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종의 친정 선포와 정국의 동향

        한보람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2 한국학논집 Vol.- No.88

        In 1873, King Gojong ruled out Heungseon Daewongun from political world and declared his direct rule. King Gojong's declaration of his direct rule is due to King Gojong's strong will as an adult, but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analyze the historical context and political group trends surrounding the event. Daewongun emerged as a key figure in political world under the auspices of the existing ruling bureaucracy group excluding key figures of Andong Kim(安東金氏), and the contemporary affair reform forces, after the historical turning point of a massive peasant uprising and the death of King Cheoljong. However, shortly after seizing power, Daewongun took steps to establish its own power system.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as to secure the support base of public opinion through the advocacy of the theory of choksa(斥邪). Daewongun tried to secure the support base of public opinion and take political initiative by boldly raising sensitive Catholic issues to the surface. At the same time as the Catholic persecution of Byeoninsaok(丙寅邪獄), he strongly insisted on the theory of choksa, and stimulated the fear of foreign invasion symbolized by Byeonginyangyo(丙寅洋擾). This became the basis for securing his initiative through fear politics for the people and leading ideological public opinion for local Confucian scholars. In the end, however, Daewongun's measures became a decisive reason for negatively turning public support. At the time when the imminent threat of Western forces of Byeonginyangyo, public opinion from the government to the people had no choice but to lean toward peace in reality, and the excessive continuation of the Gyeongbokgung Palace reconstruction project failed to obtain public consent. Until the ruin of Daewongun and the start of direct ruling of King Gojong, the existing ruling bureaucracy group and the contemporary affair reform forces played their roles and cooperated as they did when Daewongun replaced the regime 10 years ago. Before the political situation exploded due to Choi Ik-hyun(崔益鉉)'s appeal, political forces had already distanced themselves from Daewongun since the late 1860s. Before and after King Gojong's declaration of his direct rule, Lee Yu-won(李裕元), the representative of the existing ruling bureaucracy group, and Park Gyu-soo(朴珪壽), the contemporary affair reform forces, served as the center of stable transfer of power without taking the sharp confrontation to the extreme. 1873년 고종은 흥선대원군을 정계에서 배제하고 친정을 선언했다. 고종의 친정 선언은 성인이 된 고종의 강력한 의지로 인한 것이기도 하지만, 이 사건을 둘러싼 역사적 맥락과 정치집단의 동향까지 시각을 넓혀 분석할 필요가 있다. 대원군은 대대적인 농민 항쟁과 철종 승하의 역사적 전환점을 거쳐 안동김씨 핵심 인물을 제외한 기존 집권세력 및 시무개혁 세력의 후원을 받고 정계의 핵심 인물로 등장했다. 하지만 집권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대원군은 독자적인 권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행보를 보였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척사론의 주창을 통한 여론의 지지기반을 확보하고자 한 것이었다. 대원군은 민감한 천주교 관련 문제를 과감하게 수면 위로 끌어올리면서 여론의 지지기반을 확보하고 정치적 주도권을 장악하고자 하였다. 병인사옥이라는 천주교 탄압과 동시에 척화론을 강력하게 주장하였고, 병인양요로 상징되는 외세의 침입에 대한 두려움을 자극했다. 이는 민에게는 공포정치를 통한 자신의 주도권 확보를, 지방 유생들에게는 이념적인 여론 주도를 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하지만 결국 대원군의 이러한 방책은 지지 여론을 부정적으로 돌리게 하는 결정적 이유가 되었다. 병인양요로 서양 세력의 위협이 눈앞에 닥친 상황에서 조정부터 민간까지 여론은 현실적으로 화의론에 기울어질 수밖에 없었고, 경복궁 중건사업의 무리한 지속은 여론의 동의를 얻지 못했다. 대원군의 실각과 고종의 친정이 이루어지기까지 기존 집권세력과 시무개혁 세력은 10년 전 대원군이 집권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각기 역할을 담당하며 공조하였다. 최익현 상소로 친정 정국이 폭발되기 전 이미 1860년대 후반부터 각 정치세력은 대원군과 거리를 두었다. 그리고 고종의 친정 선언 국면 전후로 기존 집권세력의 대표 이유원과 시무개혁 세력의 대표 박규수는 대원군측의 저항을 둘러싼 첨예한 대립 상황을 극단으로 치닫게 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정권을 이양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외상성 사건과 PTSD 증상 및 우울의 관계: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

