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근관충전제가 치근단위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최호영,Choi, Ho-Young 대한치과의사협회 1980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18 No.7

        The histologic responses of periapical tissues to root canal fillings with Grossman sealer were studied 10 dogs. Root canal fillings were performed on the 20 lower and upper teeth. The animals were sacrificed 1,2,3,4 and 5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opera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based on histopathologic studies; 1) After 1 week, the necrosis of dentin and cementum surrounding root apex was found in the root canal fillings. 2) After 2 weeks, the necrosis of cementum and surrounding alveolar bone were revealed. The resorption of dentin was appeared partially. 3) After 2 weeks, newly formed dentin was appeared surrounding necrotic dentin. 4) After 4-5 weeks, the osteoblastic activity was revealed abundantly surrounding the alveolar bone. 5) Fibrosis was prominantly appeared surrounding over-filled area, and fibrous encapsulation was performed.

      • SCOPUSKCI등재

        유전자 감식에 의한 방풍(防風)의 감별

        최호영,이상인,서영배,Choi, Ho-Young,Lee, Sang-In,Suh, Young-Bae 한국생약학회 1997 생약학회지 Vol.28 No.1

        Bangpoong (防風) is a popular crude drug used to expel wind from the body surface (祛風解表) to remove dampness (勝濕). And to relieve pain (正痛) and spasm (正痙). In China and Japan, roots of Saposhnikovia divaricata (Turcz.) Schischk. Is used as Bangpoong. However, the root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Or Glehnia littoralis (A. Gray) Fr. Schmidt ex Miquel, being called Sikbangpoong (植防風) and Wonbangpoong (元防風) respectively are used instead of Bangpoong in Korea. The ITS regions of nuclear ribosomal DNA were analyzed to determine original plants and to design a molecular identification method for the crude drugs used as Bangpoong in Korea and China. It is demonstrated that RFLP analysis via PCR has the great potential as a novel tool to test crude drugs for the quality control and standardization.

      • KCI등재

        무치악 잔존치조제의 형태학적 연구

        최호영,우이형,최대균,Choi, Ho-Young,Woo, Yi-Hyung,Choi, Dae-Gyun 대한치과보철학회 1991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29 No.1

        Impression ragistration is an improtant and difficult phase of prosthodontic treatment procedures and a tray of appropriate size and shape is essential to obtain the accurate impression. Particularly, in edentulous patients, the size and forms of their residual alveolar ridges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Therefore, in this study, various measurements were taken on the edentulous models. And the measuremen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one anoth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of denture bearing area was $32.86cm^2$ in the upper jaws, $24.20cm^2$ in the lower jaws and the variation of denture bearing area was greater in the upper than in the lower jaws and in males than in females. 2. The mean of A-P(anteroposterior) ridge length was 48.72mm in the upper jaws, 53.05mm in the lower jaws and that of males was longer than that of females. 3. The mean of most posterior ridge width was 47.23mm in the upper jaws, 58.03mm in the lower jaws and the difference of that between males and females was least in both jaws. 4. In the upper jaws, the mean of ridge width was 29.66mm on anterior 1/4, 42.79mm on middle, 48.95mm on posterior 1/4 line and the mean of palatal height was 4.56mm on anterior 1/4, 10.01mm on middle, 10.84mm on posterior 1/4 line. 5. In the lower jaws, the mean of ridge width was 33.24mm on anterior 1/4, 50.19mm on middle, 59.16mm on posterior 1/4 line and the mean of lingual ridge height was 5.49mm on anterior 1/4, 9.16mm on middle, 16.72mm on posterior 1/4 line. 6. The correlation coefficient(=r) between denture bearing area and A-P ridge length was 0.83 in the upper jaws and 0.75 in the lower jaws. The corelation between denture bearing area and AP ridge lengt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between denture bearing area and A-P ridge length and between A-P ridge length and the most posterior ridge width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th jaws. 7. Alveolar ridge forms were classified into three(ovoid, "u" shape, and "v"shape) categories. In the upper jaws, ovoid was 66%, "u" shape was 24%, and "v" shape was 10%, in the lower jaws, ovoid was 66.7%, "u" shape was 20%, and "v" shape was 13.3%.

