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끼 모델에서 인공 각막이식수술의 효능 및 생체 적합성에 대한 단기 임상 성적

        한정엽,선우정혜,오세헌,문수영,남상휴,이훈,김재용,차흥원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10

        목적: 토끼 모델에서 새로운 인공 각막의 효능 및 생체 적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뉴질랜드 흰 토끼(New Zealand white rabbit) 20마리의 단안에 인공 각막이식수술을 시행하였다. 인공 각막은 직경 8.0 mm (중심 광학부 직경 5.0 mm, 양측 지지부 너비 1.5 mm), 두께 0.5 mm이며 PHEMA, PMMA 그리고 EGDMA로 구성되었다. 이식수술은 2단계로 이루어졌으며 수술 후 최대 12주까지 매주 경과 관찰하였다. 전안부 사진 촬영,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 및 조직학적분석을 통하여 지지부의 생체적합성 및 조직 주위로의 세포 증식을 조사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 포함된 토끼 모델 중 4주와 8주에 조직학적 검사를 위해 각 2마리씩 희생하였으며, 4마리는 수술 도중의 기술적인문제로 이식 실패하였다. 기술적으로 수술이 성공한 12마리의 12안 중, 6안(50.0%)에서 12주까지 구조적으로 안정적이었으며. 중심광학부의 투명성이 유지되었다. 또한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서 지지부에 세포 증식이 일어나 주위 조직에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머지 6안(50.0%)은 이식수술 후 경과 관찰 도중 인공 각막의 돌출이 발생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인공 각막을 이식한 토끼 모델에서 각막신생혈관과 각막중심부 혼탁이 방지되며, 다공성 지지부의 생체 적합성과주위 조직으로의 세포가 증식되면서 조직학적 안정성을 가지는 것을 발견했다. 하지만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구조적 개선및 술기의 발전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장기간의 경과 관찰을 통하여 확인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형광안저혈관조영과 빛간섭단층촬영의 소견

        한정엽,김유철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8

        Purpose: To evaluate ocular findings of patients with acute cerebral infarction by analyzing fluorescein angiography (FAG)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acute cerebral infarction. FAG was used to analyze arm to retina time and arteriovenous (AV) transit time. The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pRNFL) was analyzed using OCT, and the data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atients diagnosed with idiopathic epiretinal membrane (control group). Results: Seventy-three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patient group, and 56 participants were in the control group. In 27% of the subjects in the patient group, retinal abnormality was incidentally identified. Atrial fibrillation (p < 0.050) was the only systemic disease with a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in the patient group. AV transit time (p < 0.050) showed a significant delay in the patient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rm to retina time. pRNFL thicknes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 locations of brain lesion.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group analysis according to cerebral ischemic territory and no correl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symptoms and the findings of ophthalmologic examination. Conclusions: Patients with acute cerebral infarction show delayed AV transit time in FAG, and about 27% of them have unrecognized retinal abnormalities. 목적: 급성 뇌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형광안저혈관조영과 빛간섭단층촬영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급성 뇌경색이 발생하였을 경우 안과적 검진의 소견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급성 뇌경색으로 신경과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안과적 검진의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형광안저혈관조영을 이용해 팔-망막 순환시간과 동정맥 이행시간을 분석하였으며 빛간섭단층촬영을 통해 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을 분석하였다. 대조군은 특발성 망막전막(idiopathic epiretinal membrane)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73명의 뇌경색 환자군과 56명의 대조군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환자군에서 남성이 유의하게 많았으며 나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환자군 중 안과적 검진을 통하여 약 20명(27%)에서 우연히 망막이상이 발견되었다. 망막이상이 없는 53명의 뇌경색환자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으며 심방세동(p<0.050)만이 대조군에 비교하여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전신 질환이었다. 동정맥 이행시간(p<0.050)은 환자군에 유의하게 지연되어 있었으나 팔-망막 순환시간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뇌병변의 동측안과 반대측안 간의 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의 두께의 차이도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뇌경색 병변의 구역에 따른 하위집단 분석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증상의 심각도와 안과 검사의 소견의 상관성도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급성 뇌경색 환자의 형광안저혈관조영에서 동정맥 이행시간이 지연되고 27% 정도의 환자가 지각하지 못한 망막이상이 발견되었다.

