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범죄두려움 연구에 정석이 존재하는가? : 범죄두려움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민경 대한범죄학회 2019 한국범죄학 Vol.13 No.2

        This study analyzed the fear of crime literature with a quantitative measurement or analysis published in Korea, in recognition of the need to look back on how fear of crime has been studied in the countr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 four parts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fear of crime have increased and expanded at a rapid pace in a short period. Second, despite the ecosystem expansion on fear of crime and criminology, the Korean literature on fear of crime have been still led by a handful of researchers and academic journals. Third, the use of the measures on fear about specific crimes has been found to be more and more prevalent in the literature. It is found, in addition, that a tactical use of multiple measures on fear of crime in an analysis model has been growing increasingly, suggesting that researchers have recognized and agreed on the claim that fear of crime vary depending upon the types of crime. Lastly, the fear of crime literature has been gradually “standardized” from research design to publication. The fear of crime literature as well as the fear of crime itself deserve an academic attention to fi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이 연구는 범죄두려움이 어떠한 방식으로 연구되어 왔는지를 돌아보는 우리만의 작업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범죄두려움에 대해 계량적인 측정 내지 분석이 이루어진 국내 선행연구 241건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크게 다음과 같이 네 부분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범죄두려움관련 연구는 단기간 내 빠른 속도로 증가 및 확대되어 왔다. 둘째, 범죄두려움 및 범죄학이라는 학문적 생태계 확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내 범죄두려움 관련 연구는 소수의 연구자와 학술지가 주도하고 있다. 셋째, 범죄두려움 관련 연구가 많아지면서 구체적 두려움을 측정하는 문항의 사용이보편화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아울러 복수의 범죄두려움 유형을 분석모델에 포함하는 경향 또한나타나고 있다. 넷째, 범죄두려움 연구들은 분석 범위, 연구 설계, 연구 발표에 이르기까지 점차 ‘정형화’(standardization)되고 있다. 향후 범죄두려움 본연에 대한 탐구 못지않게 범죄두려움에 대해이루어진 연구성과를 축적하고 집약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학문적 관심이 촉발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성인 학습자로서 유아교사의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고찰 및 교사교육을 위한 시사점 모색

        한민경,이순복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1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아동 및 청소년의 자기조절학습과는 구별되는 심리적 구인이라는 이론 및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성인 학습자로서 유아교사의 자기조절학습에 대한 교육적 개념, 발달 특성, 교육 프로그램 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성인 학습자로서 유아교사는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에 있어 학령기에 있는 중· 고등학생 및 대학생들과는 차별화되는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조절 능력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기조절학습 능력의 발달은 다차원적인 학업적성의 복합체로서 후천적으로 계발 되는 것이기 때문에 성인 학습자로서 유아교사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환경과 지원전략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성인 학습자로서 유아교사의 자기조절학습 능력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recent research and psychological theory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of teach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ta-cognitiv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through current research. The importance of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for better self-regulated learning was reviewed. Regarding motivational factors, goal orientation was discussed as one of key factors for supporting self-regulated learning. The current research examining behavioral fa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focuses on time management in conducting tasking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Research findings emphasize that for efficiently supporting teachers' self-regulated learning, the researcher or teacher educators needs to consider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in self-regulated learning between adult learners, especially teachers, and adolescents or children. Based on the review discussed above, th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장애인 보호자 지원체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한민경,이미숙,양소현,나인정,윤애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가 델파이 설문과정을 통해 생애주기별, 장애유형별 장애인 보호자 지원 체계 구축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3차에 걸친 전문가 델파이 설문을 실시하였다. 4개 집단 유형(특수교육 전공 및 전문직 패널, 특수교사, 장애인 보호자, 장애인 복지관련 기관에 종사자)에 속한 총 18명이 참가하였다. 연구결과, 전문가 패널은 생애주기별 특수성을 반영한 지원체계 개발을 강조하였다. 유아기의 경우, 장애영유아기의 발달특성 및 성장특성 관련 부모교육 지원을 강조, 아동⋅청소년기의 경우, 장애학생과의 의사소통 및 장애학생의 도전적 행동 중재 관련 교육, 양육기술 교육을 강조, 전환기 및 성인기 장애인 보호자 지원 체계에 관해 장애인 대상 직업생활 지원, 직업재활 교육, 장애인의 자립, 권리 옹호를 강조하고 특히 장애인 본인의 자립과 직업 관련 서비스를 강조하였다. 또한 장애유형별(예: 시각, 청각, 발달장애 등) 강조되어야 하는 보호자 지원체계의 특성에 대해서도 의견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장애인 보호자 지원체계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청각장애인에 대한 주파수 전위 보청기와 일반 보청기의 효용성 비교

        한민경,이정학,김진숙 한국음성과학회 1998 음성과학 Vol.3 No.-

        Frequency transposition (FT) hearing system was designed for individuals with little or no residual hearing at high frequencies. This device compresses and shifts the wide-band, high frequency acoustic energy where important features for speech perception are concentrated to the audible, lower range of frequencies. The usefulness of the FT system was investigated for 12 patients (7 childred and 5 adults) with severe-to-profound sensorineural hearing losses compared with conventional hearing aids. Results suggest that the hearing impaired can benefit from the FT system with appropriate selection criteria and auditory (re)habilitation program. Keywords: frequency transposition (FT) hearing system, conventional hearing aids, residual hearing, sensorineural hearing loss

      • KCI등재

        A Structure Model on Burnou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Child Care Teacher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ased on the Compassion Satisfaction-Compassion Fatigue (CS-CF) Model