      • KCI등재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위치 감지 시스템의 자가 치적화 기법

        최호영,최창열,김성수,Choi, Ho-Young,Choi, Chang-Yeol,Kim, Sung-So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2 No.4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 혹은 장비들의 위치 이동은 QoS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그러므로 이동 객체의 위치를 정확히 감지하고,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 위치 감지 시스템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위치 감지 시스템은 적용되는 감지 범위에 따라 프로세스 전략이 다르고 사용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신뢰성있는 QoS를 보장하기 힘든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적인 모니터링 기법을 사용하여 시스템 상황을 분석하고 자동으로 최적의 감지 프로세스 전략을 선택하는 자동화 구조를 설계하였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한 자동화 구조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을 통해 자가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본 구조는 동적인 네트워크 상황에서도 사용자에게 변함 없이 높은 QoS를 보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mobility or highly interconnected and communicating devices and users has implications for the QoS in a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location aware systems to detect location of mobile object correctly and Provide high quality services in ubiquitous environment. However, it is not easy that location aware systems offer highly reliable QoS to users because process strategies of location aware systems are limited by the capability according to the applied detection target objects. In this paper, we design an autonomic architecture which analyzes the location aware system condition and autonomously chooses the best appropriate process strategy. We also have simulated the Proposed architecture in order to verify its performance. The test results show us that the architecture using self-optimizing mechanism provides higher QoS to users in variable bandwidth.

      • KCI등재

        분리세균에 의한 진균독소 ochratoxin A의 제거

        최호영,송홍규,Choi, Ho-Yeong,Song, Hong-Gyu 한국미생물학회 2019 미생물학회지 Vol.55 No.1

        Ochratoxin A (OTA), one of mycotoxins produced mainly by Aspergillus is a common contaminant of stored grains, posing health hazards to human and livestock.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bility of isolated bacteria Bacillus subtilis AF13 and Streptomyces shenzhenensis YR226 to remove OTA. AF13 and YR226 could remove 94.23 and 97.73% of OTA ($100{\mu}g/L$), respectively during 24 h incubation in NB medium. When cultures of two strains were separated into washed cells and cell-free supernatant, the supernatant of both strains removed more than 90% of $100{\mu}g/L$ OTA, and 98.88% of OTA could be also removed by the washed cells of YR226. OTA removal occurred in a few second by the supernatant of both strains, and treatments of autoclaving, proteinase K and chymotrypsin did not affect the OTA removal by the culture supernatants, which indicate that some thermostable and non-proteinaceous substances secreted by these bacteria may be involved in OTA removal in these two bacter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AF13 and YR226 can be used to remove OTA from OTA-contaminated grains and feeds, and therefore decrease economic damage in agriculture and feed industry. 진균독소의 한 종류인 ochratoxin A (OTA)는 저장 곡물에 흔한 오염물질로 주로 Aspergillus에 의해 생성되어 인간과 가축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분리 세균Bacillus subtilis AF13과 Streptomyces shenzhenensis YR226의 OTA 제거능을 조사하는 것이다. NB 배지에서 AF13과 YR226은 $100{\mu}g/L$ OTA를 24시간 동안 각각 94.23과 97.73% 제거하였다. 두 균주 배양액의 원심분리 후 분리된 세척 세포와 무세포 상등액의 OTA 제거능을 측정하였는데 두 균주의 상등액 모두 $100{\mu}g/L$ OTA를 수 초 내에 90% 이상 제거하였으며, YR226의 세척 세포도 OTA를 24시간에 98.88% 제거하였다. 배양 상등액의 고압멸균, proteinase K와 chymotrypsin 처리 시 그 OTA 제거능은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이는 두 균주들에 의해 분비된 열-안정성을 가진 비-단백질성 물질이 OTA 제거에 관련된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이 결과는 AF13과 YR226 균주가 OTA로 오염된 곡물과 사료에서 OTA를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농업과 사료 산업에서 경제적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당귀류 한약재 감별을 위한 ITS 부위의 염기서열 및 AFLP 분석