      • 기호학적 패러다임 변화를 통한 공간진화 양태

        한정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3 No.2

        본 연구는 소쉬르의 언어 기호적 시스템이 공간에 직?간접적으로 적용된 시대별 사례를 퍼스의 기호이론과 모리스의 기호응용으로 분석하였다. 기호학은 언어기호론 정립, 논리적 차원에서 현상학 바탕을 마련, 기호의 실용주의적 효과적용이라는 특성으로 연구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언어기호학의 패러다임은 구조, 의미, 시간에 대한 도전이다. 이것은 소쉬르 언어구조체계 이론을 바탕으로 모던공간의 하부구조를 구축 하는 구조의 시대, 소쉬르 이론에 반향한 후기구조주의 기호학자에 의한 비언어기호체계로 공간의 복합성과 대립성이라는 조형적 형태를 형성하며 의미의 시대로 진화하였다. 그러나 공간은 구조적 문제와 형태의 의미를 넘어 새로운 가치를 지향한다. 총체적 ‘무한기호작용‘을 토대로 관계의 디자인, 시간의 디자인, 장소의 표상이라는 가치를 지닌 공간으로서 새로운 진화적 양태임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This investigation analyzed historical cases that applied directly and indirectly Ferdinand Sausaure's language semiotics to the space with C.S. Peirce's semiotics and Charles Morris' pragmatics. Semiotics with characteristics such as setup of language semiotics, making the foundation of phenomenology under the logical dimens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effectiveness of sign, is being expanded the fields of the investigation. The paradigm of semiotics is a challenge to structure, sense, and time. This evolved to the structure age when established the substructure of modern space based on Suassure;s theory of language structural system and also to the meaning age which is a non-language semiotics that completed the systematic structure of composition and opposition of the space by the post-structural demotists who opposed to Saussure's theory. But space, jumping over the structural problems and physical meaning, points to new spatial value. On the basis of total 'semiosis infinitum' this proposed new evolutional aspects of the space with the value of connection design, time design, and space mark.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Direction of Smart Furniture by Changes in Ubiquitous Technology-Based Residential Environment

        한정엽 한국가구학회 2008 한국가구학회지 Vol.19 No.4

        This study is intended to forecast changes in Ubiquitous technology-based residential environment since the digital revolution so 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rniture design in the near future. Among Ubiquitous technologies, the intelligent digital technology applied to a residential environment is defined as "Smart Digital Technology."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name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 such technology is applied "Smart Home." Smart Home is strategically creating intelligent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 interactivity is made between human, furnitur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based on home automation, home network and intelligent sensor technology. Smart furniture is based on strategic characteristics of smart home. Its convergence with IT equipments is being made. Largely, smart furniture has three characteristics as below: First, smart furniture provides users with information on home management, health management, education and fashion, not just functioning as storage space. Second, smart furniture that is a new lifestyle pattern will suggest a new aesthetic standard based on unsettled shapes and innovative structure. Finally, it gives convenience to users intelligently. Namely, smart furniture, "intelligent informative furniture", will be suggested as a new paradigm. This study is intended to forecast changes in Ubiquitous technology-based residential environment since the digital revolution so a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rniture design in the near future. Among Ubiquitous technologies, the intelligent digital technology applied to a residential environment is defined as "Smart Digital Technology."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name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 such technology is applied "Smart Home." Smart Home is strategically creating intelligent residential environment where interactivity is made between human, furnitur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based on home automation, home network and intelligent sensor technology. Smart furniture is based on strategic characteristics of smart home. Its convergence with IT equipments is being made. Largely, smart furniture has three characteristics as below: First, smart furniture provides users with information on home management, health management, education and fashion, not just functioning as storage space. Second, smart furniture that is a new lifestyle pattern will suggest a new aesthetic standard based on unsettled shapes and innovative structure. Finally, it gives convenience to users intelligently. Namely, smart furniture, "intelligent informative furniture", will be suggested as a new paradigm.

      • 인공지능 기술 기반 Hyper-Experience Art

        한정엽,이연빈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 방송과 미디어 Vol.25 No.1

        본 연구는 ‘인공지능이 그린 그림은 예술적 가치가 있는가?’ ‘인공지능을 활용한 21세기의 현시대 예술은 무엇인가?’ ‘어떻게 실현되는가?’라는 실천적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4차 산업혁명은 초실감(Hyper-Reality), 초지능(Hyper-Intellect), 초연결(Hyper-connect)로 ‘초(Hyper)의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이 혁명은 현시대 예술가에게 현실과 가상을 분간할 수 없는 혼합현실환경, 예술의 창작활동에 훌륭한 조수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인공지능, 예술적 경험을 가상과 현실을 넘나들며, 언제 어디서나 즉각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실천적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하여 주관기관 홍익대학교, 참여기관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브이알애드가 2018년 5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2년간 진행한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기술 연구개발 지원사업 ‘인공지능 기반 창작 아틀리에 발굴 및 구축 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통하여 인공지능 엔진(stNET, vidNET, hdtNET, omniNET)을 개발하였고 예술가와 4번의 전시를 통하여 성능 및 가치를 실증하였다. 인공지능은 그동안의 예술적 장르와는 차별화된 특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응용 범위 또한 다양하다. 현시대 예술가에게 새로운 장르 개척의 훌륭한 조수로서 역할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동안 현대 예술의 조형과 개념 미술에 한정적 메시지를 넘어, 인공지능기반 초 실감, 실 시간, 직관적 인터랙션을 통하여 직접적 예술 경험을 체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시대의 예술가에게 초 경험 예술(Hyper-Experience Art)의 시작인 동시에 새로운 장르 개척의 단초가 제공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