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예비유아교사의 방어적 비관주의 성향과 자아존중감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혜진,이경화,권유선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8 No.-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방어적 비관주의 성향, 자아존중감,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일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고 변인들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G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4학년 215명을 대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방어적 비관주의 성향과 자아존중감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종속 변인으로 하는 단계적 회귀분석과 단순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방어적 비관주의 성향이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조절을 22%, 동기조절을 23%, 행동조절을 24%를 설명하였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조절을 29%, 동기조절을 27%, 행동조절을 2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에는 자아존중감이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방어적 비관주의 성향이 더해져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인지조절을 44%, 동기조절을 35%, 행동조절을 3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해방 직후(1945.8~1950.6) 남한에서의 국악의 등장과 정체성 구성

        최혜진 역사학연구소 2020 역사연구 Vol.- No.38

        This thesis examines in post-Liberation five years, on ‘Gugak’(國樂) identity. One of its major foci is laid on the reading of appellations and practices concerned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competitions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made over the subject of developing Gugak and its categories or genre. Another focus is dissertation tracks the points of inclusion and exclusion from the category of Gugak. After liberation, Traditional musicians associate their music with the ‘nation’ and call it Gugak.” Inside the traditional music world, there was severe competition over which could exclusively use the appellation of Gugak and which gen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ould be into the category of Gugak. Traditional music categorized as Gugak some genre of ‘court music’, ‘folk music', ‘classical music’, ‘Changgeuk’. On the other hand, nongak or farmer’s music in English was excluded from the category of Gugak. Through this process, the category of Gugak at that time included all the traditional music genres and even dance with the exception of shamanic music. More importantly, Gugak contained linguistic elements, and also visual and dramatic ones. As a result, Gugak included not only the music appealing to auditory organ but also the dance appealing to visual senses or including dramatic or performative elements. This means that musical and non-musical elements coexisted in Gugak. Competition over the genres included into Gugak was associated with the power struggles waged by the contemporary two major groups. Also, it was so with the identity struggle: which was the main genre of Gugak, or which music was the major part of Gugak. The issue of identity struggle was settled by the nationalization of Aakbu. The nationalization identified Aak(雅樂)-centered Gugak, and Aakbu-centered world of South Korean traditional music. More noteworthily, the Aak-centered identification of Gugak was related to the contemporary competition over the national legitimacy of Korea between the ROK and the DPRK. As the ROK violently settled down the issue of the identity of traditional music, the dynamism the world of South Korean traditional music were removed. As a result, this was the contemporary expressions of the process of forming the identiti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roughout the modern history of Korea. 본 논문은 해방 직후 전통음악이 국악으로 호명되고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서양음악 종사자들이 민족음악 논의를 제창하고 전통음악종사자들이 자신들의 음악을 국악으로 호명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이와 함께 전통음악계 내부에서 국악의 주체와 구성 장르를 둘러싸고 상호 경쟁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국악이라는 명칭이 해방 직후에 등장한 계기, 그리고 국악원과 아악부의 ‘국’에 대한 상이한 이해, 또 담론 공간에서의 국악 장르는 음악뿐만 아니라 창극과무용 그리고 시조 등이 포함되어 있었음을 포착할 수 있었다. 또한 국악의 장르로 위치되었던 창극과 농악이 전통음악계 내부의 경쟁 과정에서 국악의 장르로부터 배제되면서, 정부 수립 직후 각각 국극과 민예로 호명·규정되었다. 해방 직후 국악의 한 장르로 위치되었던 시조와 국악의 범주에서 배제되었던 무악 역시 국악의 장르로부터 배제되었고, 이후 문학과 향토문화예술로 배치되었다. 그런데 실제 방송 프로그램이나 전통음악 관련 공연대회의 성격에 따라 국악은 기악과 성악의 한 장르로 위치되거나 반대로 민속악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자리매김되었다. 때로는 극적이거나 언어적인 성격을 가진 줄타기와 만담 등도 포함되어있었다. 이는 국악의 범주와 정체성이 유동적이었음을 보여준다. 유동적인 국악은 당대 정치적 상황과 연동되어 국가화되었다. 대한민국 수립 직후 대한민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민족 정통성 경쟁 속에서 우익적 성향을가진 아악부를 1948년 12월에 국영화하고, 1950년 1월에 국립국악원으로 국가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해방 직후 인민 대중 중심의 전통음악 논의들은 국악 논의에서 사라지게 되었고, 궁중음악인 아악은 국악으로 등식화되었다. 그 결과 아악부와 아악이 중심이 되어 국악계와 국악의 정체성은 형성되었다. 이와 같이 국악과 국악계의 정체성은 해방 후 역사·사회적 관계 속에서 구성되었다.