        한보람,김정규 한국임상심리학회 2014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3 No.3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police officer's traumatic events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de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 of job stress. The Traumatic event scal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 Korean-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Job stress scale were administered to 500 police officers working in Gyeonggi-do. To determine the relation of Police officer's traumatic events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depression, and interaction effects, multiple regress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were run using obtained data. Results indicated that experience of traumatic event events caused PTSD symptoms and depression. In particular, subjective amount of shock of traumatic events was a stronger predictor than the number of traumatic events in PTSD symptoms and depression. Results also showed a moder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relation to traumatic events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depression. Finally,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갑오개혁 직후(1894~1897) 여성 관련 범죄의 사회적 의미 - 사법품보(司法稟報) 문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보람 역사실학회 2022 역사와실학 Vol.77 No.-

        This paper is a study that extracts and analyzes the crimes related to women appearing in the "Sabuppumbo" for the period (1894-1897) from the Gabo Reform to the Daehan Jeguk, and derives its social meaning. The types of women-related crimes during this period can be classified into adultery, family-related, family conflict, women's abduction, conflict, and rape. The substance of the contemporary social concept can be grasped through the contents of women-related crimes and the government's judgment attitude toward cases. Women were also the positions of the weak who were sacrificed in the patriarchal social structure created by the Joseon Dynasty, but they were also active actors who lived independently in the society surrounding them. The most important value for women of the time was not devotedly enduring norms and restraints of patriarchy. Rather, it was to secure their independent status and act as a member of the family community, which comprises a fundamental unit of society, as well as a human being. In addition, even if the state made women's fidelity an ideal for the establishment of a Confucian family order, the ideal was not fully implemented in the actual reality where survival issues were at stake. In both the state's administrative judgment and social perception, women's survival problems were operated flexibly to solve real problems rather than national ideals. 본 논문은 갑오개혁 이후 대한제국 이전까지 기간(1894~1897)을 대상으로 사법품보 에 등장하는 여성 관련 범죄를 전체적으로 추출하여 유형별로 분석하고, 그 사회적 의미를 살펴본 연구이다. 이 시기 여성 관련 사건의 유형은 간통, 가족 관련, 가족 갈등, 부녀자 납치, 분쟁, 강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성 관련 범죄의 내용과 사건을 대하는 정부의 판결 태도를 통해 당대 사회적 관념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다. 여성은 조선의 체제가 만들어 낸 가부장적 사회 구조에서 희생되는 약자의 위치이기도 했지만, 스스로가 자신을 둘러싼 사회를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적극적 행위 주체자이기도 했다. 당대의 현실 속에서 여성에게 중요했던 것은 가부장제 규범과 속박을 충실히 감내하는 것이기 보다는 사회의 기본 단위로 존재하는 가족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그리고 하나의 인간으로서 주체적 위상을 마련하고 행동하는 것이었다. 또, 국가가 유교적 가족질서의 구축을 위해 여성의 정절을 이상으로 삼았다 하더라도 생존 문제가 걸려있는 실제 현실에서는 그 이상이 완벽하게 구현되지 못했다. 국가의 행정적 판단과 사회적 인식 모두 여성의 생존 문제에 대해 국가적 의도보다 현실 문제의 해결에 우선순위를 두고 유연하게 작동하고 있었다.

