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디지털콘텐츠디자인의 유형과 전개방향에 관한 연구

        한재성 慶北專門大學 2003 慶北專門大學 論文集 Vol.22 No.-

        The style of digital contents has been founded in business activity. Electronic learning, electronic book, on-line game, digital video, VOD, digital audio, MP3, digital animation, digital character, webcasting etc. They are digital contents goods on web. The need for customized website design or digital contents design have been increased these days. In this paper, directions such as "collection of contextual information","guarantee of privite information and confidence of customer on web" are suggested for digital contents design.

      • Cl 시스템을 이용한 웹 그래픽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재성 慶北專門大學(영주경상전문대학) 2000 慶北專門大學 論文集 Vol.18 No.-

        This study alms to suggest more structural, systematic and efficient device for the design and work process of WWW Homepage Design, which has been newly spotlighted as a recent medium of information, by introducing the CI System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area. In suggestion of the standardized design guide supporting the above purpose, firstly. WWW Homepage was introduced and, structural and systematic consideration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Above all, coherent and predictable matters. and the optimization matter of file management time for giving psychological stability to users and for raising its usability took main parts. In conclusion, the general design guide was suggested and it is one of application of CI concept considering the special circumstance of WWW Homepage. Identity, the core of CI, is formed by the consistent accumulation of enterprise image and in the view of this poin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duced. The abstraction of visual factor having a common denominator and its proper and repeat use are much important.

      •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평면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재성 慶北專門大學(영주경상전문대학) 1999 慶北專門大學 論文集 Vol.17 No.-

        평면디자인의 교육 목적은 평면상에 표현하는 조형행위에 있어서 그 구성요소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창조적 조형능력을 키워주는 데 있다. 창조적인 조형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표현기술의 숙련이나 조형적 경험이 요구된다. 표현기술의 숙련이나 조형적 경험을 위해 여러 가지 표현도구와 매체를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위해 표현 도구와 매체의 특성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조형표현과 표현도구 및 매체는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표현도구와 매체는 현재의 첨단 컴퓨터그래픽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변화, 발전되어 왔다. 따라서 평면조형의 교육과정에서 컴퓨터그래픽을 이용한 효과적인 조형표현을 위해서는 컴퓨터그래픽 매커니즘을 이해하고 기본적인 조형의 속성에 컴퓨터그래픽의 특성을 대입해서 장단점을 분석한 후 평면조형의 교육과정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평면디자인의 기본적인 요소와 컴퓨터그래픽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다음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1. 기존의 평면조형의 표현에서는 주로 2차원적인 정지된 이미지에 한정된 것에 비해 컴퓨터그래픽은 그 표현범위를 확대하고 동적인 이미지 표현과 나아가 상호 반응적인(Interactive) 표현형식을 가능하게 한다. 2. 작업단계별로 전 단계 조형행위에 대한 취소 및 복원 기능은 조형표현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3. 컴퓨터그래픽에서는 기존의 조형요소를 토대로 프로그램 되었으며, 따라서 조형표현에 있어서 컴퓨터의 활용 범위는 표현 기술적인 부분으로 제한적인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점차 새로운 개념의 조형표현 기능을 보강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컴퓨터그래픽의 조형표현 범위는 빠르게 확대되어갈 전망이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기초적인 평면디자인에 대한 교육과정에 있어 컴퓨터의 활용을 다음의 내용으로 정리하였다. 1. 기존의 평면디자인 교육과정에 표현도구의 한 수단으로서 컴퓨터그래픽과의 관련된 사항을 교육한다. 2. 기존의 평면디자인 교육내용 중 기술적인 부분의 비중을 줄이고 상대적으로 강성적인 부분의 비중을 높인다. 3. 현재 사용중인 각 컴퓨터그래픽 프로그램은 기존 조형요소에 대한 비중치의 차이로 특성화, 전문화되어 있다. 따라서 한 가지 이상의 프로그램을 복합적으로 사용해서 다양한 조형 표현과 창조적인 표현을 유도한다. 4. 조형표현에 있어서 컴퓨터그래픽 활용으로 인한 새로운 조형개념과 문법에 익숙하도록 한다. 위의 내용을 기초로 해서 별첨 교육계획안 시안을 작성하였다. 시안의 내용은 1년을 기준으로 1, 2학기로 나누었다. 각 학기는 15주를 기준으로 했으며 내용에서 기존 조형교육의 내용은 단순하게 항목으로만 처리하고 컴퓨터에 관련된 사항만을 자세하게 기술한 것이다. '실습 및 과제'의 내용은 해당 각 단계별 내용과 밀접하게 관련되도록 설정했다.