        최호영 ( Ho Young Choi ),최영주 ( Young Ju Choi ),이제현 ( Je Hyun Lee ),함인혜 ( In Hye Ham ) 대한본초학회 2004 大韓本草學會誌 Vol.19 No.2

        N/A Objectives : Our research purpose is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 identification analysis on A. gigas, A. acutiloba, and A. sinensis by PCR-mediated fingerprinting. Methods : We used the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method o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s and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AFLP) method . Results : 1. We could perform DNA extraction from both fresh and dried plant. 2. According to the RAPD analysis, especially Uniprimer #1, Uniprimer #2, Uniprimer #4 and Uniprimer #9 were useful. 3. All Angelica species samples were observed 600-603 bp on ITS region and the amount of G+C is 54.4-58.3% at ITS-1 region and 55.9-59.5% at ITS-2 regions. 4. In case of restriction enzymes Sma I, Msp I, Hae III, and Hinf I used in this experiment, The critical fragment band of A. gigas could be used properly discriminating other samples (A. acutiloba, and A. sinensis) used as RFLP marker on ITS regions. 5. The AFLP profile showed specoes specification to each random primer. Conclusion :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way of discriminating crude drugs such as A. gigas, A. acutiloba, and A. sinensis(China) and will be used controlling herbal medicine quality, preserving of medicinal plants.

      • 노인 권리의 국제기준에 관한 소고

        최호영(Choi, HoYoung) 한양대학교 고령사회연구원 2010 한양고령사회논집 Vol.1 No.1

        본 연구는 고령화시대 노인 권익보호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노인과 관련한 국제기준을 살펴보는 것이다. 현재 여성, 장애인, 아동 등과 달리 국제연합 수준에서 노인만을 대상으로 하여 규율하는 독자적인 국제 조약은 없다. 그러나 UN 차원에서의 노인 보호를 위한 일련의 노력들로 1982년 ‘국제고령화행동계획(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eing)’과 1991년 ‘노인을 위한 UN원칙(United Nations Principle for Older Persons)’이 UN에서 채택되었으며, 현재 국제법상 국내법과 동일한 효력을 갖는 가칭 ‘UN노인권리협약(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Older Persons)’을 준비 중이다. 또한 UN 산하의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국제고령화행동계획의 권고에 기초하여 2002년 11월 17일에 캐나다 토론토에서 ‘노인학대의 국제적 예방에 관한 토론토 선언(The Toronto Declaration on the Global Prevention of Elder Abuse)’을 채택하였다. 한편, 각 지역별 협약들은 노인 보호를 위한 규정들을 마련하고 있다. 유럽연합의 경우 ‘유럽사회헌장(European Social Charter)’ 제23조에 사회적 보호에 대한 노인의 권리를 규정하고 있으며, ‘유럽연합 인권 및 기본적 자유의 보호에 관한 협약(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Freedoms)’ 제14조(차별의 금지)는 유럽인권재판소(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에 의하여 노인에게도 적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1981년 ‘인간과 인민의 권리에 관한 아프리카 헌장(African Charter on Human and People’s Rights)’ 제18조 제4항과 2003년 ‘아프리카 여성 권리 관련 인간 및 인민의 권리에 관한 아프리카헌장 의정서(The Protocol to the African Charter on Human and Peoples’ Rights on the Rights of Women in Africa)’ 제22조, 1969년 ‘미주인권협약(American Convention on Human Rights)’에 따라 1988년 체결된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미주인권협약 추가의정서(Additional Protocol to the Americ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in the Area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Protocol of San Salvador”)’ 제9조 및 제11조, 2002년 ‘인권의 증진 및 보호를 위한 안데스 헌장(Andean Charter for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제46조 및 제47조, 2004년 ‘아랍인권헌장(Arab Charter on Human Rights)’ 제33조는 노인 보호를 규정하고 있다. 국제기준은 국가간 합의를 통하여 약자인 노인 보호의 원칙 또는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인지토록 하며, 인식 전환의 계기를 마련한다는 데 큰 의의가 있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as a basic study in the times of global aging population, to research current international standards for the protection on the rights of the older persons. Globally, the world is facing the unprecedented change in population structure so that both the absolute numbers and proportion of older persons is increasing worldwide. It is easy to find relevant provisions on the prevention of discrimination and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to protect the rights of older persons in many regional treaties on human rights, because they are very much related with individual human rights stipulated in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of 1948 and the two International Covenants of 1966. The provision on the prevent of discrimination and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in the areal treaties, such as article 23 in the European Social Charter, article 24 in th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Freedoms and article 46 and 47 in the Andean Charter for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etc., are worthy of special attention in regard to the rights of older persons. Nevertheless, currently, the rights of older persons are not protected by individual international treaty in the United Nations(UN) level for, unlike the rights of child, women, refugee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UN is trying for the protection on the rights of old persons. For example, the UN General Assembly adopted the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eing(IPAA) in 1982 and the United Nations Principle for Older Persons in 1991. And the UN tries to pass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Older Persons. Established international standards have several meanings that they show the principles or standards of the protection of older persons, see the protection of older persons in a new light and serve as a momentum to change the sets of thinking for the individual national states.