      • KCI등재

        19세기 말~20세기 초 여성의‘효(孝)’ 개념 인식과 실제 -근대 여자수신교과서의 기술과 『사법품보(司法稟報)』 수록 사례 비교-

        한보람 한국사상사학회 2023 韓國思想史學 Vol.- No.73

        Filial piety was a fundamental Confucian ethic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yet women were often expected to prioritize chastity over filial piety. Despite not being required to practice filial piety as men were, women still felt the need to prove themselves as human beings by demonstrating their filial piety. Textbooks during the turbulent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presented mixed views on women's filial piety, portraying them as subordinate to their husband's household and showing filial piety through unconditional obedience to their in-laws, but also as universal human beings who demonstrated intense and active filial piety to their own parents. Actual cases in "Sabeobpumbo(司法稟報)" reflected these mixed views but in different forms. Women were still relegated to a weak position within their husband's family, as portrayed in textbooks. However, beyond an unmarried daughter's vengeance for her father, as presented in the textbook, a married daughter's vengeance for her mother appeared in reality as well, which goes beyond what the textbooks presented in terms of filial piety to their own parents. Women actively and independently asserted themselves as human beings who embodied the same values as men, going beyond the social norms that restricted them. 전통사회에서 효는 유교적 근본윤리이자 인간이 인간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필수적 가치였지만 사회적으로 여성에게 강조된 가치는 효보다는 열이었다. 그렇지만 사회가 여성에게 효를 최우선 가치로 제시하지 않았다고 할지라도 여성이 효를 떠나 있을 수는 없었다. 효의 실천이 사회의 표준적 인간이었던 남성에게 요구되었기 때문에, 여성도 스스로가 효행의 주체임을 증명하려는 시도를 통해 사회 속 하나의 인간으로 서기 위해 노력했기 때문이다.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거대한 변화의 시기, 교과서에 제시된 여성의 효는 혼재된 가치를 담고 있었다. 교과서 속 여성은 시가에 종속된 하위의 인간으로서 시부모에게 무조건적 복종을 통해 효를 입증하는 한편으로, 하나의 보편적 인간으로서 친부모에 대해 격렬하고 적극적인 방법으로 효를 입증하는 존재이기도 했다. 그런데 『사법품보』에 등장하는 현실의 사건들은 이와 같은 교과서의 혼재된 시선들과 같지만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현실 세계에서 여성의 입지는 시가 공동체에 소속된 약자라는 측면에서 교과서와 같았다. 그렇지만 교과서에 제시된 미혼 딸의 친아버지에 대한 복수를 뛰어넘어, 현실에서는 기혼 딸의 친어머니에 대한 복수까지 나타남으로써, 교과서에서 제시한 친부모에 대한 효행의 정도를 넘어선 모습도 보인다. 여성은 자신을 제한했던 사회적 규범의 한계를 넘어 남성과 같은 가치를 수행하는 하나의 인간으로서 자신의 위치를 적극적이고 주체적으로 만들어가고 있었다.

      • KCI등재

        개항 전후 신헌(申櫶)의 시무개혁론 연구

        한보람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0 한국문화 Vol.0 No.90

        Research on Shin Heon, who was in charge of the Korea-Japan Treaty, is significant in terms of explaining port opening and the first step toward modernization of Joseon. He was a member of the contemporary affair reform force(Shimugaehyeok Seryeok) that agonized over urgent issues at the time of so-called the dark ages of public politics, the era of in-law government(sedo chŏngch’i). Shin entered the political world as a young military officer with the contemporary affair reform force. It was the era of Crown Prince Hyomyung, who was the king’s deputy, and the restoration of the state administration with the king as the central figure was attempted at the time. Shin Heon was also in charge of the government’s reaction to the crisis of a peasant resistance movement in the front line with Park Gyu-su, in Cheoljong’s Reign. In Daewongun’s reign, Shin assumed a critical attitude toward Daewongun’s attempt on securing independent power, sharing the goal with the contemporary affair reform force which achieved the change of regime. As a person in charge of the Korea-Japan Treaty when Japan demanded port opening from Joseon after Gojong’s direct rule, Shin Heon performed his duties on the basis of the basic philosophy of Joseon’s traditional state administration, which was the stabilization of the people’s livelihood and peacekeeping by avoiding military conflicts. Shin’s belief was based on trust in the government system that Joseon had accomplished. Shin Heon played a continuous role in the front line in Joseon, solving realistic problems. He tried his best to gradually resolve the problems of the times with a very cautious, realistic attitude, deliberating about reform plans. .

