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대학생들의 외계행성 개념 변화 연구

        한신,김용기,김형범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3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외계행성 에 대한 개념을 빅데이터 분석을 하기 위해 외계행성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을 받기 전, 후의 개념 변화를 알 아보기 위한 질문지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을 받기 전에는 외 계행성을 단순히 ‘태양계 바깥(외계)의 행성’ 정도의 맥락으로만 이해하고 있었으나, 교육을 받은 후에 중요 키워드 중심으로 ‘태양계 바깥 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둘째, 대학생들은 매스컴 에서 접했던 간접 경험을 토대로 도플러효과, 식현상, 중력렌즈를 활용한 관측한다는 정도의 간단한 답변을 하여 관측 방법에 대한 개념이 매우 부족하였다. 그러 나 학생들은 외계행성 탐사와 관련된 내용을 교육 받 으면서 외계행성 탐사에 대한 인식이 구체화되었다. 셋 째, 대학생들은 외계행성 탐사의 중요성을 단순히 외계 생명체의 발견을 넘어서서 태양계를 비롯한 행성의 생 성과정과 연구 방법, 인류의 발전으로 확장시키고 있었 다. 넷째, 대학생들은 외계행성과 관련된 내용을 지구 과학 교육과정에서 소개한다면 과학지식 뿐만 아니라 흥미와 호기심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교육과정에서 외 계행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nception of an extra-solar plane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To conduct this, we developed an extra-solar planet education program and questionnaires which help to figure out chang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n applied them to the targeted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conception of an extra-solar planet, participants understood it merely as a planet outside the solar system before they got training. However, they expanded it to the one revolving around a star that appears outside the solar system based on keywords after the training. Second, they gave brief responses regarding exploration strategies (e.g., observing the extra-solar planet by using the Doppler effect, dietary phenomenon, and gravitational lens) based on indirect experiences they encountered in the media. The responses indicated their lack of concept of the extra-solar planet exploration methods. However, their recognition of the extra-solar planet observation became concrete while students learned about the exploration of the extra-solar planet. Third, they were expanding the importance of the exoplanet observation simply beyond the discovery of extraterrestrial life to the creative process and research methods, including the solar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humanity. Fourth, they recognized that exoplanet education is necessary for curriculum as it will be able to bring about students' interest and curiosity as well as scientific knowledge if contents related to the extra-solar planet appear in the earth science curriculum.

      • KCI등재

        블록형 코딩프로그램을 활용한 지구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 및 과학적 태도 변화 연구

        한신,김형범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9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2 No.2

        이 연구에서는 창의교육의 일환으로 컴퓨팅 사고력 을 개발할 수 있는 블록형 코딩프로그램을 활용해 지구과학 교수·학습에 적용하여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인식과 과학적 태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고 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정리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블록 형 코딩프로그램을 활용한 지구과학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총 12차시로 구성된 프로그램은 학생 활 동중심의 문제를 제공하여 다양한 사고를 학생들이 유 도할 수 있도록 탐구활동을 설계하였다. 둘째, 블록형 코딩프로그램을 활용한 지구과학 교육프로그램을 통 해 컴퓨터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자신감, 컴퓨터 활용 통합학습,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자신감 및 컴퓨팅 사 고력을 활용한 문제해결 요인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 타냈다. 셋째, 블록형 코딩프로그램을 활용한 지구과 학 교육프로그램은 호기심, 비판성, 협동성, 끈기, 창의 성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학 생들이 문제를 접했을 때 의문을 갖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효과를 나타낸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In this study, a block-base coding that could develop computing thinking was applied to Earth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to identify how the percep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scientific attitude was changed as part of creativity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n Earth scienc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using a block-based cod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12-hour program was designed for inquiry activities to encourage students to engage in various thinking by providing them with activity-oriented problems. Second, the Earth science education program using a block-based coding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confidence in the use of a computer program, integrated learning with a computer, computation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factors with computational thinking. Third, the Earth science education program using block-based cod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tegories of curiosity, criticism, cooperation, persistence, and creativity. It could be judged that it was effective for students in the process of questioning and trying to solve the problem themselves.

      • KCI등재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초등학교 4학년 ‘식물의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한신,이달희,김형범 한국생물교육학회 2023 생물교육 Vol.51 No.4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Life of Plants’ STEAM program for 4 th students based on a metaverse and to analyze its effect on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ttitudes towad STEAM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 5-session STEAM program utilizing metaverse was developed. Secondly, a A paired samples t-test was conducted using SPSS. The test results, including the analysi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attitudes toward the STEAM education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for 4 th students. Thirdly,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was high. Thus, the use of the STEAM program based on the metaverse is an effective method for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ttitudes toward the STEAM and students’ satisfaction in 4 th students.

      • 산화아연계 무기질과 솔잎추출물 첨가에 의한 농산물 포장 필름의 광 및 미생물 열화능 개선

        한신,나현정,강용구,박찬영 전남대학교 촉매연구소 2001 觸媒硏究 論文集 Vol.22 No.-

        To invent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for packaging of agricultural produce, morph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ly changes after daylight exposure and soil deposit for LDPE films composed of different incorporation substances have been investigated. Silver coated ceramic, zinc oxide, fine particle of ferrofluid and pine needle's extract were the incorporated substances. The pine needle's film degrades fast in soil while the silver coated ceramic's film shows daylight decay more on the morphological view. The mechanical strength keeps almost same. But turndown of elongation is explicit on the pine needle's film and silver coated ceramic's film.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에 지방 소규모 과학관의 조직 및 운영 현황 분석

        한신,정한호,김형범,김용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3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6 No.1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using Geochang Wolseong Space Creative Science Museum as a case study to investigate the organizational and operational status of small local science museum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s a basic study for the dissemination of scientific culture and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To analyze the situation of the science museum, an evaluation framework was developed, and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channel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information commissioners of the museum were used for the study. As of 2020, when COVID-19 was at its peak, this science museum showed a clear decline in sales and visitor number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Despite this situation, the museum was found to be using crisis management methods such as introducing unface-to-face programs, managing exhibits, and using various promotional media. However, the shortage of professional personnel, excessive workload of employees, and absence of differentiation from other science museums remain as challenges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for sustainable earth science. 이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에 지방 소규모 과학관의 조직 및 운영 현황을 조사하여 과학문화 확산과 과학 대중화를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자 거창월성우주 창의과학관을 사례로 하여 질적 연구를 실행하였다. 과학관의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평가 틀을 개발하였 으며 정보 통신매체를 통하여 얻은 정보와 과학관의 정보 위원과 심층 면담을 통해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과학관은 코로나19가 최고조로 유행하였던 2020년 기준 전년 대비 매출과 입장 인원 의 뚜렷한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 황에서도 비대면 프로그램 신설, 전시물 관리, 다양한 홍보 매체를 이용한 홍보 관리와 같은 위기 개선 방법 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전문인력 수 급의 어려움, 직원들의 업무의 과다, 다른 과학관과의 차별화 부재 등은 향후 해결해야 하는 선결과제로 남 아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