      • KCI등재

        대학에서의 체험기반 교양교과목 운영 모델 연구 - 목원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최혜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2

        The 21st century university education is undergoing transition into general intellect education due to digital environments and high college entrance rates, which requires new educational viewpoints and methods. In this regard, liberal arts education needs to be dealt with from viewpoints of higher education, adult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In particular, as liberal arts education closely connects learning with life and is an area which should be responsible for emotional·intentional education, experience education is emerging as an essential method. Based on this issue, this study looked into the scope and conditions of experience education, the method and system of the curriculum design, and the cases of actual liberal arts curriculum operations. The recent trend that experience education has come to the fore as an area of liberal arts education among a variety of liberal arts education fields indicates that the outcomes of the operation of experience education in Mokwon university could set an example to other universities. Mokwon university is providing experience education in both major education and liberal arts education fields and the field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especially being developed and operated with its focus on the subjects of personality and sensitivity. In the future, experienc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various areas but considering the nature of 'liberal arts', it appears that holistic and personal growth can be accomplished when physical, emotional, and moral education is highlighted. For experience-based liberal arts education to be a systematic educational achievement which is beyond a fragmentary and one-time experience and can promote changes and growth in students, a lot of efforts need to be made by educators. Specific and feasible guidance for experience education must be made and budget, academic affairs, administration,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to support such guidance. In this regard, experience education is not just one academic subject but also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In addition, its desired goals can be attained only when universities undergo fundamental changes.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not only to operate experience-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by tackling various problems but also to make efforts so that such an attempt can be transformed into open education for local communities and citizens. 21세기 대학교육은 디지털 환경과 높은 대학진학률에 따라 보편적 지성교육으로 전환되고 있으므로 새로운 교육적 관점과 방법론을 필요로 한다. 그러한 면에서 교양교육은 고등교육이자 성인교육, 평생교육적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교양교육이 학문과 삶을 긴밀히 연관시키며, 정서적·의지적 교육을 담당해야 할 영역이라는 점에서 체험교육이 긴요한 방법론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고에서는 체험교육의 범위와 조건, 교육과정설계의 방법론과 시스템, 실제 교양교육과정 운영 사례를 알아보았다. 대학에서 그간 다루었던 여러 교양교육영역 중에 소양교육의 영역으로 체험교육이 대두되고 있는 동향에 비추어 볼 때, 목원대학교에서 시행한 체험교육의 운영 성과는 타대학에게 모범이 될 것으로 본다. 목원대학교는 체험교육과정을 전공과 교양 양 영역에서 시행하고 있지만, 교양교육영역에서는 특히 인성과 감성 교과를 중심으로 개발, 운영하고 있다. 앞으로 여러 영역에서 골고루 체험교육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지만 ‘교양’의 특성상 신체적, 정서적, 도덕적 교육이 중심적으로 부각될 때 전인적 인격적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체험기반 교양교육이 기존의 단편적이고 일회적인 경험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변화와 성장을 도모한 체계적인 교육적 실현이 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한다.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한 체험수업지도안이 나와야 하고, 이를 뒷받침할 예산, 학사, 행정, 비교과 프로그램이 함께 구현되어야 한다. 그러한 점에서 체험교육은 단순히 하나의 교과목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대학교육의 질적 제고를 이루는 것이며, 대학의 체질이 변화할 때 바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앞으로 여러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며 체험교양교육과정을 시행해나가는 것은 물론 이러한 시도가 지역사회, 시민을 향해 열린 교육으로 변화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국내에서 2005년에 실시한 연령별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 보유율

        최혜진,이수영,마상혁,김종현,허재균,강진한,Choi, Hea Jin,Lee, Soo Young,Ma, Sang Hyuk,Kim, Jong Hyun,Hur, Jae Kyun,Kang, Jin-Han 대한소아감염학회 2005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2 No.2

