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내 벼키다리병균의 Prochloraz 약제에 대한 저항성 변화
최효원,이용환,홍성기,이영기,남영주,이재금,한송희,Choi, Hyo-Won,Lee, Yong Hwan,Hong, Sung Kee,Lee, Young Kee,Nam, Young Ju,Lee, Jae Guem,Han, Song Hee 한국균학회 2015 韓國菌學會誌 Vol.43 No.2
국내에 분포하는 벼키다리병균의 prochloraz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연도별로 균주를 수집하고, 병원성을 검정하였으며, 한천희석법을 사용하여 각 균주의 prochloraz에 대한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값과 effective concentration of 50% ($EC_{50}$) 값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2006년부터 2007년 분리균의 MIC 값은 $3.125{\sim}6.25{\mu}g/mL$인 균주가 가장 높은 빈도로 분포하였고, 2013년부터 2014년 분리균의 MIC 값은 $6.25{\sim}12.5{\mu}g/mL$의 농도에서 분포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2006년부터 2007년 분리 균주의 평균 $EC_{50}$값은 $0.3142{\mu}g/mL$이었으며, 2013년부터 2014년 분리 균주는 $0.8124{\mu}g/mL$이었다. 2006년부터 2007년 분리 균주의 prochloraz에 대한 저항성 기준 $EC_{50}$값은 $0.6{\mu}g/mL$로 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기준에 의한 저항성 균주의 비율은 2006년부터 2007년 분리 균주는 약 6.5%였고, 2013년부터 2014년 분리 균주에서는 41.6%로 저항성 균주의 빈도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벼키다리병균의 prochloraz 저항성 모니터링 및 유묘검정을 이용한 생물검정법
최효원,류현주,이재금,강은혜,하민선 한국농약과학회 2021 한국농약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벼 키다리병은 대표적인 종자전염병으로 국내의 경우, 2000년대 들어오면서 문제가 되기 시작하였으며, 온탕소독 및 약제 체계처리 등 종합관리로 다소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2013년 본답에서 대발생하여 문제된 바 있으며 최근에도 꾸준히 발생하는 벼 병해이다. 1983년 등록된 이후, 벼 종자소독약제로 사용되어 온 prochloraz는 2006년부터 국내 벼 키다리병균의 저항성 분포가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2007년, 2013년~2014년, 2020년에 전국에서 분리한 벼키다리병균을 대상으로 prochloraz에 대한 저항성을 모니터링하였다. 각각 124개, 375개, 87개 균주를 수집하여 한천희석법을 이용하여 균사생장 억제정도를 조사하고 연도별 EC50값과 MIC(최소억제농도) 값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연도별 평균 EC50값은 각각 0.2892μg/mL, 0.8023μg/mL에서 2020년에는 1.1916μg/mL으로 증가하였으며, 이전 연구에서 저항성 기준으로 설정된 0.6μg/mL 이상인 균주 분포는 6.5%, 41.6%에서 2020년 86.2%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천희석법을 통해 prochloraz 감수성, 저항성으로 선정된 균주를 대상으로 실제 벼 유묘에서의 약제반응을 검정하여 감수성, 저항성 반응을 확인하였다. EC50값을 기준으로 각각 2개의 감수성, 저항성 균주를 선발하여 볍씨종자에 인위접종하였다. 기준량, 반량, 배량으로 희석된 약제에 종자를 침지하고, 상토에 파종하여 14일 후, 발병주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천희석법에 의한 in vitro에서의 약제반응과 일치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최효원,이현주,Ahn Yeon Soon 대한예방의학회 2023 예방의학회지 Vol.56 No.6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ody mass index (BMI; BMI_p) and hypertension in their adolescent offspring (HTN_a),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dolescents’ BMI (BMI_a).Methods: Utiliz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cluding participants aged 12-18, we conducted a mediation analysis while controlling for confounding factors such as age, sex, physical activity, dietary habits, household income quartile, and parents’ alcohol and smoking habits.Results: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5731 participants, of whom 3381 and 5455 participants had data on fathers’ and mothers’ BMI, respectively. For adolescent systolic blood pressure (SBP_a), the father’s BMI (BMI_f) had a significant total effect (β, 0.23; 95% confidence interval [CI], 0.12 to 0.34) and average controlled mediated effect (ACME) (β, 0.27; 95% CI, 0.23 to 0.32), but the average direct effect (ADE) was not significant. The mother’s BMI (BMI_m) had a significant total effect (β, 0.17; 95% CI, 0.09 to 0.25), ACME (β, 0.25; 95% CI, 0.22 to 0.28) and ADE (β, -0.08; 95% CI, -0.16 to 0.00). For adolescent diastolic blood pressure, both BMI_f and BMI_m had significant ACMEs (β, 0.10; 95% CI, 0.08 to 0.12 and β, 0.09; 95% CI, 0.07 to 0.12, respectively), BMI_m had a significant ADE (β, -0.09; 95% CI, -0.16 to -0.02) but BMI_f had an insignificant ADE and total effect.Conclusions: The study found that parental BMI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BP_a, mediated through BMI_a. Therefore, a high BMI in parents could be a risk factor, mediated through BMI_a, for systolic hypertension in adolescents, necessitating appropriate management.
