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와 중국어 인식 양태 중의 ‘개연성’ 표현 비교 연구

        학수 한국언어문학회 2022 한국언어문학 Vol.120 No.-

        , It is a consensus in grammar research that a sentence is composed of two parts: proposition, which expresses objective facts, and modality, which expresses the speaker’s subjective modality. Therefore, a good command of modal expression can better promote and enhance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bility of Korean learners.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grammar between Korea and Chinese in the expression of modality. This difference will affect Chinese Korean learner’s learning of Korean modal expr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n the grammatical items representing modality in Korea and Chinese. Modality is traditionally classified as ‘epistemic modality’ and ‘non-epistemic modality’. Based on the theory of ‘epistemic modality’, this study selected the modal expression of probability as the research object. From the three aspects of ‘meaning’, ‘form’ and ‘pragmatics’, the comparative study of complete structure of Korea for probability and Chinese modal verb is conducted.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hinese Korean learners in their education around the expression of probability.

      • KCI등재

        베트남인 학부생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 요인 분석

        학수,박현진 한민족문화학회 2022 한민족문화연구 Vol.79 No.-

        This study takes Vietnamese undergraduate students as an research object, paying attention to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peaking anxiety. The purpose of it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peaking anxiety, the question types of speaking and the related factors. Also, the differences caused by variable cause of speaking anxiety learners is focuses on. Therefore, we have made a questionnaire survey on Korean learners, which conducted on 92 Vietnamese undergraduate students from Universities in Jeonbuk Region. It is found that Vietnamese undergraduates have a moderate level of anxiety on speaking Korean. The factors are including ‘the environment of second language classroom’, ‘the confidence’,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or teachers’ and ‘different learning abilities of students’. I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speaking anxiety, including question types of speaking and the various questions and elements of anxiety, we have found that there are 14 questions related among 18 questions and all the elements have a high correlation. Besides, we made analysis on the speaking anxiety level of the Korean learners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proficiency. The results have showed that there is no gross statistical difference. But on the interaction-related anxiety, we found that women feel more upset than men. As for the different learning abilities, it is found that the advanced learners still have other anxieties except the high learning levels. In a word, the study focuses on the speaking anxiety of Vietnamese undergraduate students and analyzes the anxiety differences caused by variable cause.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of great significance. 이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말하기 불안의 특징을 살펴보고, 전체 말하기 불안과 말하기 불안 문항 및 요인 간의 관계, 그리고 학습자 변인에 따른 불안 양상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전북에 소재한 대학의 베트남인 학부생 92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말하기 불안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베트남인 학부생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은 다소 중간 수준이었다. 불안의 구성 요인은 ‘제2언어 교실 관련 불안’, ‘자신감 관련 불안’, ‘상호작용 관련 불안’, ‘능력 수준 관련 불안’으로 나타났다. 전체 말하기 불안과 각 문항, 요인 불안의 상관분석에서 18개 문항 중 14개의 문항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보였으며, 요인별 불안에서 모든 요인과 높은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성별과 숙달도별로 한국어 말하기 불안의 정도를 분석한 결과에는 대체로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다만 ‘상호작용 관련 불안’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불안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이 높아지면 불안이 감소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고급 학습자도 능력 수준 관련 불안을 제외한 나머지 불안은 감소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학부생의 말하기 불안에 주목하였으며 변인에 따른 불안 차이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의 어간말 비음 뒤 경음화 실현 양상 및 특성

        학수(Hao, Shuai),안성민(An, Sung-min) 한국언어문학회 2021 한국언어문학 Vol.119 No.-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and educational suggestions for Mongolian Korean learners to teach the pronunciation of post-nasal tensification.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pronunciation of post-nasal tensification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Mongolian learners, and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ensification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ensification rate of sentence utterance was higher than that of word utteranc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roficiency level. In word utte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The pattern of tensification in verbs and nouns was differ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jugation of ‘an-’ and ‘al-’. The length of the syllable or the frequency of word use did not affect the pronunciation of the tensification. The error rate was higher when the preceding element was a double consonant than when it was a single consonant. It was found that the error rate of the trailing element was higher when it was a connective ending than when it was an auxiliary verb.