      • KCI등재

        1880년대 조선정부의 개화정책을 위한 국제정보수집-『漢城周報』의 관련기사 분석-

        한보람 진단학회 2006 진단학보 Vol.- No.101

        조선정부는 1880년대 새로운 세계질서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정부가 추진하는 개화정책을 설명하기 위해, 漢城旬報漢城周報를 정부기관지로 간행하였다. 새로운 국제정보 수집을 위해 조선은 정부 차원에서 청과 일본에 사절단을 파견하여 새로운 국제질서와 신문물 정보가 담긴 서적신문매체를 입수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들은 두 신문의 간행에 이용되었다.순보와 주보의 외국기사에 기록된 원출처를 분석한 결과 다음 몇 가지 사안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조선정부는 주로 청과 일본의 언론매체를 통해 국제정보를 입수하고 있었다. 순보단계에서는 청의 매체를 이용한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주보단계에서는 청 매체 인용 비율이 여전히 절반을 차지하기는 했지만 일본 매체의 인용 비율도 순보단계에 비해서 현격히 증가했다. 이것으로 보아 청에 압도적으로 많은 정보를 의존했던 것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본으로 분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조선정부는 청과 일본의 주요 언론 매체 정보를 대부분 파악하고 있었다. 순보와 주보에 수록된 외국기사의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한 결과, 순보의 대외정세 관련기사의 경우, 세계 개념을 전 지구적으로 확대시키기 위한 기본적 세계 지리정보와 청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 동아시아 국제 질서 변화 모습에 초점이 맞추어졌지만, 주보에서는 청을 중심으로 하는 세계관에서 벗어나 서구열강의 구도를 파악하는 것에 관심이 치우치고 있다. 주보의 대외정세 파악기사는 강력한 열강과 약소국 관계에 대한 현실적인 인식을 돕는 정보와 조선이 약소국으로서 이러한 세계 구도 속에서 독립국으로 생존하는 것과 관련된 정보들이 중심을 이루었다. 순보와 비교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조선이 전통적 세계관을 탈피하고 국제사회의 구도를 현실적으로 인식하게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근대문물의 경우, 순보와 마찬가지로 주보 단계에서는 여전히 개화정책의 핵심 분야인 군사, 산업, 재정, 교통, 통신, 통상 관련 기사들이 두루 수록되고 있다. 하지만 순보와 비교할 때, 기사건수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항목의 순위가 변동했고, 기사의 세부 내용에서도 변화가 나타난다. 여러 근대문물을 소개하는 차원에서 나오던 다양한 분야의 기사가 줄어들고, 정부가 당장의 재정 확보에 이용할 수 있는 외채, 조세, 관세에 대한 관심과 산업 부문에서도 회사나 제조업 소개기사보다는 가장 확실한 이원이 될 수 있는 광산 관련기사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순보 단계의 근대문물 소개 기사가 외국 신문물의 개념을 설명하고 여러 가지 새로운 문물을 두루 알리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주보 단계에서는 조선이 현실 정책에서 주력하는 특정 분야에 대해 관심의 초점을 맞춰졌다.순보가 간행된 시기는 정부의 외교개화정책에 시동이 걸리는 시기였고, 주보가 간행된 시기는 서구 열강의 대치와 청의 강압이 심해져 조선의 외교적 대처가 급박해진 시기였다. 조선정부는 정부 간행물인 순보·주보의 기사를 통해 당시 조선정부가 당면한 주요 사안을 제시하고 정부가 추진하는 개화정책에 대해 보조적인 설명을 하고 있었다. 즉 조선정부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국제정보를 입수하는 통로를 변화시키고 있었고, 대외 정세와 근대문물에 대한 이해도 변화, 발전시키고 있었다. During the 1880s, the Joseon government started to publish weekly government bulletins called the 『Hanseong Jubo(漢城周報)』 and also ten-day reports called the 『Hanseong Sunbo(漢城旬報)』, in order to let the pubic have a taste of the new world order, and understand the government's plans and policies currently in implementation for the so-called enlightenment cause. The Joseon government dispatched emissaries to the Chinese Ch'ing dynasty and Japan. The emissaries were under instructions to collect books or newspapers or magazines, or any kind of media that would contain information regarding the current world order or things that would be generally required in one country's efforts to become an enlightened entity. The collected information was used in publishing Hanseong Jubo and Hanseong Sunbo, and introduced as quotes of foreign news pieces. Examination of the sources of those foreign news pieces introduced in the ten-day reports(Sunbo) and weekly bulletins(Jubo) reveals several interesting things. First, the Joseon dynasty government was collecting international information primarily from the news media of Ch'ing and Japan. When the government was releasing ten-day reports, the Ch'ing sources were most prominently quoted, yet when the government was releasing weekly bulletins the reliance upon Japanese sources considerably increased while quotes from the Ch'ing sources were still occupying over 50% of the entire quotes. This clearly shows that the government was becoming increasingly dependent upon Japanese sources in their efforts of gathering information, and was reducing its dependence upon Chinese sources at the same time. Secondly, the Joseon government was clearly aware of most of the conditions of the news media in Ch'ing and Japan. The foreign news pieces quoted in the ten-day reports and the weekly bulletins featured two distinct themes: foreign situations and modern culture. In cases of either the reports' or the bulletins' articles dealing with the former theme, when ten-day reports were being released the articles of the reports concentrated upon delivering basic geographical information to the public in order to help them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outer world' in a global scale, and describing the changes that were occurring inside the traditional East Asian regional order which had had the Ch'ing dynasty as the central entity for a very long time. Yet when weekly bulletins were being released, the articles instead concentrated upon examining the power plays among the Western nations, while also actively abandoning the traditional view of world order which perceived Ch'ing as the center of East Asia.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rticles' tones of the ten-day reports and the weekly bulletins show us that the Joseon government was trying to let the general population escape from the traditional view of the world and let them understand the situation of the overall world in more realistic terms. And in cases of articles regarding the latter theme, when the weekly bulletins were being released, the apparent levels of priority that were assigned to certain issues(and certain foreign news pieces dealing with such issues) seemed to have changed, compared to earlier times. The articles inside the ten-day reports quoting foreign news pieces were concentrating upon introducing various facets of the modern culture of the world to the Joseon public and explaining the concept of those facets to them, while the articles inside the weekly bulletins were concentrating upon dealing with issues that the Joseon government was particularly pursuing at the time. The time period when ten-day reports were being released was the era when the government was initiating its diplomatic and enlightenment policies. The time period when weekly bulletins were being released was the era when Joseon was required to act faster to respond to the pressures of the Western nations and China. Through the articles of the ...

