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uman Ribosomal Protein L18a Interacts with hnRNP E1

        한선영,최미영 한국통합생물학회 2008 Animal cells and systems Vol.12 No.3

        Heterogeneous nuclear ribonucleoprotein E1 (hnRNP E1) is one of the primary pre-mRNA binding proteins in human cells. It consists of 356 amino acid residues and harbors three hnRNP K homology (KH) domains that mediate RNA-binding. The hnRNP E1 protein was shown to play important roles in mRNA stabilization and translational control. In order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cellular functions of hnRNP E1, we searched for interacting proteins through a yeast two-hybrid screening while using HeLa cDNA library as target. One of the cDNA clones was found to be human ribosomal protein L18a cDNA (GenBank accession number BC071920). We demonstrated in this study that human ribosomal protein L18a, a constituent of ribosomal protein large subunit, interacts specifically with hnRNP E1 in the yeast two-hybrid system. Such an interaction was observ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 and was also verified by biochemical assay. Heterogeneous nuclear ribonucleoprotein E1 (hnRNP E1) is one of the primary pre-mRNA binding proteins in human cells. It consists of 356 amino acid residues and harbors three hnRNP K homology (KH) domains that mediate RNA-binding. The hnRNP E1 protein was shown to play important roles in mRNA stabilization and translational control. In order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cellular functions of hnRNP E1, we searched for interacting proteins through a yeast two-hybrid screening while using HeLa cDNA library as target. One of the cDNA clones was found to be human ribosomal protein L18a cDNA (GenBank accession number BC071920). We demonstrated in this study that human ribosomal protein L18a, a constituent of ribosomal protein large subunit, interacts specifically with hnRNP E1 in the yeast two-hybrid system. Such an interaction was observ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 and was also verified by biochemical assay.

      • KCI등재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사회복무요원의 장애학생 지원 경험 및 지원 방안 고찰

        한선영,정정은,김라경 한국발달장애학회 2024 발달장애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특수학교 환경에서의 사회복무요원의 역할에 주목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사회복무요원의 경험을 분 석하고 지원 요구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특수학교에 복무중인 사회복무요원 7 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면담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4개의 대주 제와 14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무요원들은 병무청에서 강제 배정받아 특수학교로 오게 되었으며, 사전 교육을 받지 못했다. 복무 이전에 장애인에 대한 경험이 없어 장애학생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교 육적 지식과 장애 이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정서적 부담과 스트레스를 호소하였다. 특수학교에서의 근무 경험은 장애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계기가 되었으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과 직무와 관련된 명확한 매 뉴얼, 장애학생 방학 중 직무조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social service personnel in more depth and examine their support needs by paying attention to the role of social service personnel in the special schoo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social service personnel serving in special schools. Through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yielded four main themes and 14 sub-them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ocial service personnel was forcibly assigned by the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to come to special schools, and they did not receive prior training. Prior to their service, they had no experience with disability and struggled with a lack of education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disability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mplained of emotional burden and stress. The experience of working in a special school was a catalyst for raising awareness of disability, but there was a need for systematic and continuous education, clear guidelines related to the job adjustment of duties during va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uture support pla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국가산림문화자산의 분류체계와 지정기준에 관한 연구 – 명승 및 천연기념물과의 비교를 중점으로 -

        한선영,정푸름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4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8 No.2