      • KCI등재

        언어 습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말하기 불안도 및 구성 요인 분석

        안성민(Sung-min An),학수(Shuai Hao) 동남어문학회 2023 동남어문논집 Vol.1 No.55

        이 연구는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의 양상을 살핌으로써 말하기 불안의 하위 요인을 분석하고 학습자 특성에 따른 불안 차이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어 초급 학습자 110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말하기 불안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은 낮은 수준이었으며 불안의 구성 요인은 ‘자기 효능감 불안’, ‘이해 실패 불안’, ‘부정적 평가 불안’으로 나타났다. 전체 말하기 불안과 각 문항 간 상관분석에서는 제2 언어 교실 상황에서 갑자기 일어나는 말하기 상황 관련 문항들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구성 요인 간 상관분석에서는 ‘자기 효능감 불안’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성별과 한국어 과정에 따른 한국어 말하기 불안의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말하기 불안에 주목하였으며 학습자 특성에 따른 불안 차이를 분석하고 그 양상 및 특성을 정리하여 말하기 교육의 기초 자료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ub-factors of speaking anxiety and to reveal the differences in anxiety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the aspects of Korean speaking anxiety among Korean learner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10 foreign students at K University on Korean speaking anxiety. As a result of the survey, Korean speaking anxiety of Korean learners was low, and the constituent factors of anxiety were “self-efficacy anxiety,” “understanding failure anxiety,” and “negative evaluation anxiety.”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overall speaking anxiety, each question, and factor anxiety, it was found that the sudden speaking situation and related questions in the second language classroom situation were most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anxiety” in factor-specific anxiet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Korean speaking anxiety according to the learners' gender and the Korean language courses they take. This study focused on the speaking anxiety of Korean learners and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differences in anxiety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 KCI등재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불안 요인 분석

        안성민 ( An Sun-min ),학수 ( Hao Shuai )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6 No.-

        이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가 경험하는 읽기 불안의 양상과 요인, 그리고 학습자의 성별, 언어 학습 과정에 따른 불안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다루었다. 읽기 불안 의 측정은 외국어 읽기 불안 척도(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Scale: FLRAS)를 활용하여 109명의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측정 결과 초급 학습자는 읽기 불안의 평균 점수가 2.95이며 중간 수준의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 요인 분석 결과, ‘낯섦에 대한 불안’, ‘자기 효능감 불안’, ‘읽기 전략 부족 불안’ 총 3가지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그중 ‘자기 효능감 불안’의 불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낯섦에 대한 불안’ 요인이 가징 낮은 불안도를 보였다. 읽기 불안과 각 문항 및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르는 것에 관한 문항들이 전체 읽기 불안과 매우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요인별로는 ‘자기 효능감 불안’이 모든 요인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성별과 언어 학습 과정에 따른 불안에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불안에 주목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로 초급 학습자의 읽기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ystematically dealt with the patterns and factors of reading anxiety experienced by beginner Korean learners and differences in anxiety according to the learner's gender and course. Reading anxiety was measured by 109 foreign learners using the Foreign Language Reading Anxiety Scale(FLRAS). As a result of this measurement, it was found that beginner learners had an average score of 2.95 for reading anxiety, which demonstrated an intermediate level of anxie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anxiety factors,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anxiety about unfamiliarity', 'anxiety of self-efficacy', and 'anxiety of lack of reading strategies'. Among them, 'self-efficacy anxiety' was the highest, and the 'anxiety about unfamiliarity' factor was the lowe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anxiety and each question and the factor, it was found that questions about what learners didn't know had a very high correlation with overall reading anxiety. Moreover the factor 'self-efficacy anxiety' was highly correlated with overall reading anxiety. Overall anxie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arner's gender and course they tak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primary data to reduce the reading anxiety of beginner Korean learners.

      • 지질정보에 대한 정형화 및 Open Street Map 적용사례

        학수,이철우,함세영,허억준 대한지질공학회 2016 대한지질공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16 No.1