      • KCI등재

        Al<sub>2</sub>O<sub>3</sub>-CaO-SiO<sub>2</sub>-MgO계 슬래그 중 Cu의 용해도

        한보람,김응진,손호상,Han, Bo-Ram,Kim, Eung-Jin,Sohn, Ho-Sa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4 資源 리싸이클링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폐 PCB의 주성분인 Cu와 $CaO-SiO_2-Al_2O_3-MgO$계 슬래그의 평형실험에 의해 Cu의 용해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673 K~1825 K 범위에서 일정한 비율로 미리 용융된 4원계 슬래그와 Cu를 흑연 도가니에 각각 20 g 장입한 후, 10시간동안 평형 을 유지하였다. 분위기 중의 산소분압은 CO가스와 Ar가스의 비율을 조절하여 $10^{-17.23}{\sim}10^{-15.83}$ atm 범위로 제어하였다. 평형산소 분압과 염기도 및 MgO 농도가 증가할수록 슬래그 중 Cu의 농도는 증가하였다. 그리고 반응 온도가 높을수록 슬래그 중의 Cu의 농도는 감소하였다. 슬래그 중으로 용해되는 Cu의 반응은 발열반응이다. In this study, the solubility of Cu, which is a main metal component of wasted PCB, in $CaO-SiO_2-Al_2O_3-MgO$ slag system was investigated. Each 20 grams of Cu chips and the quaternary slag manufactured was placed in an carbon crucible and melted for 10 hours in the temperature between 1673 K and 1825 K to confirm the equilibrium state. The oxygen partial pressure was controlled by the ratio of CO and Ar gas in the range of $10^{-17.23}$ to $10^{-15.83}$ atm. The concentration of Cu in the slag increased with increasing oxygen partial pressure, slag basicity, and MgO content in the slag. The concentration of Cu in the slag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Cu dissolution reaction in the slag is an exothermic reaction.

      • KCI등재

        Fringe Field Effects on Transient Characteristics of Nano-Electromechanical (NEM) Nonvolatile Memory Cells

        한보람,최우영 대한전자공학회 2014 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Vol.14 No.5

        The fringe field effects on the transient characteristics of nano-electromechanical (NEM) memory cells have been discussed by using an analytical model. The influence of fringe field becomes stronger as the size of a cell decreases. By using the proposed model, the dependency of NEM memory transient characteristics on cell parameters has been evalu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