      • KCI등재

        한일 자유시 담론에서의 ‘감정’ 인식과 ‘음악성’ 도입 논리의 비교 고찰

        최호영(Choi, Ho-Yo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한국민족문화 Vol.60 No.-

        이 글의 목적은 한일 자유시 담론에서 근대시의 내용으로 요청된 ‘감정’을 표현해내기 위해 ‘음악성’을 어떠한 방식으로 실현하고 있는가를 비교·고찰하고 이를 통해 조선의 근대시가 내포하고 있는 특이성을 해명하는데 있다. 그간 선행연구에서는 양국 근대시의 형성과정을 자유시(내재율)와 정형시(정형률)로 이분화하거나, 특히 조선 문단의 흐름을 일본 문단과의 연장선상에서 바라봄으로써 전자에서 후자로의 복귀라는 구도를 설정해왔다. 물론 양국의 자유시 담론에서는 공통적으로 시는 여전히 ‘노래’라는 인식 아래 전대의 음악적 전통을 이어받고 있었지만, 정작 근대시의 내용으로서의 ‘감정’을 어떻게 인식하고 이를 음악적 요소와 결합시키는가의 측면에서는 서로 다른 결과와 변모 양상을 내보이고 있다. 메이지 40년경 일본의 문단에서는 ‘주관 그대로의 감정’을 표출하기 위해 시어로서 구어의 도입, 자유로운 정서 그대로의 리듬 사용, 행과 연의 제약 파괴를 겨냥한 구어자유시를 창출하였다. 하지만 구어자유시 시인들은 그 자체로 잉여성을 가진 것에 불과한 기표로서의 ‘감정’을 표현하기 불가능하다는 판단에 다다름으로써 이를 ‘일본인의 감정’이라는 기의와 연결시키고 그에 따른 시형을 요청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이에 반해 1920년대 조선의 시인들은 애초 ‘감정’을 표현하기 불가능성하다는 전제 아래 조선인의 생활과 감정을 노래하기 위한 시가를 기획해간다. 따라서 한일 자유시 담론에서 ‘음악성’은 자유시(내재율)로부터 정형시(정형률)로의 복귀라는 구도로만 귀결되지는 않는다. 그보다 양국의 근대시에서 ‘음악성’은 시의 내용으로서의 ‘감정’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서로 다른 편차를 보이고 있으며 한국 근대시의 특이성을 설명할 지표가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osely examine how ‘musicality’ is applied to express ‘emotion’ as the contents of modern poetry in the discourse of Korean and Japanese free verses and to elucidate the singularity implied by modern Joseon poetry. Although the discourse of free verses of both countries maintains the musical tradition of previous generation under the recognition that poetry is still ‘song’,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ay they recognize ‘emotion’ and combine it with musical elements. During the forty years of the Meiji period, the poets of spoken free verse in Japanese literary world make judgements that it is impossible to express ‘emotion’ as an empty signifier, so they connect it with signified called ‘Japanese emotion’ and request the corresponding versification. On the other hand, Joseon poets in the early 1920s originally recognize the inability to express ‘emotion’ while reconciling text with emotion and devise their poetry reflecting the livings and emotions of Joseon Dynasty people. Therefore, the ‘musicality’ in modern poetry of both countri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how they recognize ‘emotion’ as the contents of modern poetry and can be an indicator to explain the singularity of Korean modern poetry.

