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안전사고 데이터의 체계적 수집과 활용 방안 연구 : 인천시 학교안전사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종극(Jong Keuk Han)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Crisisonomy Vol.16 No.5

        본 연구는 학교현장과 교육당국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학교안전사고 예방 정책의 수립과 실행을 위한 학교안전사고 관련 데이터 수집과 활용에 대한 실효적인 방법 제시를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안전법」의 학교안전사고 보고 서식의 학교안전사고 데이터 분류에 따라 6년간(’13~’18년) 인천시 유·초·중·고등학교의 학교안전사고 35,994건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학교안전법」에 따라 수집된 학교안전사고 데이터는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손상의 직접적 원인만을 포함하고 있어 학교안전사고의 발생장소, 시간, 활동, 손상유형, 손상부위 등 사고로 인한 손상의 특성 이외에 학교안전사고 재발방지책 마련에 필요한 사고 발생원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해 학교안전사고를 줄이려는 교육당국과 학교현장의 정책적·교육적 노력의 효과가 제한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연구자는 효과적인 학교안전사고 재발방지책 마련을 위해서는 학교안전사고의 원인조사를 통해 사고 발생의 표면적 원인과 근본적 원인을 찾아내고, 이에 따른 물리적, 조직적, 학습적 차원의 재발방지책 마련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signing the method of systematic data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student injury data which can be used to establish and implement effective policies for school safety and accident preven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994 cases of school accidents reported by kindergarte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Incheon City for 6 years (2013 - 2018). It is found that the contents of the data col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school Safety Act」 in Korea contains only the direct cause of the accidents and lacks the details necessary to make it complete, which lead to limited effects of the existing policies of educational authorities for school safety and accident preven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identification of the surface and root causes of the accidents through the detailed investigation and the corrective action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the same type of accidents.

      • KCI등재

        요구분석을 통한 학교안전정책 개선방안 연구

        오대영,신선희,박윤주,김경회,한종극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19 교육·녹색환경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ly, it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the 34 specific policies of school safety-accident prevention that were implemented at K-12 public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e 1st School Safety-Accident Prevention Plan established in December 2015. Secondly, it prioritized the policies based on the outcomes from the investigation to make policy recommendations for future improvement.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614 school teachers and staff from 24 school-safety research schools across the nation on their perception of the current policies for preventing school safety accidents. Specifically, they were asked about the degree of realization and the necessity of expansion of the policie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Borich index as a needs measure was computed for each policy and a list of policies prioritized in descending order of the index was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chool teachers and staff’s perception of the improvement of school safety since the policies took effect was highly positive in general. It was also shown that the policies perceived as best-implemented were, in descending order, “first-aid education for teachers and staff”, “safety management of school meals”, “prevention activity of student traffic safety-accident”, and so on. The majority of survey respondents said that the policies were being implemented well and that they should be expanded and enhanced. As a result of the Borich’s needs analysis, it was found that “more collegial collaboration between the Office of Education and other relevant organizations in the community for school safety", "prevention education activity for water safety”, and so forth should be more actively implemented. 본 연구는 2015년 12월 수립된 제1차 학교안전사고 예방 계획을 기초로 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학교안전사고 예방 34개 세부과제를 평가하고 학교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세부과제들 중 우선순위를 두고 추진해야 할 과제를 분석하여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24개 학교안전 연구학교 교직원 614명을 대상으로 학교안전사고 예방 계획 추진과제별 실현 수준 및 확대 필요성에 대한 인식수준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는 보리치(Borich) 요구도 분석을 통하여 중점 추진과제에 대한 순위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학교 교직원들의 학교안전 개선 체감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가장 충실하게 시행된 정책과제는 교직원 대상 응급처치교육, 학교급식 안전관리, 학생 교통안전사고 예방활동 순이었다. 대다수의 설문참여자들은 해당 정책들이 잘 추진되고 있으며 지금보다 더 확대되고 강화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학교안전을 위해 교육청과 지역사회 관련기관의 긴밀한 협력’, ‘수상 안전사고 예방교육 활동’이 더 적극적으로 시행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학교안전기준 내용 및 형식에 대한 현장 전문가의 인식 분석