        최근 토목, 지하수, 환경, 재해분야 등에서 지질관련정보의 수요 증가와 이들 정보에 대한 효율적 품질관리, 정보관리 및 정보공유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환경 하에서 정보의 정형화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빅데이터 환경 하에서 정보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물리탐사, 지하수, 지질분야 등에서 자료의 정형화에 대한 여러 연구가 2000년대부터 진행되어 왔다(박삼규등, 2010; 이태섭 등, 2000; 황학수 등 2014a, 황학수 등, 2014b). 이 같은 많은 연구들은 공간적으로 연구그룹 내에서만 그리고 특정 분야에 국한된 자료관리의 수준으로 지질관련 모든 분야의 정보에 대한 총괄적이며 효율적인 정형화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는 않았다. 이 연구는 지질분야를 포함한 관련분야 그리고 GIS 기법의 활용에 있어서 주제도의 효율적 생성까지 확장할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자료의 정형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이를 개발된 소프트웨어와 open street map에 적용하여 통합적 자료관리 및 크라우드 개념의 자료공유에 대한 가능성을 예시하였다. Fig. 1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S/W인 MS Access를 사용하여 구축한 데이터베이스(ClassDB)를 구성한 테이블 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정규화를 통하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10개의 테이블로 구성하였다. 지질관련자료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분류하고 해당 테이블(LargeClass, MiddleClass, SmallClass)에서 unique 필드는 6자리 문자열(예, 대분류의 지구물리는 “030000”, 수리지질은 “040000” 등)로 코드화하였다. 이 unique 필드값은 관계한 다른 모든 테이블을 참조하는데 사용한다. 그리고 소분류에 대한 속성정보 및 자료들은 해당 소분류 코드에 의해 참조하는 7개의 테이블(SmallProcess, SmappCaptionN, SmallFileClass, ColumnHeader,SmallProperty, SmallUnitN, SmallFileFormat)에서 관리한다. 정규화에 의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적용한 WinSaSo S/W는 MS 윈도우환경에서 프로그래밍 언어 C#4.0을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수집자료의 공간적 정보를 위하여 open street map을 사용하였으며, 공간정보, 수집자료 및 수집 시 정보들은 구축된 데이터베이스(Class DB)와 관계한 또 다른 데이터베이스(Project DB)에서 관리한다. (http://cafe.daum.net/gisops). Fig. 2는 WinSaSo S/W를 이용하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예이다. 여기서, (a)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소분류별 레이어 생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사용된 폼은 WinSaSo를 구성하는 프로젝트 레이어 생성폼이다. Fig 2 (b)는 소분류별 생성된 레이어를 구성하는 측점들의 공간적위치를 Open street map에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분홍색 다이아몬드점들은 대분류가 물리탐사, 중분류가 전기비저항탐사, 소분류로서 1차원 전기비저항탐사가 수행된 측점들이다. 이 같은 각각의 측점에서 수집한 현장자료들은 일정한 형식(자료속성 및 수집정보에 대한 파일형식)을 갖고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한다. Fig. 3은 Class DB를 구성하는 테이블들의 필드에 대한 예시이다. 도시한 폼은 Class DB를 관리하고, 또한 지질관련자료에 대한 정형화를 위한 것으로 WinSaSo S/W를 구성하는 하나의 인터페이스 폼이다. 이 폼의 stand-alone 실행파일(윈도우 버전), 소스파일(c#) 그리고 ClassDB 파일은 http://cafe.daum.net/gisops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향후 지질정보의 정형화 작업을 포함한 WinSaSo S/W의 처리모듈(예, 전기비저항 1 & 2D역산, TEM 1D역산, EM 1D역산, 중력 및 자력보정 등)을 위한 객체지향 라이브러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DLL (Dynamic Link Library)또는 COM (Component Object Model)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지질정보에 대한 정형화 작업, 특히 소분류별 속성정보 정형화는 시간과 각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작업이다. 이 논문의 저자들의 전공은 물리탐사(전자탐사), 수리지질, 토목분야(토질)이지만은 해당분야에 포함된 모든 세부분야에 대한 정형화에는 한계가 있으며, 또한 저자들의 전공 이 외의 분야(예, 구조지질, 지질공학, 지구화학 등)에 대한 정형화 작업은 해당분야 전문가, 학회, 연구원 및 학교차원의 협조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방법으로 온라인 카페(http://cafe.daum.net/gisops)를 개설하고, 각 분야의 전문가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그러므로 빅데이터 환경을 대비한 지질관련자료의 정형화작업 및 통합적 분석전용 GISS/W 개발에 많은 관심과 협조를 부탁합니다.

      • 최소양생과 생체의 생식생리 반응 : 식물계와 동물계 특히 인체와의 비교

        학수 한국정신과학학회 2001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15 No.-

        생물체라는 존재는 각자의 생존권(생태권)안의 조건들이 동일하지 않고 다르기 때문에 본능적인 행위의 발현도 일정한 충족조건들이 채워져야 원만한 진행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를테면 지구 위를 피복하고 있는 토양 층(전 지구표면의 1/3)은 수많은 식물계를 위시하여 인류를 포함한 더 많은 동물계라는 생명현상을 영위하는 "장"으로 거대한 태양-에너지를 수용하고 그를 소비, 순환시키고 있는 곳으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 자신의 "생명"을 탄생시키고 그를 유지, 존속하고 있는 "생명체"의 형태라던가 기능의 다양성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그러나 이들이 원만한 식생활과 번식행위의 진행은 역시 "독특한 조건들의 충족" 이 이루어져야 원만하게 진행될 수가 있는 것이다.