        한민경,손지향,양소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2

        This study aimed to structure a model of burnou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the compassion satisfaction-compassion fatigue (CS-CF) model and test its model fit. The research sample included the data collected from 483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variate structural analysis was utilized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According to the findings, organizational cultur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nd resilience affected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wi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n the research model. The future improvement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동화책 어휘를 통해 살펴 본 아동의 언어입력 환경: 체언을 중심으로

        한민경,성시연,최서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동화책에 등장하는 단어들 중 체언의 유형과 빈도를 중심으로 그 형태적 특징을 알아보고 연구와 임상에서 동화책에 기반한 어휘목록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1-2세, 3, 4세, 5-7세 각 연령별 26권씩 총 78권의 동화책을 선정하여 동화책에 등장하는 14,728어절 중 체언에 해당되는 일반명사, 고유명사, 의존명사, 대명사, 수사 등 총 7,184어절을 중심으로 각 품사의 유형 수와 사용빈도를 계산하고 일원분산분석을 통하여 연령별 유형 수와 사용빈도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동화책에 등장하는 단어 중 체언은 전체 유형 수의 38.2%, 사용빈도 26.8%를 차지하였고 3, 4세용 도서에서 가장 높은 유형 수 비율과 사용빈도 비율을 보였다. 품사별로는 유형 수에서는 일반명사>고유명사>의존명사>대명사>수사의 순서로 많았고, 사용빈도는 일반명사>대명사>고유명사=의존명사>수사의 순서로 많이 사용되었다. 수사를 제외한 모든 체언 품사들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형 수와 사용빈도 비율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아동의 언어입력환경 중 하나인 동화책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다양한 체언을 반복적으로 제공하여 아동의 어휘습득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전자감독 담당직원의 업무부담 측정에 관한 연구: 사건수를 기준으로

        한민경 아시아교정포럼 2019 교정담론 Vol.13 No.2

        A review of literature indicates that electronic monitoring (hereafter EM) has a labor-intensive nature that increases the work burden of EM officers; there are few research, nonetheless, that have led to an attempt to measure the work burden caused by EM quantitatively. Based on the caseloads in relation to recidivism risk assessment of EM subjects and difficulties of supervision on them, this study aims to quantify the work burden of EM through a survey for 260 EM staffs across the country (95 dedicated for EM solely; 165 responsible for EM in parallel with general probation). EM cases, which are considered to be onerous due to high level of recidivism risk, tend to be assigned to the personnel responsible for EM solely within a probation office; meanwhile, EM staffs have heavy burden of feelings in case of subjects charged in EM with sexual impulse disorders. If the work burden for an adult subject on general probation is regarded as 1, in other words, that for an EM subject with sexual impulse disorders is evaluated as 15.8; 10.8 for a subject charged in EM as a retroactive probation; 9.1 after completion of the term of imprisonment; 9.7 and 9.4 as a provisional termination of medical treatment and custody; 6.0 as a suspension of sentence execution, and 5.3 as a parole. When measuring work burden based on the EM caseloads,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slight differences depending on EM types, crime types, and recidivism risk levels; the work burden considering crime types is measured as the highest for the personnel dedicated for EM.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concludes with some remarks to be considered for future research and evaluation on the work burden of EM staffs. 전자감독이 업무부담을 증가시키는 노동집약적 성격을 지닌다는 점은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지적되어 왔지만, 전자감독에 따른 업무부담을 계량적으로 측정하고자 시도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전국의 전자감독 담당직원(260명; 전담직원 95명, 병행직원 165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전자감독 대상자의 재범성 및 지도감독의 난이도를 고려한 가운데 사건수를 기준으로 전자감독에 대한 업무부담을 수치화하였다. 같은 보호관찰소 내에서도 대상자의 높은 재범위험성으로 인해 업무부담이 크다고 생각되는 전자감독 사건은 전담직원에게 배정되는 경향이 확인되는 가운데, 전자감독이 개시되는 여러 사유 가운데 전담직원과 병행직원 공히 성충동 약물치료가 병과된 경우 가장 큰 업무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인 보호관찰 대상자 1명에 대한 업무부담을 1로 할 때 부착사유를 기준으로 성충동 약물치료는 15.8, 소급형기종료는 10.8, 일반형기종료는 9.1, 가종료는 9.7, 가출소는 9.4, 집행유예는 6.0, 가석방은 5,3의 업무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사건수를 기준으로 하여 전자감독과 관련한 업무부담을 측정하는 경우에도 부착사유, 부착죄명, 분류등급 중 사건의 어떠한 특성에 포착하여 그 수를 세느냐에 따라 전자직원 담당직원들의 업무부담 측정결과는 미세한 차이를 보였으며, 부착죄명을 고려하였을 때 전담직원의 업무부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전자감독 담당직원의 업무부담에 관한 후속 연구 및 평가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상호교류분석이론을 적용한 유치원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교사-유아 간 의사소통 및 교사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민경,한윤경,정미숙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교류분석이론에 기초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교사-유아 의사소통과 교사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시와 A시 소재 4개의 유치원에 근무 중인 교사 28명(실험집단: 13명, 통제집단: 15명)이다. 총 12주 동안 12회기의 상호교류분석이론에 기초한 교사교육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상호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교사교육이 교사-유아 간 의사소통에서 온정 및 개방적 의사소통으로 특징 지워지는 친밀감 요인의 증진에 효과적이었으며, 실험집단 교사들의 자아존중감 총점과 하위요인 중 일반적 자아개념, 자기수용, 자기책임 요인의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교사교육에 참여한 교사와 참여하지 않은 교사들의 유아 간 의사소통 중 갈등적 요인에 있어서는 사후검사 점수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교사-유아 의사소통 증진 및 교사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향후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