        조용,이 병호,한종극,박윤주 (사)한국교육녹색환경연구원 2023 교육·녹색환경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안전한 학교 실현을 위한 학교의 역할과 책임을명확히 하기 위하여 학교안전기준의 내용과 형식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안전기준이 학교 현장에서 운영하는데 어려움을 교육행정사무관, 장학사, 연구사 총26명으로 4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청취하고 관련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학교안전기준안에 대한 시도교육청에 재직하고 있는 교육행정사무관, 장학사, 연구사의 심층 면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교안전기준 개발의 필요성, 학교안전기준 내용의 적정성, 학교안전기준 형식의 적절성, 학교안전기준안의 현장 적용성 등 넷측면에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안전기준 개발 방향 설정에 관한 내용이다. 둘째, 학교안전기준 체계 및 내용 탐구에 관한 내용이다. 셋째. 학교안전기준 내용 초안 마련에 관한 내용이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content and format of school safety standards to clarify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schools in realizing school safety. Toward this end, difficulties in operating school safety standards at various sites were classified into four small groups with a total of 26 educational administrators, superintendents, and researchers to listen to the opinions of experts in the field and analyze related data. As a result, we comprehensively analyz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spondents who are working at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regarding the proposed school safety standards. We also analyz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hese standards and examin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ir content and format. Results were derived from four aspects, including the field applicability of such standards. The study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focuses on setting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school safety standards. Second, it highlights the exploration of the system and content of these standards. Third, it pertains to the preparation of a draft of these standards.

      • KCI등재

        위기대응능력 제고를 위한 학교안전교육 제도 개선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조용,노석준,송인발,한종극,이정환,박윤주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교육연구 Vol.88 No.-

        본 연구는 위험사회를 대비하여 위기대응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학교안전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 학교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청취하여 학교안전교육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교안전교육은 위기대응능력 향상을 목표로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 매뉴얼 중심의 안전교육에서 체험에 기반한 위험교육으로패러다임의 전환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위기대응능력 제고의 관점에서 현행 학교안전교육에 대한 학교관리자 5명, 안전부장 4명, 일반교사 5명의 의견을 심층적으로청취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안전교육 제도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안전교육 시수의 현실화를 통한 삶과 연계된 실질적인 안전교육으로의전환이다. 둘째, 안전체험시설의 지속적인 확충과 프로그램 내실화이다. 셋째, 교사전문성 신장을 위해 연수대상별 맞춤형 체험연수 개설 및 운영이 필요하다. 넷째, 체험 중심의 안전교육을 위한 예산확보와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체계적인 안전교육을 위해서는 현장의 교육활동을 직접적으로 지원해줄 수 있는 .전문기관 설립이요구된다. 이상의 시사점을 통해 학생들이 미래의 새로운 위험에 대비할 수 있는 위기대응능력을 키울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school safety education to improve crisis response capabilities in preparation for a risky society and to prepare ways to improve the school safety education system by listening to the opinions of experts in the school field. To this end, the opinions of five school administrators, four safety managers, and five general teachers in the school field were listened to and analyzed in depth regarding the current school safety education operation.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transition to practical safety education linked to life through the realization of safety education sessions is needed. Second, continuous expansion of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and improvement of programs is required. Third, it is necessary to open and operate experiential training tailored to each training target in order to enhance teacher expertise. Fourth, it is necessary to secure budget and support for experience-based safety education. Fifth, for systematic safety education,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ized institution that can directly support on-site educational activities is required. Through the above implications, students can develop crisis response skills to prepare for new risks in the future.

      • KCI등재

        대학안전관리 법제화 연구

        김경회 ( Kim Kyunghwoi ),강태훈 ( Kang Taehoon ),한종극 ( Han Jongkeuk ),정종철 ( Jung Jongchul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대학의 종합적 안전관리 체계 구축에 필요한 법률 제정 방향을 논구하고 있다. 대학의 안전을 규율하는 법령분석을 통해서 국가나 대학 차원에서 종합적이고 체계적 안전관리에 요구되는 법규가 미비하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대학의 안전관리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안전관리 전담부서가 설치된 대학은 14%에 불과하고, 대학 자체적으로 안전관리규정을 갖추고 있는 대학도 15%에 지나지 않으며,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대학도 58%로서 전반적으로 조직, 인력, 규정 등 제도적 기반이 미흡함을 지적하고 있다. 20대 국회에 발의된 대학안전관리의 근거를 마련하는 법률안 내용은 선언적인 규정이 많아서 실효성에 한계점을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교육법을 개정하여 종합적인 대학안전계획의 수립과 시행 체제 마련이 요구됨을 밝히고 있다. 아울러 대학안전사고 공제 사업 기관을 지정하여 국가의 공적 보상 범위를 넓힐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ddresses the direction of legislation require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es. First, through an analysis of the college's safety regulations and laws, it was revealed that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required for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were insufficient. A survey on the status of safety management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es found that only 14% of universities had safety management departments, only 15% had their own safety management regulations, and only 58% developed their own safety management plans. Overall, it was found that institutional foundations for college safety such as organization, manpower, and regulations were not well established. In response, this study suggests revising the Higher Education Act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college safety plan and implementation system. It proposes to designate a college safety and insurance institution to expand the scope of the public compens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