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韓國 農村地域의 改新敎會 禮拜空間 디자인에 관한 硏究Ⅰ(2000년 이후 한국 개신교회 예배공간의 의장 특성에 관한 분석)

        한동욱 한국농촌건축학회 2004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6 No.16

        This study is for figur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ition of the religious outlook and the design of worship space in Korean churches after the year of 2000. Analyzing the design samples of worship spaces which are appeared in architectural and interior design publications, it is found out that the modernity in architectural and interior design is presented in many worship spaces. And the progressive effort for the renewal of the worship service is projected to composition of the pulpit and others. But the conservatism of the Korean church has not been eliminated yet. These phenomena are considered to be same in the most cases of rural community church.

      • KCI등재

        구조적인 인생회고 프로그램이 치매 여성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동욱,서병도,하미숙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structured life review program aimed at increasing cognition in the elderly. The structured life review program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life course from childhood to old age. The participants were twenty-one elderly peoples(65 years and older) living in Busan, Gimcheon and Cheongdo.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he assessment MMSE-K(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 CSOA(cognition scale for older adults) and CNT(computerized neuro- cognitive function test).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paired t-test with SPSS 17.0 package program. The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mory registration of MMSE-K, stroop(interference), copy drawing and delayed recall of CSOA, Raven's CPM(colored progressive matrices) showed that the effects of the structured life review program. Based on these finding structured life review program are helpful to improve memory, attention, educative and reproductive ability in the elder women. 이 연구의 목적은 구조적인 인생회고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시, 김천시, 청도군에 거주하고 있는 치매 노인으로서 이 연구에 참여하기로 보호자의 동의를 얻은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지기능검사는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MSE-K), 노인용 인지기능검사(CSOA), 컴퓨터화된 인지기능검사(CNT) 가운데 색체도형 지능검사(Reven's CPM)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구조적인 인생회고 프로그램이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검사(MMSE-K)의 세부항목 가운데 기억등록(p<0.05), 노인용 인지검사(CSOA)의 세부항목 가운데 간섭스트룹검사(p<0.05), 보고그리기(p<0.05), 지연회상(p<0.05), 컴퓨터화된 인지기능검사(CNT)인 색채도형 지능검사(p<0.05)가 향상되었다. 결과적으로 구조적인 인생회고 프로그램이 기억력, 주의력, 시공간능력 및 학습능력과 재구성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입학사정관 교육훈련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 J대학 사례연구

        한동욱,Han, Dong-Wook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1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2 No.5

        입학사정관제는 그 본질 상 정량적인 평가보다는 정성적인 형태의 다양한 평가요소를 대상으로 지원자의 정보를 주관적,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주된 내용을 이루므로, 무엇보다도 입학사정관이 다양한 전형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선발할 수 있는 전문가적 능력의 구비와 공정한 선발을 기할 수 있는 선발의 공정성 확보가 중요시 되는 제도이다. 그런데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문성 강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J대학교 입학사정관 교육.훈련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해 보았다. 그 결과 9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교육내용 및 주요 교과목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제시된 교육 훈련 프로그램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The role of admissions officers is to evaluate the overall qualification of applicants, which consists of various qualitative and subjective metrics The core requirement of admissions officers is not only assessment of students' qualification based on the application but also verification of the data stem from the various sources. The issue for fairness on selection is the crucial agenda for the whole process of university entrance. The educational program aimed on the enhancement the expertise of admissions officers is required to guarantee the fair selection of whole evaluation process. In this paper we developed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for admissions officers of J university. The 9 core dimensions of curriculum is presented to train admissions officers and the stepwise requirements of achieving each subject's goal are defined.

      • KCI등재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구조적인 인생회고 프로그램의 뇌파 활성도 분석

        한동욱,이병권,윤재섭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EG activity by structured life review program(SLRP) effected a change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Twenty five elderly with dementia above the age of 65 were invited to this study as subjects. Each subject participated in structured life review program one time per week for eight weeks from October 1st, 2008 to September 30th, 2009. The changes between pre- and post- program were analyzed using the paired t-test with SPSS 17.0 package program. We found that there was observation of significantly changed EEG activity like this: wave was decreased(p<.05) and wave was increased(p<.05) at prefrontal lobe; wave was increased (p<.05) at parietal lobe; wave(p<.05) and wave(p<.05) was decreased at occipital lobe. These results show that structured life review program is helpful to change EEG activity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본 연구는 구조적인 인생회고 프로그램이 치매 노인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부산시, 김천시, 청도군에 거주하고 있는 치매 노인 가운데, 보호자의 동의를 얻고 뇌파측정에 문제가 없는 노인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뇌파측정은 국제적으로 공인된 10 - 20 방법으로 21개의 전극을 오른쪽과 왼쪽의 전두엽, 중심부, 두정엽, 측두엽과 후두엽에 부착하여 측정하였다. 구조적인 인생회고 프로그램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전전두엽에서는 파는 감소하고(p<.05), 파는 증가하였다(p<.05). 두정엽에서는 파가 증가하였으며(p<.05), 후두엽에서는 파가 감소하고(p<.05), 파가 감소하였다(p<.05). 파의 감소와 파의 증가는 뇌기능의 증진을 의미하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구조적인 인생회고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뇌기능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운동발달 평가도구의 고찰과 현장적용 사례