        세계화, 지방화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다양성의 가치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경쟁단위를 지자체 중심체제로 전환하는 추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최근 가장 주목받는 지역문화자원은 '명승'과 '국가산림문화자산'이다. 산림청은 2014년부터 산림 생태·경관·문화적으로 보존 가치가 높고 역사성이 큰 유·무형의 자산을 국가산림문화자산으로 지정하고 있다. 2022년 11월까지 지정된 국가산림문화자산은 전국적으로 총 80건이며, 이중 전라북도가 18건에 달하는 반면 충청북도는 하나도 지정되지 않았다. 이는 지자체의 관심의 차이에서 기인되는 것으로서 각 지자체는 향후 경쟁적으로 도내 자원을 국가산림자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후보지 발굴과 등재노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국가산림문화자산의 정의와 지정기준 검토를 통해 산림자산의 지정기준 및 분류체계 개선, 유산 개념의 세분화, 자산의 지평 확장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주제는 산림청이 지정·운영되는 2022년 11월 30일 기준으로 지정된 산림유산 총 80건과 지정에 따른 분류체계에 대한 검토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국가유산청이 지정하는 ‘명승’과 ‘천연기념물’의 기준 및 분류체계과 비교·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림문화자산의 정의’에 대한 검토 결과 국가산림문화자산 중 산림과 관련된 생태적 가치는 ‘천연기념물’의 과학적·학술적 가치와 상충되며, 산림문화자산의 경관적 가치는 ‘명승’의 경관적 가치와 상충되는 등 산림문화자산과 유사 문화유산 간 가치기준의 혼재가 다수 발견된다. 이는 문화유산 간 반복적인 재지정 및 해제를 초래하며, 추후 혼란을 막기 위해 명확한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국가산림문화자산의 지정기준’ 검토결과 문화유산 중 ‘명승’과 ‘천연기념물’ 그리고 일부 ‘사적’과도 유사한 분류속성을 공유하고 있다. 특히 중분류의 ‘숲’에 해당하는 소분류 ‘마을숲’은 ‘명승’이나 ‘천연기념물’의 세부분류기준 중 하나인 ‘생활문화 등과 관련되어 가치가 큰 인공 수림지’와 일부 중복되고 있다. ‘자연물’의 옛길, 바위샘, 계곡, 폭포, 동굴, 화석지 등 역시 거의 동등한 기준으로 분류되고 있다. 또한 ‘사적 및 근대유산’은 명칭 그대로 ‘사적’ 분야와, 정원은 ‘명승’ 분야와, 그리고 동식물의 ‘화석’은 ‘천연기념물’ 지질분야와 밀착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국가산림문화자산 분류기준’을 검토한 결과 개념상의 변별력 부족으로 인한 차별성 부족과 모호성, 유사 분류군 간 성격의 불균질성, 조합형의 구체적인 정의 부재로 인한 혼란 등을 지적하였다. 또한 유사 문화유산과 비교할 때 개념의 충돌, 개념의 소극적 적용 등 문화유산 간 연계 부족을 보였다. 이는 국가적 차원에서 전반적인 문화유산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각 기관에서 용어 및 개념이 오용되거나 혼용되지 않도록 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합형 중 ‘기록물+금석각류를 제외하면 금속류는 한 건도 지정되지 않고 석각류 일색임을 볼 때 향후 지정 추이를 살펴보며 명칭을 수정하거나 성격에 따라 분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국가산림문화자산의 분포는 전라북도가 18건(22.5%), 전라남도 17건(21.3%), 강원도 14건(17.5%), 경상북도 11건(13.8%), 경상남도 7건(8.8%), 경기도 4건(5.00%), 서울특별시와 부 ... As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trends have intensified, the value of diversity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and the trend of shifting the unit of competition to a local government-centered system is becoming more pronounced. In this context, the cultural resources that have recently attracted the most attention are 'Scenic Sites' and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Since 2014, the Korea Forest Service has been designating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with high ecological, landscape, and cultural preservation value and historical significance as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As of November 2022, a total of 80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have been designated nationwide, with 18 in Jeollabuk-do and none in Chungcheongbuk-do. This reflects the difference in interest among local governments, and it is expected that local governments will intensify their efforts to discover and register local resources as National Forest Assets in the future.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improvements in the designation criteria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forest assets, the refinement of the concept of heritage, and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assets through a review of the definition and designation criteria of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The study examines a total of 80 forest heritage sites designated as of November 30, 2022,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In particular, the study compared and reviewed the criteria and classification systems of 'Scenic Sites' and 'Natural Monuments' designat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cological value of forest-related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conflicts with the scientific and academic value of 'Natural Monuments,' and the landscape value of forest cultural assets conflicts with the landscape value of 'Scenic Sites,' revealing a mix of value criteria among similar cultural heritage. This can lead to repetitive re-designation and revoc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clear criteria should be presented to prevent future confusion. Second, the designation criteria for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share similar classification attributes with 'Scenic Sites,' 'Natural Monuments,' and some 'Historic Sites.' Thir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lack conceptual distinctiveness, resulting in a lack of differentiation and ambiguity, heterogeneity in the characteristics of similar classification groups, and a lack of specific definitions for composite types. Fourth, there is a lack of linkage between cultural heritage, with conflicts in concepts and passive application of concepts when compared to similar cultural heritage. Fifth, the distribution of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s shows a strong regional bias, with Jeollabuk-do having the most (18 cases, 22.5%) and Chungcheongbuk-do having none. This suggests that local governments lack interest and a sense of the need to designate forest cultural assets, and additional research on promotion and utilization strategies is needed to activate the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