      • 성의 본질: 성의 본래성과 비본래성

        학수 ( Bae Hak-soo ) 한국하이데거학회 2007 존재론 연구 Vol.15 No.-

        지금 우리나라에는 성에 관해서는 아무런 기준이 없다. 정당성은 없고 강제력만 있는 법률은 제대로 집행될 리가 없다. 무엇이 옳고 그른지 알 수 없기에 아무렇게나 해도 안 될 것이 없는 것, 이것이 지금 우리나라의 성 문화이다. 이러한 혼란의 근본 문제는 성 윤리가 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성 윤리 불가지론이 수반하는 성 혼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성의 윤리를 철학적 기반에서 세워야 한다. 새로운 성 윤리를 만든다고 전통에서 규범을 찾아 가져 올 수는 없다. 그리고 성 윤리를 확립하기 위해 전통이 아닌 다른 곳에서 무작정 가지고 올수도 없다. 성 윤리는 전통이든 다른 무엇이든 근거에 대한 깊은 성찰 없이 세울 수는 없는 것이다. 성 윤리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성의 본질에 대한 깊은 탐구가 필요하다. 이 글은 성(sex)의 본질을 성의 본래성 문제로 이해하여 삶의 본래성 지평에서 논의한다. 나는 『존재와 시간』에서 하이데거가 제시한 본래성 개념을 성의 문제를 다루기 위한 지평으로 도입하려고 한다. 그에게 본래성은 자신에 대한 집중이다. 하이데거에게 인간은 사회적 역사적 존재이다. 인간은 항상 다른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공동 존재이다. 지금 ‘나’에게는 길고 긴 인간의 역사와 가족, 민족, 인류가 모여 있다. 따라서 진정한 ‘자기 집중’이란 고립된 나 혼자만의 주관만 주시하는 데 머무를 수 없으며, 내 존재를 구성하는 역사와 타인에게 책임을 다하는 것이다. 본래성의 사회적 의미 덕분에 하이데거의 개념은 성 문제의 토론에 적용할 수 있다. 성 행위가 인생 전체의 맥락 속에서 어떤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지를 주목하면서 상대방뿐만 아니라 관련된 모든 사람에 대해 고려하는 성이 진정한 성이다. 삶의 본래성에 관한 논의에서 볼 때, 진정한 성은 특정한 성의 개념을 전제하지 않으면서도, 자신과 타인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이다. 성의 담론이 성 생활에 대한 윤리적 지침을 주기 위해서는 좋은 성과 나쁜 성을 구별하는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 이래도 좋고 저래도 좋은 식의 기준, 자기가 만족만 하면 그만이라는 식의 판정 기준은 제대로 작동할 수 없다. 성의 본질에 관한 다양한 논의를 통하여 성 윤리를 새로 확립하는 것이 현대 한국 철학계의 과제일 것이다. There is no criteria of Sexuality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Losing their moral validity, some existing sexual laws do not work well. The sexual culture in Korea, now, would be that people do not know what is right or wrong in their sexual behaviors due to the lack of sexual standards. One of the fundamental causes of the sexual disorder is that the solid sexual morality is not established. Coping with the sexual confusion following the agnosticism about sexuality, we should build our sexual morality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In making new sexual morality, tradition or other sources should not be brought uncritically. We need a through investigation into the essence of sex in order to establish our new sexual morality. In the article, I am going to discuss the essence of sex on the background of the authenticity of human beings. The concept of the essence of sex, I understand, means the authenticity of sex. The authenticity that Martin Heidegger introduces in Being and Time will be the horizon for dealing with the authenticity of sex. He thinks that the authenticity of one's life is to focus on oneself. To Heidegger, we are a social and historical being. Human beings are living together with other people. The present 'I' is gathering a long and wide history of human beings and family, nation. Therefore the true self-focusing of the authenticity does not look at only an individual ego, but is responsible for the history and others which constitute the being of oneself. The social implication of the authenticity make Heidegger's authenticity apply to discuss the sexual problem. With regard to the authenticity of life, the authenticity of sexuality would be to consider all people around an individual's sexual relation. It means to focus not only oneself but also other people related to one's sexual behavior. The authentic sexuality does not take any views on sexuality for granted, but is responsible for being of oneself and others. The discourse on sexuality should have ethical meanings regulating our sexual lives. It should suggest some criteria to distinguish good sex from bad one. In order to deal with the present sexual disorder in the Korean society, we should not take the standpoints that any thing goes on sexuality. One of tasks of the contemporary Korean philosophy would be to establish a new sexual morality based on various discussions on the essence of sex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