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진로대안영역과 직업포부

        최지향,이건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2

        이 연구는 초등학생이 미래 자신의 직업을 어떻게 선택하는지 과정을 밝히기 위하여 초등학생의 진로대안영역과 직업포부를 확인하고, 자아개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 관련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질문지를 개발하였고 사전조사를 통해 질문지에 사용할 직업목록을 확정하였다. 이후 전문가 검토를 거쳐 질문지의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고,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거쳐 질문지를 최종 완성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700부를 배포하여 624부의 질문지를 회수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엑셀과 PASW Statistics 1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량, t검증, F검증과 교차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대체로 직업에 대해 보편적인 이미지를 공유하지만 몇몇 직업에 대해서는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진로대안영역은 전체적으로 보통보다 남성적인 직업, 지위가 높은 쪽으로 치우쳐서 영역이 형성되어 있었고 그 넓이는 비교적 좁았다. 셋째, 초등학생의 직업포부는 평균적으로 중간을 기준으로 다소 높고 남성적인 직업으로 나타났고, 대부분 학생들의 직업포부는 진로대안영역 내에 설정되어 있었다. 넷째, 학업성적, 성공욕구,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수준, 주변의 기대, 성역할인식 정도의 5가지 자아개념 중에서 성역할인식과 관련한 자아개념이 진로대안영역, 직업포부와 상관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첫째, 초등학생들의 진로대안영역을 다룬 다양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생들의 진로대안영역을 넓히기 위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직업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학교 현장에서 성역할평등과 관련한 교육프로그램이 도입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larify the process of h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choose their future job. The research led to the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ccupational aspirations, and its’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concep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rived according to the major outcomes of the study.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erally share a common image about occupations, but some have different perceptions according to their gender. Second, the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formed higher and more masculine than middle, and its width was relatively narrow. Third, the average level of occupational aspiration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high and masculine. Fourt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ccupational aspirations and perception of sex role.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for a variety of follow-up studies dealing with the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in order to broaden the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f students, proper circumstances with various types of career information should be created. Third,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gender equality in the school scene.

      • KCI등재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최지향,황성온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the social support of colleague teachers on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40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in G province and I city who were chosen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rogram SPSS 22.0.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estimated for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instrument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research variables. Last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the social support of colleague teachers on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the social support of colleague teachers, and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relative impact of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the social support of colleague teachers were also found to have the on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meaningful explanatory power. The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had a relatively greater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hildcare teacher than the social support of colleague teach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rector’s servant leadership and the social support of colleague teachers can be important factors for childcar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by finding ways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본 연구는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G 도, I 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보육교사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측정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Pearson의 상관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을 예측하는 변인이며,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보다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대한 중요한 예측 변인임을 시사한다. 본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을 증진하는 방안이 모색되어 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석탑 내부를 영상화하기 위한 GPR 모형 자료에 대한비선형 파선 토모그래피의 적용

        최지향,최윤경,이동권,서정희,차영호 한국자원공학회 2004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1 No.1

        We applied a nonlinear ray tomography using GPR(Ground Penetrating Radar) data in order to image the inside of the base part of stone pagodas non-destructively. Nonlinear ray tomography is a method that reconstructs the image of the velocity structure from the first arrival time data. In forward calculation of raypaths and traveltimes, the fastest paths calculated in polar coordinates were used with Fermat's principle and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In inversion problem, we adapted the iterative backprojection method which is known to be able to image the smoothly varying medium or a complex structure. We made a model consisting of four different inner stones filled with soil as a model of the base part of a stone pagoda. From the results of the model studies, we analyzed the sizes and the positions of the inner stones accurately, whereas we could not distinguish the exact shapes of the inner stones. We obtained the similar results from a model with connected three stones and one stone. Also a diagonal air layer model and two horizontal and vertical air layers model were chosen and the resulting images revealed the dimension and the direction of the air layer quite well.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is tomography technique gives the information about existence of void region that affects mainly the safety of the base part of the stone pagoda. In actual GPR survey on Jeongnimsaji five-story stone pagoda, we applied nonlinear ray tomography and got inner image similar to the migrated image. 본 연구에서는 석탑의 기단부 내부를 비파괴적으로 영상화하기 위하여, 파의 도달시간으로부터 매질의 속도구조를 역산하는 방법 중 하나인 비선형 파선 토모그래피 기법을 GPR 모형자료에 적용하였다. 파선 도달 시간은 극좌표 상에서 Fermat의 원리에 의한 최단 시간 경로를 구하는 방법으로 계산하였고, 토모그래피는 변화하는 속도구조나 불규칙한 속도구조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반복적 역투영법을 이용하였다. 석조 문화재의 기단부 모형으로는 4개의 내부석을 넣고 나머지 부분이 흙으로 채워진 모형을 선택하였다. 토모그래피 결과 내부석의 정확한 모양을 구별할 수는 없었지만, 내부석의 크기와 위치는 비교적 상세하게 알 수 있었다. 내부석 간의 간격이 좁아져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내부석과 흙이 있는 모형에 빈 공간이 있는 경우를 고려하여 토모그래피한 결과 공기층의 규모와 방향이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석탑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공동의 유무 확인도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실제로 정림사지 5층 석탑에서 GPR 탐사를 수행하고 비선형 파선 토모그래피를 수행한 결과 구조보정 결과와 유사한 내부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시간경과에 따른 반복적 물리탐사 기법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지중처리 모니터링

        최지향,송윤호,이태종,김희준,한누리,남명진,서정희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5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8 No.4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산화탄소 지중처리는 대기 중의 온실 가스를 제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본 해설에서는, 이산화탄소 지중처리를 위한 세 가지 모니터링 프로젝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북해 Sleipner West 필드의 경우로, 여기에서는 염류대수층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고, 해수면에서 반복적으로 탄성파탐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대수층 내에서 이산화탄소 기포가 확산된 범위와 형태를 파악하였다. 다음은 Weyburn 유전의 경우로, 복잡한 파쇄 구조로 된 탄산염 저류층에 대규모의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고 있던 이 유전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고해상도 P파 탐사를 실시하여 각기 다른 암석으로 이루어진 두 지층 사이의 이산화탄소 거동특성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미국 캘리포니아 중부에 위치한 Lost Hills 유전의 경우는 시간 경과에 따라 시추공간 전자탐사 영상화 기법을 적용하여 동일한 시추공에 서 얻은 유도 검층 자료와 잘 일치하는 전기전도도 영상을 얻고, 전기전도도가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염수를 대체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