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택 가격 변화의 지역별 추세에 관한 연구

        한주연 한국 지리·환경 교육학회 199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7 No.2

        After continuous housing price increases during the 1980s, the need for a more permanent and radical solution for the expansion of housing stock was largely recognized. The Two Million Unit Housing Construction Plan of 1988-1992 was a construction plan of extensive scale that proposed to relieve housing shortages in the Korean cities. The plan was relatively successful for the expansion of housing stock. Accordingly, ever-rising housing prices started to be stabilized after the mid-1990s. At the end of 1997, the depression of housing markets took place due to the economic crisis in Korea. The price of housing abruptly dropped in 1998 and managed to bounce back after the mid-1999. During the period of hosing price rise in the early 1990s and its decrease after the Korean economic crisis, the degree of housing price change was not even across the country. The cities in Kyunggi province registered the highest degree of change both for the rise and the fall of housing price in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price was relatively stable, especially for the purchase price, in the cities in Kangwon or North Chonlla provinces, which did not get much share of the increasing urban population during the rapid urbanization period.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s in the housing price change in Korea was that different types of housing had a different rate of change. The increase in apartment prices led the total housing price increase during the periods of housing price rise in the early 1990s and in the mid-1999. The degree of the decrease of apartment prices was also higher during the period of housing market depression. The housing price rise struck renters market more seriously. Overall, the apartment units in Kyunggi province in renters market stood in the forefront of the house price change. In the local cities in the provinces like Kangwon or North Chonlla where the housing price has been relatively stable, the difference of the rate of change between housing types was not noticeable.

      • 국제박물관협의회(ICOM)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 제25회 교토 국제박물관협의회 총회를 다녀와서

        한주연 국립중앙박물관 2019 박물관 교육 Vol.3 No.-

        이번 교토 총회의 주제는 '문화 허브로서의 박물관:전통의 미래'로 진행되었다. 세션 발표는 다양성 연구, 건강과 복지, 문화적 행동은 무엇인가, 사회 정의를 위한 박물관 교육, 다양한 관객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박물관의 가능성, 박물관의 안과 밖, 우수 연구자 및 프로그램 시상자 발표 등의 소주제로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활동을 효율적으로 공유하였다.

      • KCI등재

        Management and Embracement of Emotional Experiences in Therapeutic Use of Game Space

        한주연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9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2 No.1

        The therapy using virtual space is a method to enhance mental health which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convenient access and flexible self-image. In particular, therapeutic functional games modify and improve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of participants via various types of experience, with a representative type being emotional experiences which play an important therapeutic role in the contact with reality. This paper discusses how to use games of various genres to solve problems in managing and embracing emotions. Participants suffering from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can face up to and cope with the emotions in the space of transference games, or express and relieve them enjoying safe play activities in the space of non-transference games. In the transference space, one can keep oneself detached from induced emotional experiences and thus adjust, control, or objectify one’s own emotions. Accordingly, the emotional experience in games neither belongs to others, nor oneself, but is located in-between. In addition, serving as the space of flexibility where one can experience various images of oneself and search for one’s genuine interests and identities, virtual space provides domains of self-reflection and exploration where the Idealized self emerges and the true self is unceasingly envisaged and tested.

      • KCI등재

        중고등학교 읽기 부진 학생의 독해 양상과 교육적 시사점 - 정보 텍스트와 서사 텍스트를 중심으로 -

        한주연,김혜정 한국어교육학회 2023 국어교육 Vol.- No.18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poor reading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and second year of high school, to examine its causes in various ways by paying attention to text-type factors, an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poor reading. To supplement existing research on children with poor reading centered on expository texts, we examined the reading the reading aspects of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ared to narrative texts. To this end, 113 students in their third year of middle school and 110 students in their second year of high school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first study. First, we administer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on the reading abilities and attitudes of all students. Based on these data, the final 49 students were estimated to be poor reading students, and the results of the second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by including the advice of Korean and homeroom teachers who directly guided students in each grade. Finally, 10 students who answered that it was difficult to read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in depth. The analysis revealed that students with poor reading experience found it relatively more difficult to type expository texts than narrative texts. Many answered that it was because of an uninteresting or unfamiliar topic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others that expository text was difficult and not fun due to a lack of background knowledge of concepts and content. In addition, for narrative text, the frequency of reading experience and familiarity and interest were relatively high; however, this type of text shows low achievement in literary evaluation and is therefore also difficul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tudents, we found that the reasons for difficulty with the expository text, the absence of a reading strategy, and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literary context were the reasons for difficulty with the narrative text, which they thought was relatively easier.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읽기 부진 실태를 조사하고 읽기 부진의 원인을 텍스트 유형 요인에 주목하여 다각적으로 살펴보고, 읽기 부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정보 텍스트 중심의 읽기 부진아 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서사 텍스트와 비교하여 읽기 부진아의 독해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113명, 고등학교 2학년 110명을 1차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먼저,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독해 능력과 태도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중 읽기 능력이 낮고, 읽기 태도가 부정적인 학생들을 변별하였고, 이 자료를 토대로 각 학년의 학생을 직접 지도한 국어 교사와 담임 교사의 자문 의견(학교 성적, 국어 수업 중 읽기 능력 관찰 등을 토대로 한 전문가적 판단)을 추가하여, 최종 49명을 읽기 부진 학생들로 추정하고 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2차로 설문 결과를 심층 분석하였다. 끝으로 읽기 어려움이 크다고 답한 10명의 학생들을 선정하여 심층 면담하였다. 분석 결과, 읽기 부진 학생들은 서사 텍스트보다 정보 텍스트 유형을 상대적으로 더 어려워함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로는, 설문을 통해 관심이 없거나 낯선 주제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고, 면담을 통해 개념과 내용에 대한 배경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정보 텍스트가 어렵고 재미없다는 추가 답변을 얻었다. 또한 서사 텍스트에 대해서는 독서 경험의 빈도는 상대적으로 높으며, 친숙도, 흥미도도 높게 나타나지만, 문학 평가에서는 낮은 성취를 보이기 때문에 결국 서사 텍스트도 어렵게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생 심층 면담을 통해서는 정보 텍스트를 어려워하는 이유로, 읽기 전략의 부재, 상대적으로 더 쉽다고 생각하는 서사 텍스트를 어려워하는 이유로는 문학적 맥락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보호관찰소 청소년을 위한 멀티미디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대한 연구