최효원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法學硏究 Vol.33 No.2
This thesis aims to describe the political reality surrounding border management today and to reveal the notion of sovereignty that widely spread and repeatedly reproduced in border management administration and courts. The sovereignty used in border management does not appear to be completely consistent with the ‘sovereignty’ we generally understand. The sovereignty of a sovereign state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supreme power internally and equality externally, but these characteristics are not expressed as they are. In immigration matters, it is the internal sovereignty that justify to call for the yield of the rule of law and impose broad discretion on legislation and administration. However, sovereignty itself cannot be practically exercised, sovereignty alone is difficult to explain the structure and technology in which the influence of border management spreads to individuals. Also, the principle of equal sovereignty under international law appears to be partially revised and adjusted in the face of the reality of border management. The reality revealed through border management technologies and treaties for smart borders used in many countries today demonstrate that the principle of equality of sovereignty is not expressed as it is. In light of the fact that sovereignty is not the only logic that works in border management, and even that is largely modified and operated,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immigration administration that takes the retreat of the rule of law. 이 논문은 오늘날 국경관리를 둘러싼 정치적 현실을 살펴보면서, 출입국관리 행정과 법원에서 반복적으로 원용되고 있는 주권의 절대성, 그리고 국제법상 주권평등의 원칙을 재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국경관리 주권은 누구를 국경 안으로 들여올지를 결정하는 것에서 그 임무를 마치고, 법치주의 후퇴를 전면적으로 정당화할 수 있는 절대성을 부여하는 힘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재고가 필요하다. 국제법적 주권평등의 원칙 역시 오늘날에는 다양한 국경관리 행정 및 인권보호 요청과 같은 규범적 기준에 의해 상당 부분 수정되어 나타난다. 국경관리에 사용되는 주권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주권’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주권국가의 주권은 내부적으로는 최고권력, 외부적으로는 평등의 원칙에 기초하고 있으나 이러한 특성은 국경관리에 그대로 표현되지 않는다. 이민행정에서 법치주의의 양보를 요구하고, 입법과 행정에 광범위한 재량권을 부과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것은 국내주권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주권은 실질적으로 행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주권만으로는 국경관리 영향력이 개인에게 확산되는 구조와 기술을 설명하기 어렵다. 아울러, 국경관리의 현실에서 국제법상 주권평등의 원칙은 부분적으로 수정되고 조정되어 나타난다. 오늘날 많은 국가에서 사용되는 국경관리 기술과 스마트 국경설립을 위한 조약은 주권평등의 원칙이 현실에서 그대로 표현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상을 배경으로 주권적 논리를 앞세워 출입국관리 행정에서 법치주의 양보를 요구할 때에도 더욱 많은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의 과수 화상병 발생에 미치는 특이적 기상 요인
최효원,이우형,안문일,양현지,이미현,함현희,이세원,이용환 한국식물병리학회 2024 식물병연구 Vol.30 No.3
화상병은 우리나라에서 2015년 처음으로 발병된 이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데, 5월에 발병하기 시작하여 6월에최대로 발생하고 7월부터 감소하는 발생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연도별로 기상 조건에 따라 특이한 발생 패턴을 보였던 사례를 분석하였다. 2020년에는 5월에 하순에 발생하기 시작하였는데 4월의 낮은 온도로 인해 개화기가 지연되어 발병은 늦었지만 발병이크게 증가하였는데, 이는 꽃감염 위험도의 증가와 밀접한 상관이 있었다. 2021년에는 4월 하순에 첫 발생을 시작하였는데 이는 4월 상순부터 꽃감염이 시작된 것이 원인이었다. 2022년에는 4월 개화기의 꽃감염 위험도가 높아 5월에 화상병 발생이많았음에도 불구하고, 5월의 적은 강수로 인해 6월부터 발병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2023년에는 6월 하순의 집중 호우와우박으로 인해 7월에도 화상병 발생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화상병 발생 증가에 미치는 기상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때 강한 비바람 전후에 화상병 감염을 차단할 수 있는 방제를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Since its initial outbreak in Korea in 2015, fire blight has consistently emerged annually. Fire blight outbreaks usually begin in May, peak in June, and decline in July in Korea. In this study, we analyzed cases that exhibit a distinct pattern of disease occurrence based on yearly weather conditions from 2020 to 2023. In 2020, fire bight disease occurrence began in late May. Although the disease incidence started late by the low temperatures in April, which caused flowering period delayed, the incidence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the high risk of blossom infection. In 2021, the first outbreak began in late April because the flower infection started in early April. In 2022, despite the high blossom infection risk during the flowering period in April and the high incidence of fire blight in May, the incidence decreased sharply from June due to the low rainfall in May. In 2023, due to torrential rains and hail in late June, the incidence of fire blight increased even in July. Considering the weather factors that affect the increase of fire blight disease, it is suggested that control measures to prevent the fire blight infection should be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wind-driven rains.