        한동욱,김민주 대한운동학회 2014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6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review motor development assessment tools, 2)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ols and 3) provide the application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researchers related motor development and physical education. MABC-2 is used to assess overall motor development including manual dexterity, gross motor skill, and balance. This assessment tool especially is suitable for screening motor delay. TGMD-2 is used to assess twelve gross motor skills and the result from TGMD-2 is applied to plan and evaluat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r physical activity program. In this study, these two assessment tools were reviewed and the application to apply into school setting was reported. [METHOD] The literatures related these tools were reviewed to introduce how to assess motor development with these tools and the application for physical education and research. [RESULT] MABC-2 was used to assess overall levels of motor development including manual dexterity, aiming and catching, and balance and was took about forty minutes per one person. The results from MABC-2 were interpreted that the score below 16% means motor delay sufficient and the score below 5% means motor delay, respectively. TGMD-2 was applied to assess gross motor skills, six locomotor skills and six object manipulation skills, and modified in order to assess the numbers of children in a shorter time slot than a original assessment setting. [CONCLUSION] MABC-2 and TGMD-2 were applied to assess the levels of motor development and to screen and devide participants into research group. Also, these tools can be utilized to provide more detailed information with respect to motor coordination for physical education or research. [목적] 본 연구는 운동발달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평가도구를 비교하고, 평가하고자 하는 대상과 그 목적에 따른 평가도구 선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 중 운동발달의 지연여부를 판별하여 연구 대상자를 분류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Movement Assessment of Battery for Children-2(MABC-2)와 체육교육 과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12가지의 대근운동기술을 평가하여 운동프로그램의 계획 및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2(TGMD-2)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운동발달 평가도구와 이를 활용한 연구를 고찰하였으며, 국내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학제 간 연구와 중재 프로그램을 위한 활용방안을 제언하기 위하여 S 대학교에서 진행하는 운동발달 프로그램과 체육영재센터에서 평가도구들이 활용되는 현장적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결과] MABC-2는 소근운동기술, 대근운동기술, 균형 등의 전반적인 운동발달 수준을 40분 이내에 평가할 수 있으며, 검사 결과가 16% 미만일 경우 운동발달 지연의심, 5%이하일 경우 운동발달 지연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는 향후 운동능력에 따른 연구 대상자를 분류하기 위한 기준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TGMD-2는 6개의 이동운동기술과 6개의 물체조작기술의 발달 수준을 평가할 수 있으며, 중재 프로그램의 계획 및 진단 그리고 개인별 운동기술 수준을 평가할 수 있어 체육 또는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활용이 가능하다. 일반 아동과 체육영재 아동 모두에게 사용이 가능한 이 평가도구는 기본운동기술과 스포츠기술이 발달해야 하는 초등학교 시기의 운동발달을 평가하기에 적합하며, 그 사용방법도 다른 평가도구에 비해 간편하여 현장에서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MABC-2와 TGMD-2는 아동의 운동발달 수준을 평가할 뿐 아니라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연구대상자를 선별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으며, 체육교육이나 신체활동 지도 시 보다 구체적인 운동협응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 선별척도의 개발

        한동욱,조혜선,황순택,김지혜,홍상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1 초등상담연구 Vol.20 No.2

        이 연구는 경계선 지적 기능(BIF) 아동을 선별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BIF 아동의 지적 기능과 적응 기능을 반영하 면서도 접근성이 높고 간편한 선별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문헌 조사와 BIF 자녀를 둔 부모, 교사, 심리학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하여 예비문항을 제작하였고, 5인의 전문가에게 예비문항의 적절성을 평정하고 요인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60문항을 선정하였다. BIF 아 동을 대상으로 K-WISC-IV(n=136)와 K-WFA(n=75)를 실시하였고, 그 부모를 대상으로 이 연구 에서 개발한 척도와 K-Vineland-II(n=1,447)를 함께 실시하였다. 신뢰도는 문항의 내적 합치도 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타당도는 요인분석과 다른 척도와의 상관분석, 집단 간 평균차이 분석을 위해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 연구에서 개발한 경계선 지적 기 능 선별척도가 일관성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시간에 따른 안정성이 있으며, 일반 아동 과 BIF 아동, 지적 장애 아동을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최신의 진단기 준을 반영하여 BIF 아동의 지적 기능뿐만 아니라 적응 기능까지 포함하여 문항을 개발하였 고, BIF 아동을 보다 간편하게 선별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reening scale for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BIF) and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selection tool that is highly accessible and simple while reflecting the intellectual and adaptive functions of BIF children. First, a literature survey and a questionnaire survey were conducted with parents with BIF children, teachers, and psychologists to create preliminary questions. After EFA and five experts assess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eliminary questions, the final 60 questions were selected. K-WISCIV(n=136) and K-WFA(n=75) were conducted for BIF children, and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and K-Vineland-II(n=1,447) were used for parents. Implemented. As for the reliability, the internal agreement of the items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were verified, and for the validity, a variance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ith other scales, and analysis of the mean difference between group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 screening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omposed of consistent items, has stability over time, and can distinguish general children from BIF children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developed items including not only the intellectual function but also the adaptive function of BIF children by reflecting the latest diagnostic criteria, and developed a scale to more easily select BIF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