        목 적 : A형 간염의 발생이 2000년대부터는 1990년대에 청소년과 젊은 성인에서 발생이 높았던 것과는 달리 20대부터 30대 초반의 젊은 성인 환자가 증가되는 추세를 보이며 소규모이기는 하나 집단적 돌발유행이 발생되는 변화가 있으며, 더불어 1990년대에 시행되었던 A형 간염 항체 보유율 역학연구가 2000년대에 와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저자들은 최근 국내 A형 간염의 역학적 변화의 원인분석과 이에 따른 예방대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연령별 A형 간염 항체 보유율 역학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방 법 : 2005년 1월부터 6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및 마산파티마병원에 내원한 외래 방문자, 건강 검진자 및 입원 환자에서 과거에 A형 간염에 이환된 병력과 가족 내 발생이 없고 A형 간염 백신 접종력이 없는 출생 후부터 50세까지 연령의 소아와 성인 1,301명(남자 655명, 여자 646명)을 대상으로 A형 간염 항체 검사를 실시하였다. 동시에 성별비교와 두 지역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토하였다. 결 과 : 항체 보유율은 1세 미만에서 61.1%, 1세 부터 5세의 연령군에서 30.5%, 6세에서 10세 사이 연령군에서 14.6%, 11세에서 15세 사이 연령군에서 1.7%, 16세에서 20세 사이 연령군에서 6.5%, 21세에서 30세 사이 연령군에서 36.6%, 31세에서 40세 사이 연령군에서 77.5%, 41세에서 50세 사이 연령군에서 99.8%의 항체 보유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연령군에서 남녀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두 지역에서 6세부터 10세 사이 연령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 론 : 16세에서 30세 사이 연령의 항체 보유율이 1990년대에 비해 현저히 낮아진 것을 확인하였고 이로 인하여 이들 연령에서 A형 간염 발생이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과 집단적 돌발유행의 가능성이 있어 향후에도 이와 관련된 광범위 역학연구가 필요하다. 더불어 지역간에도 연령에 따른 항체 보유율이 달라 지역간 역학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 Hepatitis A viral infections have been continued after re-emerging since mid 1990s in Korea. The incidence of this disease has been increased in young adults younger than 30 years of age since 2000.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antibody to hepatitis A in Korea(two regions; Incheon and Changwon) in 2005, and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similar studies in mid 1990s.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05 to June 2005, and consisted of 1,301 enrolled subjects, neonates to 50 years old, living in Incheon and Changwon in Korea. All sera were frozen and stored at $-70^{\circ}C$ until assayed. Anti-HAV IgG antibodies were measured by microparticle enzyme immunoassay(HAVAB, Abbott Lab., IL, USA). Results : The prevalence of anti-HAV IgG was 61.1% in infants younger than 1 year old, 30.5% in 1~5 years, 14.6% in 6~10 years, 1.7% in 11~15 years, 6.5% in 16~20 years, 36.6%in 21~30 years, 77.5% in 31~40 years, and 99.8% in 41~50 years.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male and female, but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in 6~10 years old age group between the two areas. Conclusion : Our study indicate that the prevalence of antihepatitis A virus antibody has shifted from children to old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risk of sudden outbreaks or increasing incidence of hepatitis A viral infections in young adults may be expected in our society. The preventive strategies of hepatitis A including vaccination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유아 예술 활동을 통한 창의성 평가 루브릭(Rubric) 개발

        최혜진,권유선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3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ool to evaluate creativity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field of education. The researchers developed evaluation activities and a rubric in which teaching and evaluation are integrated. After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selected, six activities were selected for evaluating creativity and twelve rubric were developed for evaluating sub-elements of creativity in each of the activities. To examine the efficacy of rubric draft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ools were examined.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 regarding item goodness, rubric items were developed and balanced according to four levels. Among six activiti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12 items. Second, the rubrics produced consistent results and were found to be reliable. Because all the rubrics did well on tests of conten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they were determined to be effective as evaluation tools. 본 연구는 창의성 평가를 위한 교수와 평가가 통합된 형태의 평가활동 및 루브릭(rubric)을 개발함으로써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창의성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창의성 평가 영역 및 준거를 선정한 후 교육과정운영 중 창의성을 평가할 수 있는 활동 6개를 선정하고 각 활동마다 창의성 하위요소를 평가할 수 있는 12개의 루브릭(rubric) 시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루브릭(rubric) 시안의 적합성을 알아보고자 문항양호도와 검사양호도(신뢰도, 타당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양호도와 관련하여서는 루브릭 문항이 4단계의 수준으로 균형적으로 개발되었으며, 6개의 활동 총 12문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검사양호도의 신뢰도와 관련하여서는 문항내적 합치도의 일관성이 높아 신뢰로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용타당도, 공인타당도, 구인타당도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평가도구로써의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