피에서 분리한 Fusarium fujikuroi의 동정 및 벼 키다리병의 전염원 가능성
최효원,이용환,홍성기,김완규,천세철,이영기 한국식물병리학회 2011 식물병연구 Vol.17 No.1
Bakanae disease symptom were observed in barnyard grass in paddy field in Heanam, Jeonnam. The infected plants were blighted and white mass of spore were formed on the stem. Fusarium species were isolated from infected stem and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Fusarium fujikuroi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The isolates of F. fujikuroi were assigned to reference of F. fujikuroi among related Fusarium species based on the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gene sequence. Pathogenicity of the fungal isolates was confirmed on seedlings of rice and barnyard grass by artificial inocul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barnyard grass can be inoculum source of Bakanae disease on rice. Thus, effective weed management is necessary to Bakanae disease control and healthy seed production. 2009년 전남 해남 지역의 논에서 벼 키다리병과 유사한 병징을 나타내는 피를 채집하여 병원균을 분리하였다. 이병 식물체는 줄기가 고사하여 하얗게 말라 죽고, 줄기 표면에 흰가루 모양의 포자가 형성되었다. 분리균은 균학적 특성과 분자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Fusarium fujikuroi로 동정되었다.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GenBank에 등록된 F. fujikuroi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벼와 피를 대상으로 침지접종에 의해 병원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피가 벼 키다리병의 전염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벼 키다리병의 방제와 건전종자의 채종을 위해서는 논에 발생한 이병식물체뿐 아니라 전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피를 제거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Swelling Behavior of Crosslinked Polystyrene Microspheres Obtained Through Emulsion Polymerization
최효원,임지우 한국고분자학회 2021 한국고분자학회 학술대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46 No.2
Microsphere lithography (MSL) is a cost-efficient alternative to more conventional lithographic techniques such as electron-beam lithography (EBL). Based on the self-assembly of microspheres of monodisperse size distribution, MSL is often conducted with polystyrene (PS) microspheres which could be prepared in a wide range of diameters. While conventional MSL utilize hexagonal close-packed monolayers of PS microspheres followed by partial etching of the spheres, direct achievement of non-close-packed arrays is regarded as an interesting alternative. We have recently shown that controlling the swelling and deswelling behavior of PS latex microspheres synthesized using crosslinker can induce non-close-packed monolayers of PS microspheres with short range order. Herein, we repor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ze, composition, and degree of crosslinking of PS microspheres to their behavior in non-close-packed array induction under mixed solvent systems.
안전 및 재난인식, 안전교육지각이 재난대처역량에 미치는 영향
최효원,김진영,김민채,박정희 한국응급구조학회 2023 한국응급구조학회지 Vol.27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to improve disaster preparedness by identifying disaster and safety cognition, safety education perception and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disaster preparedness. Methods: Selected articles were programmed statistically by SPSS to analyze 162 third and fourth-year students in Chungcheong-do, from December 1, 2022 to December 31, 2022.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ith the effect of disaster and safety cognition, safety education perception, and disaster preparedness was analyzed by t-test and ANOVA. Results: Disaster preparedn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aster and safety cognition (r=.499, p<.001) and safety education perception (r=.328, p<.001). Furthermore, the influencing factors on disaster preparedness were sex (β=0.17, p<.011), disaster and safety cognition (β=0.39, p<.001), and 28% was explanatory power. Conclusion: Preparing educational method for strengthening safety and disaster cognition requires improving the disaster preparedness of university students, and a new educational approach to program development to elevate disaster and safety cognition at the university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