      • 휴대폰용 연료전지 전원공급 시스템 개발 및 충방전 특성 연구

        한재성,김영솔,박은성,Han, Jae-Sung,Kim, Young-Shol,Park, Eun-Seong 한국전기화학회 2002 한국전기화학회지 Vol.5 No.1

        본 연구는 메탄올과 공기를 이용하여 상온, 상압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휴대폰용 전원공급 장치의 개발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직접 메탄을 연료전지(DMFC)와 Back-up전지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통화시 소요 전력의 최대 $50\%$ DMFC가 공급하고 나머지 부분은 Back-up 전지가 공급한다. 또한 통화 대기시에는 DMFC가 $100\%$ 필요 전력을 공급하고, 잉여 전력으로 Back-up전지를 충전한다. 상기 DMFC는 유효면적이 $9cm^2$인 8개의 단위전지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휴대폰의 작동 전압 범위인 2.5-3.9V의 전압을 출력한다. We report a fuel cell power supply unit for mobile phone which operates at room temperature and ambient pressure using liquid methanol and air. The unit consists of a 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and a back-up battery connected parallely to the fuel cell. DMFC supplies half of the required power and the back-up battery supplies the other half during talk mode. In standby mode, DMFC covers $100\%$ of the required power and charges the back-up battery as well, Eight unit cells, each having $9 cm^2$ of active area, were connected in series in order to raise the output volotage to $2.5\~3.9V$, which is typical for most mobile phones.

      • KCI등재

        의사 등의 의료행위와 특허권 효력의 충돌문제에 대한 소고

        한재성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7 지식재산연구 Vol.12 No.4

        If we do only focus on the patent and ignore the patient's right to life by having it be influenced by effects of patent, we cannot help but encounter the big resistance from society in terms of ethical and moral perspective. Therefore many different patent offices of each country have not granted the patent to the medical invention or at least restricted the patent's effects on practitioner's medical activities. As the Supreme Court of Korea concluded that the medical invention characterized by the usage and dose specified could be granted to patent recently, the practitioner's activities can be restricted by method of use invention for pharmaceutical. Some critics said that the most reasonable solutions for this issue is to introduce the exemption provisions for practitioners like U.S patent law system. My study suggested that in order to solve the conflicts between the practitioner's medical activities and effects of the patent we just need to establish the provisions about not giving patent to medical invention as a category of un-patentable invention rather than introduce the complicated exemption provisions that only give big confusion to the public. 최근 우리 대법원은 ‘투영용법·용량과 관련한 의약의 용도발명’에도 특허를 부여한다고 판시하여, 의사의 의료행위에도 의약용도발명의 특허권 효력이 미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이 나타났다. 의료행위와 특허권 효력 사이에충돌이 잦아질 가능성이 커진 이 상황 속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의사의 의료행위에 대해 별도의 면책규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있다. 의료행위에 대한 특허권의 침해를 우려하여 의료행위가 제한된다면환자의 생명권을 충분하게 보호해 주지 못하는 모순적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의사의 의료행위에 대해 특허권의 효력을 제한하는 영역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의료행위와 특허권이 충돌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의사 등의 의료행위에 대한 면책규정을 신설해야 한다는 기존의 논의보다, 발명자에게 조금이라도 특허권이라는 독점권의 한계를 명확하게 제시하여 동기부여 할 수 있도록 불특허사유로서 의료방법발명에 대한 특허부여를제한하는 내용의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타당함을 제안하였다. 의료방법발명이외의 기타 물건발명에 대한 특허권의 효력이 의사 등의 의료행위에 미치는 경우에는 ‘특허권 소진 법리’에 의거하여 의사 등이 해당 물건 발명을 적법하게 구매하여 실시하는 방향으로 의사의 의료행위와 특허권자의 권리를조정하는 것이 의사의 의료행위가 특허권에 의해 부당하게 제한되는 부작용을 방지하면서도 특허권자에게 발명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지급하는 합리적인 대안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