relationship conflict,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Voice behavior and helping behavior were measured by supervis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firms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voice behaviors and help behaviors, which are behaviors extra-role of organization member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voice behaviors, it was confirmed that task conflicts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mastership and help behaviors.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conflict ha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helping behavior.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relationship conflicts showed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hypothes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oretically,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of the psychological ownership expanded by verifying the effect of the psycholoigcal ownership on the voice behavior and the helping behavior. Second, in this study, I identified discriminatory interactions between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in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ownership affecting voice and helping behavior. The task conflict, which has a strong process,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voice behavior. Relationship conflicts with strong emotional characteristics confirm the differential effect of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helping behavior. Bas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리더의 유머 사용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구성원의 심리적 안정성의 매개효과와 개방적 성격의 조절효과

        한준구,김성은 대한경영정보학회 2016 경영과 정보연구 Vol.3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의 유머 사용이 창의성에 어떻게, 언제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이 유머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의를 하고 있으나, 아직 해결하지 못한 이슈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블랙박스로 남아있던 리더의 유머 사용이 언제, 어떻게 창의성에 연결될 수 있을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선행연구와 확장-구축이론을 바탕으로 심리적 안정성을 리더의 유머 사용이 창의성으로 연결되는 메커니즘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창의성의 상호작용 이론에 기반을 두어 개인의 개방적인 성격이 심리적 안정성과 창의성 사이를 조절할 것이라고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건설, 패션, 교육과 관련된 기업(기관)에 있는 12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리더가 유머를 많이 사용할수록 구성원의 창의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리더의 유머 사용은 심리적 안정성을 통하여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심리적 안정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성원 개인의 성격 중 하나인 개방성은 심리적 안정성과 창의성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부분에서는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use of leader's humor. This study focuses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use of leader's humor. Furthermore, it attempts to understand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safety and the moderating role of openness of experience.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24 and four hypotheses were verifie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aders' humor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al effect on creativity. Second,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between leader's humor and creativity. Third,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openness of experience between leader's humor and creativity.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help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humor, creativity, psychological safety and openness of experience that it proposes implications on vitalizing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personnel training.

      • KCI등재

        리더 및 동료와의 상호작용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교환이론을 중심으로

        한준구,김성은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22 서비스경영학회지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interaction with leaders and co-worker affects the knowledge sharing of organizational members through what process. It also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Previous studies related to knowledge sharing have independently studied leadership 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ch as trust or fairness, but have not dealt with them in an integrated way. Therefore, based on previous studies,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tested on the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and perceived co-worker support on knowledge sharing. Also, in this process, psychological safety was set as a mediator and this was verified. To verify this, 163 members of 5 service organizations were surveyed and data were colle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busive supervi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knowledge sharing, and members who recognized the support of their co-worker shared more knowledge. Also, it was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safety partially mediates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knowledge sharing, and completely mediates between perceived co-worker support and knowledge sharing. In the conclusion secti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 및 동료와의 상호작용이 조직 구성원의 지식공유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영향을 주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지식공유와 관련된 연구들은 리더십 혹은 신뢰나 공정성과 같은 대인 관계를 독립적으로 연구하여 왔으나, 이를 통합적으로 다루지는 않았다. 따라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비인격적 감독과 동료지원 인식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심리적 안전감을 매개변수로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5개 서비스 조직의 구성원 16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비인격적 감독은 지식공유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동료들의 지원을 인식한

      • KCI등재

        Volumetric 3D Display: Features and Classification

        한준구,문운찬,전호성,정민우,이승주,이건희,최무한 한국광학회 2023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Vol.7 No.6

        Volumetric 3D displays generate voxels to enable users to watch three-dimensional virtual objects from various angles, and they have a significant advantage over other types of 3D displays in terms of realism and the absence of vergence-accommodation conflict (VAC). By virtue of these advantages, various volumetric 3D display technologies incorporating novel approaches have been introduced competitively. As a result, the conventional classification criteria for volumetric 3D technology often fall short in categorizing these innovative methods. In this study, we present an improved classification framework capable of accommodating these new technologies. We expect that a new classification may offer some intuition to identify areas of technical deficiency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technolog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