      • KCI등재

        한일 상징주의론의 전개와 "생명" 개념 도입의 비교 고찰

        최호영 ( Ho Young Choi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6 어문론총 Vol.68 No.-

        이 글의 목적은 근대 초기 한국과 일본에서 ‘상징주의’를 타자로 설정하여 근대시를 형성해가는 과정을 면밀하게 추적하는 가운데 양국의 자유시 담론에서 ‘생명’ 개념을 어떠한 맥락에서 도입하고 있는가를 비교·고찰하는데 있다. 메이지 40년경 일본의 문단에서는 ‘간바라 아리아케’에서 정점을 이룬 상징주의가 시어나 형식의 측면에서 근대인의 생활 감정을 노래하지 못한다고 판단하고 자아 그대로의 감정을 노래하는 자유시를 주장하기 위한 근거로서 ‘생명’ 개념을 도입한다. 말하자면, 일본의 문단에서는 상징주의를 비롯한 전대의 ‘전통’과 단절하고 개인의 자율성을 담보하는 자유시를 내세우기 위해 ‘생명’ 개념을 도입했던 것이다. 이에 반해, 근대 초기 조선의 문단에서는 상징주의를 생활의 방면으로 확대하여 개인의 생활을 구제할 뿐만 아니라 개인을 둘러싼 전체의 생활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생명’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의 차이는 양국의 근대시에서 ‘찰나’의 시간을 형상화하는 방식에서도 결정적인 차이를 낳고 있다. 일본의 경우 현재 느끼는 자기중심의 목소리를 드러내기 위해 ‘찰나’의 시간을 도입하는데 반해, 조선의 경우 영원과 결합하여 자아를 존속시키는 ‘외연’을 탐색하기 위해 그것을 도입하고 있다. 따라서 한일 근대시에서 보여준 ‘생명’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조선의 문학이 일본의 문학을 제대로 수용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보여주기보다 그 자체로 특이한 지점을 형성하고 있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closely examine the formation process of modern poetry while considering ‘symbolism’ as others in the early modern Korea and Japan, and to study and compare the logic of forming their own free verse. The study thoroughly investigates how the concept of ‘life’ is introduced in context when developing their discussions of free verse between two countries. The perception gap about ‘life’ can provide the opportunity to reveal marked characteristics of bilateral modern literature. During the forty years of the Meiji period, Japanese literary world introduced the concept of ‘life’ to advocate free verse in that it showed ego itself feelings, while it judged symbolism as having limitations to include modern people’s emotions in everyday life. On the contrary, Joseon literary world in the early modern period introduced the concept of ‘life’ not only to save personal life by broadening symbolism to various aspects of life but also to be in harmony with whole life. Therefore, the perceptual difference of ‘life’ in Korean and Japanese modern poetry indicates that Joseon literature forms unique characteristics itself rather than showing the limitation that it does not accept Japanese literature prop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