        한주연,이상은 한국영상학회 2018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보호관찰소 청소년들의 교육 참여와 표현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지 알아보고 향후 유사한 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집단미술치료는 집단적 역동을 치료에 이용하는 미술치료 과정이며 본 연구에서는 보호관찰소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기존 미술치료와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창작과 표현을 병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0000보호관찰소에서 보호관찰 처분을 받은 16-20세 사이 청소년 10명이며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은 동일 인원 보호관찰 청소년들을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집단미술치료는 2017년 8월 30일부터 사전 사후 회기를 제외한 12회기를 주 1회 120분간 실시하였으며 연구도구는 PPAT 그림검사, 심리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자료는 Sapiro-Wilks test를 통하여 집단의 정규성을 확인한 후 대응표본 t-test(paired sample t-test)를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던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의 자기표현 능력이 사전(2.66)에 비해 사후(2.78)에 증가하였으며, 공격적 행동 의도는 사전(26.85)에 비해 사후(36.55)에 감소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멀티미디어 집단미술치료가 보호관찰소 학생들의 표현 능력 신장과 정서 안정에 효과가 있었음과 표현 도구를 다변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multimedia group art therapy enhances the participation and expressive ability of adolescents under probation and to provide usefu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imilar treatment programs. Given that group art therapy should use group dynamics for therapeutic effects, this study endeavored to draw active participation from probationers by combining previous art therapies with multimedia-based creation and expression.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ten adolescents aged 16-20 years at a probation center in Seoul, while the control group had the same number of adolescent probation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group art therapy. Beginning on August 30th in 2017, the group art therapy provided 12 two-hour-long weekly lessons with a PPAT drawing test and a psychological questionnaire used in the pretest and posttest session. The normal distribution of the data was confirmed by the Shapiro Wilk test, and each group’s performance was analyzed by paired sample t-tests. The results indicate that on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erms of their self-expression ability (2.66 to 2.78) and their aggressive behavior intention scores (26.85 to 36.55). It was found that multimedia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for probationers to enhance their expression ability and stabilize their emotional state, with various tools employed for self-expression.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frequency and depth of communication increased when the traditional art media were combined with multimedia.

      • KCI등재

        교힐(絞纈)기법에 관한 연구 -바느질, 감아 묶기 기초제작방법을 중심으로-

        한주연,이동아 한국동양예술학회 2019 동양예술 Vol.43 No.-

        교힐(絞纈)은 우리나라에서 거의 잊혀진 방염기법(防染技法)이나 고대부터 전 세계적으로 사용된 대표적 문양표현 중 하나로 그 기원 및 전파과정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바 없으며, 현재 일본, 인도,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전승 및 발전 되어오고 있다. 1960년대 이후 섬유예술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일본에서는 패션 및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응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교힐(絞纈)에 관한 기록 및 회화는 삼국시대부터 확인되어지며,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문집을 통해서만 확인되어지나 이에 대한 기록은 거의 없고, 유물 역시 확인되어지지 않고 있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에 들어서 교힐(絞纈)은 점차 사라진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교힐(絞纈)에 대한 현재 구체적 도안이나 기법이 전승되지 않게 된 것이 아닌가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 시보리(絞リ shibori)의 기초제작 방법과 전통공예상품으로 지정된 아리마쯔시보리(有松絞り)기법을 바탕으로 바느질 및 감아 묶기 기법의 제작과정 과 방법제시와 이에 따른 문양을 제시 하고자 한다.

      • KCI등재

        BIM 적용을 통한 노후공동주택 리모델링 공사 표준화 방안

        한주연,차희성,이동건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0 No.3

        1970년대 정부의 주택 보급률 증가 정책에 의해 공동주택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그로 인해 현재 노후화된 공동주택이 증가하고 있으며, 주거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재건축이나 리모델링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자원낭비와 부동산 문제등의 폐해 때문에 재건축보다는 리모델링 공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리모델링 공사는 참여자간의 의사소통 문제와 철거․보수 공사와 같이 불확실성이 많은 공정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들은 리모델링 공사의 표준화 미흡으로 인하여 더욱 큰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리모델링 공사의 표준화 문제의 해결에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도구가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리모델링 공사에서 BIM을 통한 리모델링 표준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case study에 적용을 통하여 BIM의 향후 활용 가능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리모델링 공사에 BIM의 활용을 통하여 공사 효율성이 증진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